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본 중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일본 중국 대사관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일본에 설치한 대사관이다. 1964년 8월 중화민국의 무역대표부가 설치되어 비공식적인 외교 창구로 활용되다가, 중일공동성명 발표와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 간 관계 정상화에 따라 중화민국 무역대표부가 문을 닫고, 1973년에 주일본 중국 대사관이 개설되었다. 역대 주일 중국대사에 대한 정보는 주일 중국대사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재외 공관 -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은 한일 기본 조약 체결 후 부산 지역의 일본 외교 및 영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일본의 외교 공관으로, 비자 발급, 문화 교류, 경제 협력, 정치 정보 수집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한일 관계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일본의 재외 공관 - 주한 일본 대사관
주한 일본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외교 업무를 수행하는 공관으로, 서울 종로구에 위치하며, 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논란의 중심에 있기도 하다. - 도쿄 주재 공관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도쿄 주재 공관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 외교부 소속 기관으로, 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외교를 담당하며, 1949년 주일본 한국대표부로 시작하여 1965년 대사관으로 승격되었고, 현재 도쿄도 미나토구에 위치하며 박철희 대사가 특명전권대사로 임명되어 도쿄도 등 6개 현을 관할한다. - 일본-중국 관계 - 야스쿠니 신사
야스쿠니 신사는 일본의 국가적 위기와 전쟁으로 사망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설립되었으나, A급 전범을 포함한 전쟁 관련 인물들의 합사로 인해 주변국들의 반발을 일으키며 과거사 논쟁의 중심에 있는 신사이다. - 일본-중국 관계 - 민생단 사건
민생단 사건은 1930년대 만주에서 일본 제국의 이간책으로 만들어진 친일 조직을 구실로 중국 공산당이 항일 무장 투쟁을 하던 조선인들을 숙청한 사건으로, 무고한 희생과 조선인-중국인 간 불신 심화, 항일 연대 약화를 초래했으며 김일성이 이 사건 수습 과정에서 지도력을 강화했다.
주일본 중국 대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주일본 중국 대사관 | |
![]() | |
개요 | |
약칭 | 없음 |
설립일 | 1973년 2월 1일 |
설립 근거 | 중일공동성명 |
전신 | 주일본 중화민국 무역사무소 |
소재지 | 일본 도쿄도 미나토구 모토아자부, 3-4-33 |
상급 기관 |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
웹사이트 | 주일본 중국 대사관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기관장 | 우장하오 (대사) |
공사 | 쉬용 |
산하 기관 | 주삿포로 중국 총영사관 주나고야 중국 총영사관 주니가타 중국 총영사관 주오사카 중국 총영사관 주나가사키 중국 총영사관 주후쿠오카 중국 총영사관 |
2. 역사
1964년 8월 중화민국의 무역대표부가 설치되어 비공식적인 외교 창구로 활용되었다.[1][2] 중일공동성명이 발표되고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 간 관계가 정상화됨에 따라 중화민국 무역대표부는 문을 닫고, 1973년에 주일본 중국 대사관이 개설되었다.[3][4]
2. 1. 중화민국 무역대표부 설치 (1964년)
1964년 8월 중화민국의 무역대표부가 설치되어 비공식적인 외교 창구로 활용되었다.[1][2]2. 2. 중일공동성명과 중화인민공화국-일본 관계 정상화 (1972년)
중일공동성명이 발표되고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 간 관계가 정상화됨에 따라 1973년에 주일본 중국 대사관이 개설되었다.[3][4]2. 3. 주일 중국 대사관 개설 (1973년)
1964년 8월 중화민국의 무역대표부가 설치되어 비공식적인 외교 창구로 활용되었다.[1][2] 중일공동성명이 발표되고,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 간 관계가 정상화됨에 따라서 중화민국 무역대표부는 문을 닫고, 1973년에 주일본 중국 대사관이 개설되었다.[3][4]3. 역대 주일 중국대사
역대 주일 중국대사는 다음과 같다.
대수 | 성명 | 임기 |
---|---|---|
초대 | 천즈팡 | 1973년 4월 ~ 1977년 1월 |
2대 | 푸하오 | 1977년 8월 ~ 1982년 2월 |
3대 | 쑹즈광 | 1982년 3월 ~ 1985년 8월 |
4대 | 장수 | 1985년 8월 ~ 1988년 4월 |
5대 | 양전야 | 1988년 4월 ~ 1993년 3월 |
6대 | 쉬둔신 | 1993년 3월 ~ 1998년 6월 |
7대 | 천젠 | 1998년 6월 ~ 2001년 7월 |
8대 | 우다웨이 | 2001년 7월 ~ 2004년 9월 |
9대 | 왕이 | 2004년 9월 ~ 2007년 9월 |
10대 | 추이톈카이 | 2007년 9월 ~ 2009년 12월 |
11대 | 청융화 | 2010년 2월 ~ 2019년 5월 |
12대 | 쿵쉬안유 | 2019년 5월 ~ 2023년 2월 |
13대 | 우장하오 | 2023년 3월 ~ 현재 |
참조
[1]
저널
The Japanese People and Japan's Policy Toward Communist China
https://journals.sag[...]
1969-09-01
[2]
저널
Japan's Taiwan Tangle
https://www.jstor.or[...]
1964
[3]
웹인용
Celebratory event for 75th anniversary of PRC founding held in Tokyo
https://www.chinadai[...]
2024-12-07
[4]
웹인용
欢迎辞_中华人民共和国驻日本国大使馆
http://jp.china-emba[...]
2024-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