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연 (동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연은 오나라의 장수로, 본래 시(施)씨였으나 주치(朱治)의 양자가 되어 주(朱)씨 성을 사용했다. 손권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여요 현의 장으로 시작하여 임천 태수를 거쳐 대도독에 이르렀다. 관우 토벌전, 이릉 전투, 강릉 방어전 등에서 활약했으며, 특히 강릉 방어전에서 조비의 대군을 막아내 이름을 떨쳤다. 249년에 사망했으며, 아들 주적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년 출생 - 문소황후
문소황후는 후한 말기 조위의 인물로 조비의 황후이자 조예의 생모이며, 원희와 혼인했으나 조비의 아내가 되어 총애를 받았지만 소외되어 자결했고, 사후 조예에 의해 황후로 추존되었으며, 뛰어난 미모와 덕행, 조식과의 로맨스 설화로도 유명하다. - 182년 출생 - 손권
손권은 삼국시대 오나라의 초대 황제로, 손견의 아들이자 손책의 동생으로, 손책 사후 강동 지역을 계승하여 세력을 확장하고 오나라를 건국하여 강남 지역의 경제와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국력을 소모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 후저우시 출신 - 조맹부
조맹부는 시, 서, 화, 인에 모두 능했던 원나라의 예술가로, 서예에서 조체를 만들고 문인화를 부흥시켰으며, 대표작으로 《작화추색도》가 있다. - 후저우시 출신 - 예진황후
예진황후는 당 대종의 첩실이자 당 덕종의 생모로, 안사의 난으로 실종된 후 수십 년간 찾았으나 발견되지 못하고 당 헌종 때 추존되었으며, 그녀의 삶은 드라마로 재해석되기도 한다.
주연 (동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주연 (朱然) |
본명 | 시연 (施然) |
자 | 의봉 (義封) |
출생 | 182년 |
사망 | 249년 3월 또는 4월 (67세) |
출생지 | 저장성 안지현 |
친척 | 주치 (외삼촌) 주채 (형) 주기 (형) 주위 (형) 주완 (형) |
자녀 | 시적 |
직업 | 군사 장군 |
작위 | 당양후 (當陽侯) |
관직 | |
우군사 (右軍師) | 246년 9월 또는 10월 ~ 249년 3월 또는 4월 |
좌대사마 (左大司馬) | 246년 9월 또는 10월 ~ 249년 3월 또는 4월 |
우호군 (右護軍) | 229년 ~ 246년 9월 또는 10월 |
거기장군 (車騎將軍) | 229년 ~ 246년 9월 또는 10월 |
정북장군 (征北將軍) | 223년 ~ 229년 |
군주 | 손권 |
2. 초기 생애
주연은 본래 성이 시(施)씨였으나, 주치의 조카였다. 13세 무렵 손책이 주치의 양자로 주연을 들이도록 주선하였다. 당시 주치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손책은 단양군(丹陽郡)에 명하여 양고기와 술을 갖춰 주연을 대접하게 하였다. 주연이 오에 도착한 후에는 손책이 직접 후하게 대우했다.[1]
손권과는 어릴 적 함께 책을 읽으며 친분을 쌓았다. 손권이 손책의 뒤를 잇자, 19세에 회계군 여요 현령이 되었다. 이후 산음 현령으로 승진하여 절충교위(折衝校尉)를 겸하며 5개 현을 다스렸다. 손권은 주연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임천군을 설치하고, 주연을 태수로 임명하여 병사 2,000명을 지휘하게 했다. 이 무렵 산월족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주연은 한 달 만에 평정했다.[1]
주연은 키가 7척(약 161cm)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작았지만, 일의 옳고 그름에 대한 태도가 분명했고 검소했으며, 전장에서도 나라를 걱정했고, 엄격한 면과 상냥한 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서, 오나라 병사들에게 존경을 받고 있었다고 한다.
1984년 6월, 공장 건설 중 안후이성 마안산시에서 주연의 묘가 발견되었다. 그 안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복 장식품과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옻칠 일부가 발견되었다. 묘는 1,700년 가까이 지하에 있었다. 비록 도굴되었지만, 140개 이상의 귀중한 유물이 남아 있었다. 남아있는 매장품의 대부분은 나무로 만들어진 옻칠 제품이었다. 묘가 발견된 도로는 그의 명예를 기려 "주연로"로 개명되었다.
2. 1. 출생과 가계
주연은 본래 성이 시(施)씨였으나, 주치의 누이의 아들이었다. 13세 무렵 손책이 주치의 양자로 주연을 들이도록 주선하였다. 당시 주치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손책은 단양군(丹陽郡)에 명하여 양고기와 술을 갖춰 주연을 대접하게 하였다. 주연이 오에 도착한 후에는 손책이 직접 후하게 대우했다.[1]손권과는 어릴 적 함께 책을 읽으며 친분을 쌓았다. 손권이 손책의 뒤를 잇자, 19세에 회계군 여요 현령이 되었다. 이후 산음 현령으로 승진하여 절충교위(折衝校尉)를 겸하며 5개 현을 다스렸다. 손권은 주연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단양군을 분할해 임천군을 설치하고, 주연을 임천 태수로 임명하여 병사 2,000명을 지휘하게 했다. 이 무렵 산월족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주연은 한 달 만에 평정했다.[1]
2. 2. 손권과의 인연
손권과 주연은 함께 면학에 힘쓴 학우였기 때문에 두 사람의 신뢰는 돈독했다. 주연은 손책 사후 손권을 섬겨 19세 때에 여요(여요현)의 장이 되었다. 손권에게 재능을 높게 평가받아 머지않아 산음(산음현) 현령, 임천 태수가 되었고, 병사 2,000명을 맡았다. 그 무렵, 산적의 반란이 있었으나 한 달 만에 평정했다.[5]3. 오나라의 핵심 장수로 성장
손권과 함께 공부하며 친하게 지냈기 때문에, 두 사람의 신뢰는 두터웠다. 손책 사후 손권을 섬겨 19세 때 여요현의 장이 되었다. 손권에게 능력을 인정받아 산음현령, 임천태수가 되었고, 병사 2000명을 거느리게 되었다. 그 무렵, 산적의 반란이 있었으나 한 달쯤 지나서 평정했다. 조조가 유수구를 침공했을 때도 그곳의 방비를 맡았고, 그 공으로 편장군으로 임명되었다.[5]
241년 번성을 포위했지만, 형주자사 호질의 원군이 오자 퇴각했다.[6] 242년 조중(柤中) 정벌에 나섰는데 호질과 위나라 장수 포충이 저항하였다. 포충이 요충지를 차단해 퇴로를 끊으려했고, 호질은 포충을 계속 지원했다. 그러나 주연은 정예병 800명으로 역습을 가했고 포충은 불리함을 알고 호질과 함께 물러났다.[6] 246년 또 다시 조중을 침공에서는, 퇴로를 끊은 위나라 장수 이흥 등을 역습으로 물리쳤다. 이 공으로 좌대사마, 우군사로 승진하였다.[6]
245년 육손이 사망하자 주연은 손권으로부터 대도독으로 임명되어 오나라의 군권을 맡았다. 그러나 조중 침공 이후 병세가 악화되어 결국 249년, 향년 68세로 세상을 떠났다. 손권은 눈물을 흘려 주연의 죽음을 슬퍼했다고 한다. 스스로 상복을 입고 장례식을 치러 주었다.[6]
주연은 키가 작았지만, 옳고 그름에 대한 태도가 분명했고 검소했으며, 전장에서도 나라를 걱정했고, 엄격한 면과 따뜻한 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서, 오나라 병사들에게 존경을 받고 있었다고 한다.[6]
1984년 6월, 공장 건설 중 안후이성 마안산시에서 주연의 묘가 발견되었다. 그 안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복 장식품과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옻칠 일부가 발견되었다. 묘는 1,700년 가까이 지하에 있었다. 비록 도굴되었지만, 140개 이상의 귀중한 유물이 남아 있었다. 남아있는 매장품의 대부분은 나무로 만들어진 옻칠 제품, 즉 나무 접시, 나무 나막신, 교육적인 이야기와 그림이 그려진 나무 테이블 등이었다.[6]
묘가 발견된 도로는 그의 이름을 기려 "주연로"로 개명되었다.[6]
3. 1. 관우 토벌전
219년 관우 토벌전에서 여몽을 따라 반장과 함께 관우를 생포하는 큰 공을 세웠다.[5] 여몽이 병세가 위독해지자 주연을 자신의 후계자로 추천했고, 손권은 주연에게 가절을 내리고 강릉의 수비를 맡겼다.3. 2. 이릉 전투
222년, 유비가 오를 침공해오자 육손과 함께 이에 맞서 싸웠다. 주연은 별동대를 이끌고 유비의 퇴로를 차단하여 유비를 격파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5] 이 공으로 주연은 정북장군(征北將軍)으로 승진하고 영안후(永安侯)에 봉해졌다.3. 3. 강릉 방어전
222년, 위나라 조비가 세 방면으로 침공했을 때, 주연은 강릉(현재의 징저우)을 수비했다. 조진, 하후상, 장합 등 위나라 대군에 맞서, 병사 5천 명으로 성을 지켰다. 원군으로 온 제갈근은 하후상에게, 손성은 장합에게 격파되어 강릉은 위군에 포위되었다. 성 안에는 유행병이 돌고 식량이 부족했으며, 요태의 배신 음모까지 있었으나, 주연은 뛰어난 리더십과 지략으로 위군을 물리쳤다.[6] 이 공방전으로 주연의 이름은 위나라에 널리 알려졌고, 당양후로 책봉되었다.4. 이후 활동 및 죽음
손권과는 함께 면학에 힘쓴 학우였기 때문에 두 사람의 신뢰는 돈독했다. 손책 사후 손권을 섬겨 19세 때에 여요현의 장이 되었다. 손권에게 재능을 높게 평가받아 머지않아 산음현령, 임천태수가 되었고, 병사 2000명을 맡았다. 그 무렵, 산적의 반란이 있었으나 1개월쯤 지나서 평정했다. 조조가 유수구를 침공했을 때도 그곳의 방비를 맡았고 그 공으로 편장군으로 임명되었다.
219년 관우 토벌전에서는 여몽을 따라가 반장과 함께 관우를 생포하는 활약을 했고 그 공으로 소무장군으로 승진과 동시에 서안향후로 책봉된다. 여몽의 병세가 위독해질 때 여몽은 손권에게「주연은 대담함과 지조가 뛰어나다」 면서 주연을 자신의 후계자로 추천했다. 여몽이 죽고 난 뒤 손권은 주연에게 부절을 줘 강릉을 지키게했다.
222년 유비가 침공해오자 육손과 함께 유비에게 대항했다. 주연은 별동대를 인솔해 유비의 퇴로를 차단시켜 유비를 격파하는데 성공, 그 공으로 정북장군으로 승진하고 영안후로 책봉된다.
같은 해, 위나라의 조비가 세 방면으로 침공해올 때 주연은 강릉을 수비하게 되어 조진, 하후상, 장합과 대결했다. 원군으로 온 제갈근이 하후상에게, 손성이 장합에게 격파당하고 강릉은 위군에게 포위되어 고립되었다. 심지어 성 안에는 유행병이 퍼져 군사들 중에서 싸울 수 있는 병사는 겨우 5천 명뿐이었다. 그러나 주연은 군사들을 격려했고, 적군의 약점을 찾아 진영 두 곳을 공격해 물리쳤으며 틈을 타서 위군과 내통하려던 강릉현령 요태의 음모를 발각하고 그를 처단하였다. 적군의 포위는 반년동안 계속되었지만 위군은 결국 성을 함락시키지 못하고 철군하고 말았다. 이 공방전으로 인해 주연의 이름은 위나라에 알려지게 되었고, 당양후로 책봉되었다.
주연은 신장이 작았지만, 일의 옳고 그름에 대한 태도가 분명했고 검소하였으며, 전장에서도 나라를 걱정했고, 엄격한 면과 상냥한 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서, 오나라 병사들에게 존경을 받고 있었다고 한다.
1984년 6월, 공장 건설 중 안후이성 마안산시에서 주연의 묘가 발견되었다. 그 안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복 장식품과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옻칠 일부가 발견되었다. 묘는 1,700년 가까이 지하에 있었다. 비록 도굴되었지만, 140개 이상의 귀중한 유물이 남아 있었다. 남아있는 매장품의 대부분은 나무로 만들어진 옻칠 제품, 즉 나무 접시, 나무 나막신, 교육적인 이야기와 그림이 그려진 나무 테이블 등이었다.
묘가 발견된 도로는 그의 명예를 기려 "주연로"로 개명되었다.
4. 1. 위나라와의 전투
241년, 번성을 포위했지만, 형주자사 호질의 원군이 오자 퇴각했다.[7]242년, 조중 정벌에 나섰으나 호질과 위나라 장수 포충의 저항을 받았다. 포충이 요충지를 차단해 퇴로를 끊으려 했고, 호질은 포충을 계속 지원했다. 그러나 주연은 정예병 800명만으로 역습을 가했고, 포충은 불리함을 알고 호질과 함께 물러났다.[9]
246년, 다시 조중을 침공하여 퇴로를 끊은 위나라 장수 이흥 등을 역습으로 물리쳤다. 이 공으로 좌대사마, 우군사로 승진하였다.[12]
4. 2. 대도독 임명과 죽음
245년 육손(陸遜)이 사망하자 주연은 손권(孫權)으로부터 대도독(大都督)으로 임명되어 오나라 군권을 맡았다.[11] 그러나 조중 침공 이후 병세가 악화되어 249년 향년 68세로 세상을 떠났다.[11] 손권은 눈물을 흘리며 주연의 죽음을 안타까워했고,[11] 스스로 상복을 입고 장례식을 치러 주었다.[11] 손권은 주연을 위해 크게 울었다고 전해지며, 여몽과 능통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장례를 치렀다.[11]5. 성격 및 평가
주연은 신장이 7척(161cm)에 못 미쳤지만, 일의 옳고 그름에 대한 태도가 분명했고 검소했다.[1] 평소에도 전쟁 준비를 게을리하지 않았고, 엄격한 면과 상냥한 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 오나라 병사들에게 존경을 받았다.[2] 전장에서도 나라를 걱정했다고 한다.[3]
여몽은 손권에게 "주연은 대담함과 지조가 뛰어나다" 면서 자신의 후계자로 추천하기도 했다.[4]
진수는 "주환과 더불어 용맹한 장수로 명성이 높다"고 평가했다.[5] 위나라에서는 "주연은 오의 용맹한 장수"라고 불렀다고 한다.[6]
6.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에서 주연은 제76회에 처음 등장한다. 이릉 전투에 참전하여 손환과 함께 요격을 맡아 수로를 지켰다. 육손에게 패하여 달아나는 유비를 여러 장수들과 함께 추격하던 중, 성도에서 구원군을 이끌고 온 조운과 만나 싸우다 죽임을 당한다.[13] 이처럼 삼국지연의에서 주연은 실제 역사와는 달리 조연으로 등장하며, 이릉 전투에서 조운에게 죽임을 당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7. 묘
1984년 6월, 안후이성 마안산시 위산구 위산향의 방직 공장 건설 예정지에서 주연의 묘가 발견되었다. 도굴을 당했으나, 부장품이 다수 발굴되었다. 특히 자(刺, 명함)와 알(謁)이 동시에 출토된 것으로 보아, 이들이 동시대에 서로 다른 용도로 병용되었음이 밝혀지는 등, 오나라의 문화를 아는 데 귀중한 발견으로 평가받고 있다.[1]
1986년, 주연의 묘는 성의 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고, "주연로"라는 도로가 건설되는 등 주변 지역이 보호·정비되었다.[1]
8. 가계
참조
[1]
서적
Sanguozhi
[2]
서적
Sanguozhi
[3]
웹사이트
太学博士施士丐墓銘
https://zh.wikisourc[...]
[4]
서적
湖州呉興施氏族譜
[5]
문서
[6]
서적
建康実録
[7]
문서
[8]
서적
兵鏡
[9]
문서
[10]
문서
[11]
서적
漢晋春秋
[12]
서적
太平御覧
[13]
문서
[14]
서적
건강실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