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중화절(中和節)은 음력 2월 1일에 농사철이 시작되는 것을 기념하는 중국과 조선의 세시 풍속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머슴들에게 송편 등을 나누어 주고, 궁중에서는 임금이 재상과 시종들에게 잔치를 베풀고 중화척을 나누어 주기도 했다.
1796년(정조 20)에 처음으로 중국의 풍습을 본떠 임금이 공경(公卿)과 근신(近臣)들에게 잔치를 베풀고 중화척을 나누어줌으로써 중화절이 시작되었다. 중화척은 반죽(班竹)이나 적목(赤木 : 이깔나무)으로 만든 자인데, 바느질자(布帛尺)보다 조금 짧다.
이월 초하루를 삭일(朔日)이라고도 하였으며, 이날 왕이 신하들에게 중화척(中和尺)이라는 자를 하사하여 농사를 장려하였다.
중화절은 노비일(奴婢日) 혹은 머슴날이라고도 불렀다. 주인은 농사의 시작일인 중화절에 한 해 농사가 잘되길 기원하며 머슴들을 술과 음식으로 위로하였다. 정월 대보름날에 세워 두었던 볏가릿대인 화간(禾竿)에서 벼를 내려 떡을 만들고, 노비의 나이 수대로 먹게 하였다. 또한 이날은 각 가정에서는 대청소를 한다. 집안을 청소하고 '향랑각시여 빨리 천리 밖으로 사라져라'라는 뜻의 '향랑각씨속거천리(香娘閣氏速去千里)'라는 구절을 써서 서까래 위에 거꾸로 붙였다. 향랑각시는 노래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붉은색의 주사(朱砂)나 검은색 묵서(墨書)로 부적을 만들어 붙이면 노래기가 없어진다고 믿었다.
중화절 | |
---|---|
중화절 | |
공식 이름 | 중화절(中和節) |
중요도 | 농사철이 시작됨 |
날짜 | 음력 2월 1일 |
축제 | 송편, 중화척 |
행사 | 잔치 |
관련 | 머슴날, 영등날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