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합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주합루(宙合樓)는 조선 시대 창덕궁 후원에 있는 2층 누각으로, 1776년(정조 1년)에 건립되었습니다.
주합루의 의미와 역사


  • 주합(宙合): '우주와 합일된다'는 뜻으로, 시간과 공간을 아우르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건립 배경: 정조는 즉위 후 척신들을 견제하고 학문을 연구하며 자신의 정책을 펼치기 위한 핵심 공간으로 규장각을 대폭 개편하면서 주합루를 건립했습니다.
  • 규장각: 조선 시대 역대 임금들의 글과 그림 등을 보관하던 왕실 도서관으로, 세조 때 처음 설립되었다가 폐지되었고, 숙종 때 다시 세워졌으나 규모가 작았습니다. 정조 때 규장각이 부활하면서 주합루가 건립되었습니다.

주합루의 구조와 기능

  • 2층 구조: 1층은 규장각(奎章閣)으로 책을 보관하고 사무를 보는 공간이었고, 2층은 주합루(宙合樓)로 정책을 논하고 독서하는 공간이었습니다.
  • 현판: 규장각 현판은 숙종이 직접 쓴 것을 사용했고, 주합루 현판은 정조가 직접 써서 걸었습니다.
  • 부속 건물: 주합루 서쪽에는 서향각, 동북쪽에는 천석정, 서남쪽에는 봉모당과 열고관, 개유와 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서향각과 천석정만 남아있습니다.
  • 어수문(魚水門): 주합루로 들어가는 정문으로, 임금을 물에, 신하들을 물고기에 비유하여 군신의 융화적 관계를 나타냅니다. 어수문은 임금이 사용하고, 옆의 작은 문은 신하들이 출입했습니다.
  • 건축 양식: 주합루는 정면 5칸, 측면 4칸의 2층 건물로, 겹처마와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용마루와 내림마루에는 장식을 하여 건물의 권위를 높였습니다.

주합루의 역할과 중요성

  • 왕실 도서관: 역대 왕들의 어제, 어필, 어진, 인장 등을 보관했습니다.
  • 학문 연구 및 정책 개발: 정약용, 박제가, 유득공, 이덕무 등 다양한 인재들이 활동하며 정조의 개혁 정치를 뒷받침했습니다.
  • 문화유산적 가치: 정조 시대 문예 부흥의 산실이자, 건물의 기능에 맞는 공간 배치가 돋보이는 건축물로, 역사적, 건축사적 가치가 높아 2012년 보물 제1769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기타

  • 1781년(정조 5년) 규장각이 궐내각사(이문원)로 옮겨진 후에는 건물 전체를 주합루라고 불렀습니다.
  • 주합루 왼편 건물은 책을 말리던 서향각(書香閣)으로 친잠례(왕비가 누에를 기르는 의식)를 하기도 했습니다.
  • 주합루의 오른쪽 앞쪽 건물은 왕 앞에서 과거 시험을 치루던 영화당(映花堂)입니다.


주합루
기본 정보
창덕궁 주합루
창덕궁 주합루
이름창덕궁 주합루
지정 번호1769
지정 연월일2012년 8월 16일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창덕궁 (와룡동)
소유자국유
수량1동(2층 누각)
종류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궁궐
제작 시기조선시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