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력광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력광자는 칼루차-클라인 이론에서 고차원 중력장의 성분 중 일부가 4차원에서 벡터 입자를 이룬 것을 말한다. 5차원 시공간을 4차원으로 축소하는 경우, 5차원 중력장은 4차원 계량 텐서(중력자), 중력광자, 라디온으로 분해될 수 있다. 고차원에서의 미분동형사상 게이지 대칭은 4차원에서 중력광자의 양-밀스 게이지 대칭으로 나타나며, 중력광자는 게이지 보손을 이룬다. 4차원 확장 초대칭 이론에서 중력자 초다중항은 중력자와 그래비티노 외에 벡터장과 스칼라장을 포함하며, 이 벡터장을 중력광자라고 한다. 확장 초대칭 중력광자는 칼루차-클라인 중력광자와 연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핀이 1인 아원자 입자 - 광자
    광자는 전자기파의 기본 입자이자 빛의 입자적 성질을 나타내는 양자이며, 전하를 띠지 않고 에너지와 운동량을 가지며 다양한 기술 분야에 응용된다.
  • 스핀이 1인 아원자 입자 - 글루온
    글루온은 쿼크 사이의 색력을 전달하는 기본 입자로, 색전하를 지닌 벡터 보손이며, 양자색역학에 따라 8가지 종류가 존재하고, 쿼크와 상호작용하여 하드론을 형성하지만 색 가둠 현상으로 인해 자유롭게 관측되지는 않는다.
  • 보손 - 광자
    광자는 전자기파의 기본 입자이자 빛의 입자적 성질을 나타내는 양자이며, 전하를 띠지 않고 에너지와 운동량을 가지며 다양한 기술 분야에 응용된다.
  • 보손 - 중력자
    중력자는 중력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가상의 기본 입자로 여겨지지만, 양자화된 일반 상대성 이론의 문제로 인해 완전한 이론이 확립되지 않았으며, 중력파의 존재가 간접적으로 뒷받침하지만 직접적인 검출은 현재 불가능하고 질량에 대한 상한선이 제시되고 있으며 초대칭 파트너인 그라비티노의 존재가 예측된다.
중력광자
일반 정보
이름중력광자
유형가설적인 기본 입자
상호 작용중력
이론적 모델켈루차-클라인 이론
반입자자기 자신
발견 여부미발견
이론적 특징
스핀1
전하0
질량0 (무질량으로 추정)
상호작용 매개중력
관련 입자
관련 입자중력자
광자

2. 칼루차-클라인 이론에서의 중력광자

칼루차-클라인 이론에서 고차원 중력장 성분 중 일부는 4차원에서 벡터 입자로 나타나는데, 이를 '''중력광자'''라고 한다. 고차원에서의 미분동형사상 게이지 대칭은 4차원에서 중력광자의 양-밀스 게이지 대칭으로 나타나며, 이에 따라 중력광자는 게이지 보손을 이룬다.

2. 1. 5차원 시공간에서의 중력광자

칼루차-클라인 이론에서는 일반적으로 고차원의 중력장 성분 중 일부가 4차원에서 벡터 입자를 이룬다. 이러한 입자들을 '''중력광자'''라고 한다.

예를 들어, 가장 간단하게 5차원 시공간을 4차원으로 축소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 5차원 중력장 G_{MN}을 다음과 같은 4차원 성분으로 분해할 수 있다.

:G_{MN}=\begin{pmatrix}

G_{\mu\nu}&G_{\mu4}\\

G_{4\mu}&G_{44}

\end{pmatrix}

여기서 M,N=0,1,2,3,4이고, \mu,\nu=0,1,2,3이다. 즉, G_{\mu\nu}는 4차원 계량 텐서(중력자)이다. 또한, G_{\mu4}=G_{4\mu}=A_\mu는 4차원 벡터장을 이루는데, 이를 중력광자라고 한다. G_{44}는 간혹 라디온이라고 불리는 4차원 스칼라장을 이룬다.

고차원에서의 미분동형사상 게이지 대칭은 4차원에서 중력광자의 양-밀스 게이지 대칭으로 나타난다. 즉, 중력광자는 게이지 보손을 이룬다.

2. 2. 미분동형사상과 양-밀스 이론

칼루차-클라인 이론에서 고차원의 미분동형사상 게이지 대칭은 4차원에서 중력광자의 양-밀스 게이지 대칭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중력광자는 게이지 보손을 이룬다.

3. 확장 초대칭에서의 중력광자

4차원 \mathcal N=2 초중력 이론에서, 중력자 초다중항은 중력자와 그래비티노 외에 벡터장과 스칼라장을 포함한다. \mathcal N=2 중력자 초다중항은 \mathcal N=1 중력자 초다중항과 \mathcal N=1 벡터 초다중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중력자 초다중항에 포함된 벡터장을 중력광자라고 한다.

3. 1. 칼루차-클라인 축소화와의 연관성

4차원 확장 초대칭 이론은 대개 고차원 초대칭 이론을 칼루차-클라인 이론으로 축소화하여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확장 초대칭) 중력광자는 대개 칼루차-클라인 중력광자와 같다.[1]

참조

[1] 논문 Strong anti-gravity
[2] 논문 Brane-World Gravity 2004-06-21
[3] 학위논문 Extended Supergravity with a Gauged Central Charge http://resolver.calt[...] 1979
[4] 논문 Antigravity: A Crazy Idea? 1979
[5] 논문 Antigravity and classical solutions of five-dimensional Kaluza-Klein theory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