좌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좌두는 본래 평곡을 연주하는 비파법사를 칭하는 용어에서 유래하였다. 가마쿠라 시대에는 당도좌라는 단체를 형성하여 권위와 상호 부조 기능을 수행했으며, 검교, 별당, 구당, 좌두의 위계와 73단계의 세부 위계로 구성된 엄격한 집단 규칙을 가졌다. 에도 시대에는 맹인 단체로서 에도 막부의 보호를 받으며, 평곡 외 지우타, 샤미센, 고토, 고쿄 연주, 작곡, 침술, 안마 등이 주요 직분이 되었다. 메이지 시대 이후의 좌두에 대한 정보는 본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길드 - 걸작
걸작은 뛰어난 창의성, 기술, 깊이를 갖춘 예술 작품을 지칭하며, 현대에는 극찬을 받은 창작물 또는 대표작을 의미하고, 한국 사회에서는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 작품을 포괄하여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고려한 균형 잡힌 평가가 필요하다는 논의가 있다. - 길드 - 장인 (기능직)
장인은 특정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과 경험을 토대로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과거에는 기술 전승과 문화 보존에 기여했고 현대에는 숙련 기술 인력 양성과 첨단 기술 융합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을 기대받는 사람을 의미한다. - 시각 장애 - 야맹증
야맹증은 어두운 곳에서 시력 저하를 보이는 증상으로, 유전 질환, 비타민 A 결핍, 망막 질환, 약물 복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비타민 A 보충 등으로 치료한다. - 시각 장애 - 실명
실명은 최대한의 시력 교정 상태에서 시력이 3/60 미만인 상태를 의미하며, 백내장, 녹내장, 황반변성 등이 주요 원인이고, 치료는 질환에 따라 수술이나 재활 훈련을 통해 이루어진다. - 에도 시대 - 폐번치현
폐번치현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봉건적인 번 제도를 해체하고 현 제도를 도입하여 중앙 집권화와 재정 안정을 목표로 실시한 개혁으로, 1871년 칙령을 통해 260여 개의 번을 3부 302현으로 개편하고 중앙 정부에서 파견된 현령을 임명하여 현재 일본 행정 구역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 - 에도 시대 - 사가번
사가번은 히젠국을 지배하며 사가성을 번청으로 둔 번으로,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실권을 장악한 후 성립되었고, 에도 시대 나가사키 경비 부담 대신 산킨코타이 단축 특혜를 받았으며, 막말에는 나베시마 나오마사의 주도로 근대화를 추진, 메이지 유신에는 삿초토히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좌두 | |
---|---|
좌두 (에도 시대) | |
![]() | |
분류 | 맹인의 계급 |
시대 | 에도 시대 |
신분 | 무사 |
역할 | 시각 장애인의 조직인 당도를 통괄하는 직책 |
좌두 (예능) | |
분류 | 예능 용어 |
의미 | 극단, 흥행, 극단, 일좌 등을 통솔하는 최고 배우 |
2. 유래: 당도좌
"좌두"(座頭|ざとう일본어)는 일본의 시각장애인 예능인 및 직업인 단체였던 당도좌 내의 위계 중 하나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당도좌는 본래 평곡을 연주하는 비파법사들의 조직으로 시작되었으며, 이들 내에는 검교(検校|けんぎょう일본어), 별당(別当|べっとう일본어), 구당(勾当|こうとう일본어), 좌두 등 여러 칭호이자 위계가 존재했다. 이 조직은 가마쿠라 시대에 형성되어 에도 시대까지 이어지며 구성원들의 상호 부조 및 직업 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했다.
2. 1. 중세 시대
원래 "좌두"(座頭|ざとう일본어)라는 칭호는 평곡을 연주하는 비파법사에게 주어지던 검교((検校|けんぎょう일본어), 별당((別当|べっとう일본어), 구당((勾当|こうとう일본어) 등의 칭호에서 유래했다.옛날부터 비파법사 중에는 맹인이 많았는데, 이들은 헤이케 이야기를 구연하는 것을 직업으로 삼았다. 가마쿠라 시대 무렵부터 이들은 "당도좌"라고 불리는 단체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당도좌는 권위를 세우고 구성원 간의 상호 부조를 위한 일종의 좌(조합)로서 기능했다.
당도좌 내부에는 엄격한 집단 규칙이 존재했다. 구성원들은 크게 검교, 별당, 구당, 좌두의 네 가지 위계로 나뉘었으며, 세부적으로는 총 73단계의 위계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관위 단계는 당도좌에 소속되어 맡은 직분에 충실히 임하고, 신청하여 인정을 받으면 오랜 시간을 거쳐 순차적으로 승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매우 오래 걸려 평생을 바쳐도 최고위직인 검교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른 한편으로는, 금이나 은을 바쳐 관위를 더 빨리 얻는 방법도 가능했다.
2. 2. 에도 시대
에도 시대에 들어서면서 당도좌는 에도 막부로부터 공식적인 인정을 받고 보호를 받게 되었다. 이 시기에는 전통적인 평곡 연주는 점차 줄어들었고, 대신 지우타 샤미센, 고토, 고쿄와 같은 악기를 연주하거나 작곡하는 일, 그리고 침술과 안마가 당도좌의 주요 활동이 되었다. 이러한 막부의 맹인 보호 정책은 결과적으로 에도 시대의 음악과 침구 의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한편, 좌두 스모와 같은 구경거리에 종사하는 이들도 있었으며, 겐로쿠 시대 무렵부터는 관위 승진에 필요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고리대금업이 허용되기도 했다. 이로 인해 일부는 악덕 금융업자로 활동하기도 하였다.2. 3. 메이지 시대 이후
에도 막부가 맹인 단체인 당도좌에 부여했던 공인과 보호는 메이지 원년(1868년)에 폐지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