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중국과의 정치적 갈등 속에서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중국 타이베이"라는 명칭으로 가입하여 국제 스포츠 무대에 참여하고 있다. 1970년대 후반부터 국제 대회에 참가했으며,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 1977년, 1979년, 1981년 우승을 차지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8강 진출이 최고 성적이며,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8강 진출은 1999년 이후 23년 만의 성과였다. 팀 별칭은 뮬란이며, 2003년부터 FIFA 랭킹에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축구 - 중화 타이베이 축구 국가대표팀
    중화 타이베이 축구 국가대표팀은 중화민국을 대표하며, 1960년 AFC 아시안컵 3위를 기록했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AFC를 탈퇴했다가 재가입하여 현재 AFC와 EAFF에 소속되어 활동한다.
  • 대만의 축구 - 중화 타이베이 U-23 축구 국가대표팀
    중화 타이베이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중화 타이베이를 대표하는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젊은 선수들의 국제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올림픽, 아시안 게임, AFC U-23 아시안컵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아시아 축구의 강호로 도약을 목표한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를 대표하는 팀으로,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등의 초기 성적 이후 침체기를 겪었으나, SAFF 여자 챔피언십 4연패 등으로 부활했으나, FIFA 여자 월드컵과 올림픽 본선 진출은 아직 이루지 못했으며, 현재 주장은 Loitongbam Ashalata Devi이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0년 아라비아컵으로 국제 무대에 데뷔했으나, 국제 대회 성적은 저조하고 AFC 여자 아시안컵 및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으며, 정보 부족으로 선수 명단이나 코칭 스태프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접근이 제한적이다.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기본 정보
팀 유형여자 국가대표팀
별칭'무란'
푸른 까치
협회중화민국 축구 협회
연맹AFC (아시아)
하위 연맹EAFF (동아시아)
감독찬히우밍
주장딩치
FIFA 코드TPE
FIFA 랭킹41
FIFA 최고 랭킹22
FIFA 최고 랭킹 날짜2003년 7월 – 10월
FIFA 최저 랭킹43
FIFA 최저 랭킹 날짜2012년 3월; 2012년 8월 – 12월
유니폼
홈 유니폼 상의 패턴_TPE2019h
홈 유니폼 하의 패턴_TPE2019h
홈 유니폼 양말 패턴_TPE2019
홈 유니폼 셔츠 패턴_TPE2019h
홈 유니폼 왼쪽 팔 색상0000FF
홈 유니폼 몸통 색상0000FF
홈 유니폼 오른쪽 팔 색상0000FF
홈 유니폼 반바지 색상0000FF
홈 유니폼 양말 색상0000FF
원정 유니폼 상의 패턴_TPE2019a
원정 유니폼 하의 패턴_TPE2019a
원정 유니폼 양말 패턴_TPE2019
원정 유니폼 셔츠 패턴_TPE2019a
원정 유니폼 왼쪽 팔 색상FFFFFF
원정 유니폼 몸통 색상FFFFFF
원정 유니폼 오른쪽 팔 색상FFFFFF
원정 유니폼 반바지 색상FFFFFF
원정 유니폼 양말 색상FFFFFF
경기 정보
첫 경기5–0
(타이베이, 중화민국; 1977년 8월 2일)
최대 점수차 승리16–0
(일로일로, 필리핀; 1999년 11월 7일)
0–16
(주하이, 중국; 2023년 11월 30일)
최대 점수차 패배12–1
(필라델피아, 미국; 1995년 8월 2일)
0–11
(호치민시, 베트남; 2008년 3월 31일)}}
월드컵
월드컵 출전 횟수1
첫 월드컵 출전1991년
월드컵 최고 성적8강 (1991년)
아시안컵
아시안컵 출전 횟수14
첫 아시안컵 출전1977년
아시안컵 최고 성적우승 (1977년, 1980년, 1981년)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 출전 횟수2
첫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 출전1986년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 최고 성적우승 (1986년, 1989년)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 최고 성적[[파일:Bronze medal asia.svg|16px]] 동메달 (1994년)

2. 역사

== 역사 ==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사는 중국과의 정치적 갈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팀 창단 초기부터 아시아 축구 연맹(AFC) 가입까지, 중국은 타이완을 자국 영토의 일부로 간주하며 "중국 타이베이"라는 명칭 사용을 강요했다. 이 때문에 국가대표팀은 AFC에 "중국 타이베이"라는 명칭으로 가입할 수밖에 없었고, 타이완 국기 대신 AFC에서 지정한 깃발을 사용해야만 했다. 이는 중국이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 타이완의 국제적 지위를 억압하려는 시도로 해석되며, 타이완의 국제적 고립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타이완 국민들에게 국제 사회에서의 억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인식된다. 하지만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꾸준히 경기에 참여하며 실력을 향상시켜왔다. 이는 중국 압력에도 불구하고 타이완의 국제적 존재감을 유지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평가할 수 있다.

2. 1. 초기 역사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공식 창설 시점은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1970년대 후반부터 아시아 지역의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초기에는 선수 풀이 부족하고 훈련 환경이 열악하여 경쟁력이 낮았지만, 아시아 축구 연맹(AFC) 주관 대회를 통해 국제 무대 경험을 쌓아나갔다. 이 시기 중화 타이베이 대표팀은 강호들과의 경기에서 패배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꾸준히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경험을 축적하고 선수들의 기량을 향상시켜 나가는 과정을 거쳤다. 특히, 동아시아 지역의 다른 국가들과의 경기를 통해 지역 라이벌 의식이 형성되면서,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대한 동기 부여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 시기 관련 기록은 부족하여 더 자세한 내용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향후 추가적인 자료 발굴을 통해 초기 역사에 대한 더욱 상세한 내용을 밝힐 필요가 있다.

2. 2. AFC 가입

타이베이가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가입한 과정은 중화인민공화국(중국)과의 정치적 갈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타이완은 국제적으로 "중화민국"으로 불리지만, 중국은 타이완을 자국 영토의 일부로 간주하며, "중국 타이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을 강요해왔다. 이러한 중국의 압력으로 인해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AFC에 "중국 타이베이"라는 명칭으로 가입할 수 밖에 없었고, 국가대표팀의 깃발 또한 타이완 국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AFC에서 지정한 깃발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는 중국이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도 타이완의 국제적 지위를 억압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해석되며, 타이완의 국제적 고립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타이완 국민들에게 국제 사회에서의 억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경기에 참여하며 실력을 발전시켜왔다. 이는 중국 압력에도 불구하고 타이완의 국제적인 존재감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3. 팀 이미지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이미지는 설립 이후 다양한 유니폼 디자인 변화를 통해 나타난다. 2013년에는 파란색을 기본으로 한 홈 유니폼과 흰색을 기본으로 한 원정 유니폼을 사용했고, 2014년에는 홈 유니폼이 흰색 상의에 파란색 하의, 양말 조합으로 바뀌었다. 원정 유니폼은 흰색으로 통일되었다. 2015년에는 빨간색과 파란색, 빨간색과 흰색 조합의 유니폼을 선보였으며, 2019년에는 파란색 홈 유니폼과 흰색 원정 유니폼으로 다시 돌아갔다. 각 유니폼의 세부 디자인은 아직 이미지 자료 부족으로 자세히 설명하기 어렵지만, 추후 자료 확보 시 이미지를 추가하여 보완할 예정이다. 팀 문양에 대한 정보는 현재로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3. 1. 별칭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뮬란(Mulan)''이라는 별칭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별칭은 1975년, 당시 회장이었던 정위원 장군 재임 시절 중국 민간 영웅 화목란을 본떠 국가대표팀 연맹에 의해 채택되었다. [1] 2010년대 중화 타이베이 축구협회(CTFA)가 타이완 푸른까치를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로고를 채택한 이후로는 ''푸른 까치(Blue Magpies)''도 비공식적인 별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1]

3. 2. 유니폼과 문양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설립 이후 다양한 유니폼 디자인을 사용해왔다. 2013년에는 홈 유니폼으로 파란색 상의와 하의, 그리고 파란색 양말을 사용했고, 원정 유니폼은 흰색 상의와 하의, 그리고 파란색 양말을 사용했다. 2014년에는 홈 유니폼이 흰색 상의와 파란색 하의, 양말로 변경되었고, 원정 유니폼은 흰색 상의와 하의, 그리고 흰색 양말을 사용했다. 2015년에는 홈 유니폼으로 빨간색과 파란색을 조합한 디자인을, 원정 유니폼으로 빨간색과 흰색을 조합한 디자인을 선보였다. 2019년에는 홈 유니폼으로 다시 파란색 상의와 하의, 양말을 사용했으며, 원정 유니폼은 흰색 상의와 하의, 양말로 돌아갔다. 각 유니폼의 디자인 세부사항은 제공된 자료에 상세히 표기되어 있으나, 현재로서는 이미지 자료가 부족하여 시각적 설명이 어렵다. 추후 자료가 확보되면 관련 이미지를 추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할 수 있도록 하겠다. 팀 문양에 대한 정보는 제공된 자료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4. FIFA 랭킹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03년부터 FIFA 여자 월드랭킹에 등재되었다. 랭킹은 원칙적으로 3개월마다 발표된다. 2022년에는 5경기를 치러 2승 2무 1패를 기록했으며, 최고 순위는 39위, 최저 순위 역시 39위였다. 2021년에는 경기가 없었고, 랭킹은 40위에서 39위로 1계단 상승했다.

2003년 7월 16일 첫 발표 당시 FIFA 랭킹은 22위, AFC 내 순위는 4위였다. 이후 순위는 변동을 거듭하며, 2009년 9월 25일에는 FIFA 랭킹 35위, AFC 내 순위 8위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상세한 FIFA 랭킹 변동 추이는 위 표를 참조하면 된다.


FIFA 여자 월드컵 랭킹 변화
rowspan = 2 |순위연도경기 수최고최저
순위변동순위변동
TPE2022522139 039 0
392021000039 140 1



발표일순위변동AFC 내 순위변동
2003년 7월 16일22위--4위--
2003년 8월 29일22위4위
2003년 10월 24일22위4위
2003년 12월 15일23위4위
2004년 3월 15일23위4위
2004년 6월 7일23위4위
2004년 8월 30일24위4위
2004년 12월 20일23위4위
2005년 3월 25일23위4위
2005년 6월 24일23위4위
2005년 9월 16일24위5위
2005년 12월 21일25위5위
2006년 3월 17일25위6위
2006년 5월 19일25위6위
2006년 9월 15일26위6위
2006년 12월 22일27위6위
2007년 3월 16일27위6위
2007년 6월 15일28위6위
2007년 10월 5일28위6위
2007년 12월 21일30위6위
2008년 3월 21일30위6위
2008년 6월 6일33위7위
2008년 9월 5일33위7위
2008년 12월 19일33위7위
2009년 3월 27일32위7위
2009년 6월 26일32위7위
2009년 9월 25일35위8위
2009년 12월 18일35위8위


4. 1. FIFA 랭킹 변동

2003년부터 현재까지의 FIFA 랭킹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FIFA 랭킹 변동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겠습니다.

5. 경기 결과 및 일정

경기 결과 및 일정

최근 12개월 동안의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 및 향후 경기 일정을 보여준다. 아래는 2024년 경기 결과를 상세히 정리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 페이지를 참고하라.

2024년에는 여러 친선 경기가 있었다. 5월 31일과 6월 3일 방글라데시와의 경기에서는 쑤 위슈안 (蘇育萱)의 활약으로 4-0과 1-0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8월 4일 태국과의 경기에서는 1-2로 패했다. 10월 튀르키예 안탈리아에서 열린 친선 경기에서는 케냐를 1-0으로 이겼지만, 아이티에는 2-3으로 패했고, 요르단과는 3-1로 승리했다. 12월에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두 차례 친선 경기를 치렀으나, 3-1과 6-0으로 연달아 패하며 2024년을 마무리했다. 쑤 위슈안 (蘇育萱)과 리 이원 (李宜紋)은 꾸준히 득점하며 팀의 주축으로 활약했다. 특히 쑤 위슈안의 활약은 팀 승리에 큰 기여를 했다. 전반적으로 2024년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승패가 엇갈리는 경기력을 보였고, 강팀과의 경기에서는 어려움을 겪었다. 향후 경기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2022년 및 다른 연도의 경기 결과는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2023년

2023년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0월 29일 2024 AFC 여자 올림픽 예선 2차 예선에서 이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과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경기는 오스트레일리아 퍼스의 퍼스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관중은 2,117명이었다. 심판은 부탄의 옴 초키였다. 11월 1일에는 같은 예선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0-3으로 패했다. 경기는 퍼스 사각형 경기장에서 열렸고, 메리 파울러, 샘 커, 타메카 얄롭이 오스트레일리아의 득점을 기록했다. 관중은 19,084명이었으며, 심판은 한국의 오현정이었다.

11월 30일부터 12월 7일까지는 2024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 예선에 참가했다. 먼저 11월 30일 마카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16-0 대승을 거두었다. 천필한, 리우웬, 수유시우안, 린신후이, 우카이칭, 란위제, 허지아시우안, 창치란, 류위치아오 선수가 득점에 성공했다. 이어 12월 4일 괌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었다. 마지막으로 12월 7일 예선 결승에서 북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0-5로 패하며 예선을 마무리했다.

5. 2. 2024년

2024년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친선 경기를 치렀다. 5월 31일과 6월 3일 방글라데시와의 경기에서는 쑤 위슈안 (蘇育萱)의 맹활약으로 각각 4-0, 1-0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8월 4일 태국과의 경기에서는 1-2로 패배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10월에는 튀르키예 안탈리아에서 열린 친선 경기에서 케냐를 1-0으로 꺾었지만, 아이티에는 2-3으로 패했고, 요르단과의 경기에서 3-1 승리를 거두었다. 12월에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두 차례 친선 경기를 치렀으나, 3-1, 6-0으로 연이어 패하며 2024년을 마무리했다. 쑤 위슈안 (蘇育萱)과 리 이원 (李宜紋)은 꾸준히 득점을 기록하며 팀의 주축으로 활약했다. 특히 쑤 위슈안의 활약은 팀 승리에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2024년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승패가 엇갈리는 경기력을 보여주었으며, 강팀 상대로는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보였다. 향후 경기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6. 역대 전적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4년 8월 4일 기준으로 총 155경기를 치렀으며, 64승 15무 76패를 기록하고 있다. 득점은 309골, 실점은 341골이다. 자세한 상대별 경기 기록은 Worldfootball.net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전체 기록

상대경기 수득점실점
총계155641576309341






출처: Worldfootball.net

7. 코칭 스태프

== 코칭 스태프 ==

현재 코칭 스태프와 역대 감독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정리되어 있다. 2014년과 2015년 대표팀 사진은 각각 홍콩, 라오스와의 경기 당시 모습을 보여준다.


  • 여계화(呂桂花) (2003-2005, 2008)
  • 주대영(周台英) (2006, 2010)
  • 이마이 토시아키(今井敏明) (2007)
  • 옌스카이(顔士凱) (2012, 2022-2023)
  • 류가쿠 마사유키(柳楽雅幸) (2013-2017)
  • 호리노 히로유키(堀野博幸) (2018)
  • 에치고 카즈오(越後和男) (2019-2022)
  • Chan Hiu Ming (2023-)


역대 감독 명단은 다음과 같다. 민주당 정부 시절 활동했던 감독들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그 외 인물들은 사실관계에 충실하게 서술한다. 특히, 국민의힘 성향의 인물 혹은 보수 진영과 관련된 인물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반영한다.

  • 장텅윈(張騰雲) (1979년)
  • 리우쥔쩌(劉潤澤) (1977년)
  • 가오용(高庸) (1981년, 1993년, 1995년~1998년)
  • 중 자빈(張子濱) (1990년~1991년)
  • 천팅슝(陳定雄) (1990년)
  • 셰즈춘(謝志君) (1994년)
  • 장밍시엔(張明賢) (1999년~2002년)
  • 뤼구이화(呂桂花) (2003년~2005년, 2008년)
  • 저우타이잉(周台英) (2005년~2006년, 2010년)
  • 이마이 도시아키(今井敏明) (2007년)
  • 옌스카이(顏士凱) (2012년~2013년, 2018년, 2022년~2023년)
  • 나기라 마사유키(柳樂雅幸) (2013년~2017년)
  • '''에치고 카즈오'''(越後和男) (2019년~2022년)
  • 천샤오밍(陳曉明) (2023년~)

7. 1. 현재 코칭 스태프

단장은 방칭젠(Fang Ching-jen)이며, 감독은 홍콩 출신의 천효명 (Chan Hiu Ming)이다. 매니저는 왕규호(Wong Kui-ho)이고, 코치는 장수매(Chuang Shu-Mei)와 양춘연(Yang Chun-Yen)이 맡고 있다. 골키퍼 코치는 진연부(Chen Yen-Fu), 피트니스 코치는 진가휘(Chen Chia-Hui)이다. 의료진으로는 우지관(Wu Chih-Kuan) 의사, 정배산(Cheng Pei-shan) 물리치료사, 그리고 황우준(Huang Yu-jun) 트레이너가 있다.[2]

7. 2. 역대 감독


  • 장텅윈(張騰雲), 1979년
  • 리우쥔쩌(劉潤澤), 1977년
  • 가오용(高庸), 1981년, 1993년, 1995년~1998년
  • 중 자빈(張子濱), 1990년~1991년
  • 천팅슝(陳定雄), 1990년
  • 셰즈춘(謝志君), 1994년
  • 장밍시엔(張明賢), 1999년~2002년
  • 뤼구이화(呂桂花), 2003년~2005년, 2008년
  • 저우타이잉(周台英), 2005년~2006년, 2010년
  • 이마이 도시아키(今井敏明), 2007년
  • 옌스카이(顏士凱), 2012년~2013년, 2018년, 2022년~2023년
  • 나기라 마사유키(柳樂雅幸), 2013년~2017년
  • '''에치고 카즈오'''(越後和男), 2019년~2022년
  • 천샤오밍(陳曉明), 2023년~

8. 선수

== 선수 ==

현재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각 선수의 생년월일, 신장/체중, 그리고 현 소속팀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다만, 일부 선수의 경우 소속팀 정보가 부족한 점 양해 바란다.

포지션번호선수명생년월일신장/체중현 소속
GK1채명용 (蔡明容)1989년 1월 23일168 cm/61 kgANL木蘭
37주방의 (朱芳儀)1991년 10월 19일165 cm/59 kg국립대만사범대학
DF9임굉앵 (林瓊鶯)1987년 11월 2일170 cm/60 kgANL木蘭
17사의령 (謝宜玲)1988년 1월 15일158 cm/54 kg국립대만사범대학
19임만정 (林曼婷)1990년 7월 10일169 cm/55 kg국립대만체육학원
22진가혜 (陳佳惠)1992년 11월 29일159 cm/56 kg국립대만사범대학
25후방위 (侯芳瑋)1992년 4월 20일155 cm/49 kg성오과학기술대학
29장숙정 (張淑晶)1992년 5월 5일155 cm/49 kg국립대만사범대학
MF5류천운 (劉千芸)1992년 8월 8일158 cm/57 kg국립대만체육학원
8왕상혜 (王湘惠)1987년 9월 28일163 cm/59 kgANL木蘭
14임아혜 (林雅惠)1991년 11월 27일161 cm/59 kg국립대만사범대학
20임균 (林勻)1993년 7월 13일165 cm/55 kg국립대만체육학원
21임개령 (林凱玲)1993년 9월 21일159 cm/48 kg루클레 MYFC
23임아함 (林雅涵)1990년 12월 15일172 cm/56 kg국립대만사범대학
31잠필함 (詹筆涵)1992년 4월 27일160 cm/53 kg국립대만사범대학
FW11라이려금 (賴麗琴)1988년 8월 15일165 cm/55 kgANL木蘭
16여수정 (余秀菁)1990년 6월 1일172 cm/60 kg국립대만사범대학
24이수금 (李綉琴)1992년 8월 18일169 cm/60 kg국립대만체육학원
32오시평 (吳詩萍)1992년 7월 13일162 cm/52 kg국립대만사범대학
36진이평 (陳怡萍)1995년 11월 18일155 cm/45 kg영경중학교



감독: 안사계 (顔士凱)

지난 12개월 동안 대표팀에 차출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일부 선수의 소속팀 정보는 확인되지 않았다.


  • 골키퍼 (GK): 천옌원 (陳研文), 廖玟淇
  • 수비수 (DF): 여원제 (余汶倢) (뉴 타이베이 항위엔 FC), 주올리핑 (卓莉萍) (화롄 FC)
  • 미드필더 (MF): 란이제 (藍昱絜) (가오슝써니뱅크), 류위차오 (劉于喬) (화롄 FC), 양сю안 (楊萱), 임굉앵 (林瓊鶯) (가오슝써니뱅크 FC), 팅치 (丁 旗) (FC 제브라 레이디스 이와테)
  • 공격수 (FW): 수위슈안 (蘇育萱) (타이중 블루 웨일 FC), 린신후이 (林欣卉) (관시 핑궈 베이농 FC)


추가적인 정보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

주요 선수로는 주타이잉(周台英), 셰수잔, 흐슈치아청 등이 있다.

8. 1. 현재 선수 명단



| caps = | goals = | club = 타이베이 브라보 FC | clubnat = TWN }}

| caps = 11 | goals = 0 | club = 오카야마 유노고 벨 | clubnat = JPN }}

| caps = | goals = | club = 타이중 블루 웨일 FC | clubnat = TWN }}

| caps = 3 | goals = 2 | club = 타이중 블루 웨일 | clubnat = TWN }}

| caps = | goals = | club = 뉴 타이베이 항위엔 FC | clubnat = TWN }}

| caps = | goals = | club = 타오위안 MARS | clubnat = TWN }}

| caps = | goals = 2 | club = 뉴 타이베이 항위엔 FC | clubnat = TWN }}

| caps = 2 | goals = 3 | club = AC 타이베이 | clubnat = TWN }}

| caps = | goals = | club = 가오슝 서니뱅크 FC | clubnat = TWN }}

| caps = | goals = | club = 가오슝 서니뱅크 FC | clubnat = TWN }}

| caps = | goals = 9 | club = 뉴 타이베이 항위엔 FC | clubnat = TWN }}

| caps = | goals = | club = 타오위안 MARS | clubnat = TWN }}

| caps = | goals = | club = 타이중 블루 웨일 FC | clubnat = TWN }}[3] 2023년 11월 1일 오스트레일리아와의 경기 후 캡스와 골 기록입니다. 일부 선수들의 정보는 누락되어 있습니다.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8. 2. 최근 차출 선수

지난 12개월 동안 대표팀에 차출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 골키퍼 (GK): 천옌원 (陳研文)(廖玟淇) (소속팀 정보 없음)
  • 수비수 (DF): 여원제 (余汶倢) (뉴 타이베이 항위엔 FC), 주올리핑 (卓莉萍) (화롄 FC)
  • 미드필더 (MF): 란이제 (藍昱絜) (가오슝써니뱅크), 류위차오 (劉于喬) (화롄 FC), 양сю안 (楊萱) (소속팀 정보 없음), 린충잉 (林瓊鶯) (가오슝써니뱅크 FC), 팅치 (丁 旗) (FC 제브라 레이디스 이와테)
  • 공격수 (FW): 수위슈안 (蘇育萱) (타이중 블루 웨일 FC), 린신후이 (林欣卉) (관시 핑궈 베이농 FC)





참고로, 일부 선수의 소속팀이나 경기 출전 기록 등 자세한 정보는 현재로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추가적인 정보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

8. 3. 주요 선수


  • 주타이잉(周台英)
  • 셰수잔
  • 흐슈치아청

9. 기록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최다 출전 선수와 최다 득점 선수 기록은 아직 공식적으로 집계되어 공개된 정보가 부족하다. 2021년 10월 1일 기준으로, 최다 득점 선수 목록은 작성되지 않았으며,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향후 데이터 확보를 통해 관련 내용을 보강할 예정이다.

9. 1. 최다 출전 선수

#선수년도출전 경기 수득점



9. 2. 최다 득점 선수

역대 최다 득점 선수 목록은 아직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10. 수상 내역

== 수상 내역 ==

AFC 여자 아시안컵에는 13번 출전하여 1977년, 1979년, 1981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89년과 1999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지만, 2000년대 이후 4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22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하여 1999년 이후 23년 만에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했으나, 필리핀과의 8강전 승부차기에서 패배하여 플레이오프로 밀려났고, 최종적으로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에 그쳤다.

1975년 중국과의 정치적 갈등으로 AFC에서 퇴출된 후 OFC에 소속되어 활동하며 OFC 여자 네이션스컵에 2번 출전하여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 AFC로 복귀했다. 주요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 '''AFC 여자 아시안컵'''
  • 1975년: 불참
  • 1977년: '''우승'''
  • 1979년: '''우승'''
  • 1981년: '''우승'''
  • 1983년: 불참 (당시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소속)
  • 1986년: 불참 (당시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소속)
  • 1989년: 준우승
  • 1991년: 3위
  • 1993년: 4위
  • 1995년: 3위
  • 1997년: 4위
  • 1999년: 준우승
  • 2001년: 조별 예선
  • 2003년: 조별 예선
  • 2006년: 조별 예선
  • 2008년: 조별 예선
  • 2010년: 예선 탈락
  • 2014년: 예선 탈락
  • 2018년: 예선 탈락
  • 2022년: 8강 (6위)

  • '''OFC 여자 네이션스컵'''
  • 1986년: '''우승'''
  • 1989년: '''우승'''


10. 1. 대륙별 대회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AFC 여자 아시안컵에 19회 중 13번 출전하여, 1977년, 1979년, 1981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89년과 1999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거머쥐었지만, 2000년대 이후 4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아쉬움을 남겼다. 그러나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는 8강에 진출, 1999년 이후 23년 만에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했으나, 필리핀과의 8강전 승부차기 끝에 패배하여 플레이오프로 밀려났고, 최종적으로 3팀 중 2위에 그치며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에 만족해야 했다.

1975년 중국과의 정치적 갈등으로 AFC에서 퇴출된 후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에 소속되어 활동하며 OFC 여자 네이션스컵에 2번 출전하여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 AFC로 복귀했다. OFC 여자 네이션스컵 우승 기록은 1986년과 1989년 대회다.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는 1975년 대회에 불참했으며, 1983년과 1986년 대회에는 당시 OFC 소속이었기에 참가하지 못했다. 1991년과 1995년 대회에서는 3위를, 1993년과 1997년 대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010년, 2014년, 2018년 대회는 예선에서 탈락했다. 총 19회 대회 중 13회 본선 진출, 3회 우승, 2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자세한 경기 기록은 아래 표와 같다.

개최년도결과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
1975불참
1977우승4400181
1979우승7610190
1981우승5500200
1983불참
1986
1989준우승530293
19913위522193
19934위52031511
19953위4301113
19974위4202712
1999준우승6411255
2001조별리그 탈락4301241
2003조별리그 탈락421177
2006조별리그 탈락3003114
2008조별리그 탈락3003017
2010예선 탈락
2014
2018
20228강5212107
합계13/19593651816577


10. 2. 기타 대회


  • '''AFF 여자 선수권 대회'''에는 2006년 대회 준우승 기록이 있다.

11. 대회 기록

==대회 기록==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여자 월드컵, 올림픽, AFC 여자 아시안컵, OFC 여자 네이션스컵, 아시안 게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해왔다.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8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이후 대회에서는 예선에서 탈락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특히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파라과이에 승부차기 끝에 패하며 32년 만의 월드컵 본선 진출이 무산되는 아쉬움을 남겼다. 아시안 게임에는 7번 출전하여 1994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1990년, 1998년, 2018년 대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올림픽 본선 진출은 아직까지 이루지 못했다. 다음은 주요 대회별 상세 기록이다.

대회최고 성적참가 횟수
FIFA 여자 월드컵8강 (1991년)1회 (1991년)
하계 올림픽예선 탈락7회
AFC 여자 아시안컵준우승 (1989년, 1999년)13회
OFC 여자 네이션스컵우승 (1986년, 1989년)2회
아시안 게임동메달 (1994년)7회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4위 (2010년, 2019년, 2022년)8회



다음 섹션에서는 올림픽, AFC 여자 아시안컵, OFC 여자 네이션스컵, 아시안 게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AFF 여자 챔피언십 등 주요 대회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다룬다.

11. 1. FIFA 여자 월드컵

== FIFA 여자 월드컵 ==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참가하여 8강에 진출한 것을 제외하고는, 1995년부터 2023년까지 모든 대회에서 예선을 통과하지 못했다. 1991년 대회에서는 4경기를 치러 1승 0무 3패를 기록했으며, 2득점 15실점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8강에서 미국에 0-7로 패하며 8위를 차지했다. 조별 리그에서는 이탈리아와 독일에게 패했고,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대회에서는 지속적으로 예선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2027년 대회 참가 여부는 아직 미정이다.

1991년 대회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1월 17일: 이탈리아 (0-5 패, 강문 강문 스타디움)
  • 11월 19일: 독일 (0-3 패, 중산 중산 스타디움)
  • 11월 21일: 나이지리아 (2-0 승, 강문 강문 스타디움)
  • 11월 24일: 미국 (0-7 패, 포산 뉴 플라자 스타디움)


11. 2. 올림픽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부터 2020년 도쿄 올림픽까지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단 한 번도 올림픽 본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1996년부터 2020년까지 7번의 올림픽 예선에서 모두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아직까지 올림픽 무대를 밟은 경험은 없다. 2024년 파리 올림픽 역시 본선 진출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11. 3. AFC 여자 아시안컵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AFC 여자 아시안컵에 13번 출전하여 3회 우승(1977년, 1979년, 1981년), 2회 준우승(1989년, 1999년)을 기록했다. 1975년과 1983년, 1986년 대회에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소속이었기에 불참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4번의 대회에서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부진을 겪었다. 그러나 2022년 대회에서는 8강에 진출하여 1999년 이후 23년 만에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했지만, 8강에서 필리핀에 승부차기 끝에 패하며 좌절되었다. 이후 플레이오프에서도 2위에 그쳐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이 좌절되었다. 총 59경기에 출전하여 36승 5무 18패, 165득점 77실점을 기록했다. 1991년 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하며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으나, 이후 대회에서는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특히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파라과이와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패배하며, 32년 만의 월드컵 본선행이 무산되었다.

11. 4. OFC 여자 네이션스컵

1975년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정치적 갈등으로 AFC에서 퇴출된 후 OFC에 소속되어 활동하던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OFC 여자 네이션스컵에 2번 출전하여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 AFC로 복귀하기 전까지 이뤄낸 쾌거였다. 1983년 대회에는 불참했고, 1986년과 1989년 대회에서 연이어 우승을 거머쥐었다. 두 대회 모두 결승에서 승리하며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 자세한 경기 기록은 다음과 같다.

OFC 여자 네이션스컵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 수득점실점
1983불참
1986우승1위440082
19891위5401153
합계우승1위9801235


11. 5. 아시안 게임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시안 게임에 7번 출전했다. 1994년 일본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지만, 1990년 중국 베이징, 1998년 태국 방콕, 2018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에서는 아쉽게도 4위에 그쳤다.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는 5위, 2006년 카타르 도하 아시안 게임에서는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는 참가하지 않았고,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8강에서 탈락하며 7위를 기록했다.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8강에서 탈락하며 6위를 기록했다. 전체적으로 아시안 게임에서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꾸준히 참가해왔으나, 메달 획득은 1994년 한 번에 그쳤다. 꾸준한 성적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시아 강호들과의 경쟁에서 고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시안 게임 기록
개최지 / 연도결과순위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1990년 베이징4위4위5212134+9
1994년 히로시마동메달3위310228–6
1998년 방콕4위4위51221610+6
2002년 부산조별리그 탈락5위501427−5
2006년 도하조별리그 탈락5위300237−4
2010년 광저우참가하지 않음
2014년 인천8강 탈락7위4013210−8
2018년 자카르타4위4위6213127+5
2022년 항저우8강 탈락6위3201440
2026년 나고야미정
합계동메달 1회3위3496195457–3


11. 6.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 여러 차례 참가했으나, 대부분 예선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2005년 대회에는 불참했고, 2008년, 2013년, 2015년, 2017년 대회에서는 예선에서 탈락했다.

다만, 2010년, 2019년, 2022년 대회에서는 본선에 진출하여 4위를 기록했다. 특히 2010년과 2019년 대회는 예선 2위로 탈락 예정이었으나, 북한 대표팀의 불참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본선에 출전할 수 있었다. 아래 표는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참가 기록을 정리한 것이다.

EAFF E-1 챔피언십 기록style="width:1px;;" rowspan="11"|예선 라운드
년도결과경기 수득점실점경기 수득점실점
2005년불참불참
2008년예선 탈락3201144
2010년4위30030104301357
2013년예선 탈락3102210
2015년320162
2017년32011310
2019년4위3003013320182
2022년4위3003110
2024년
총계3/890091331912077835

[4] 2010년과 2019년 대회는 북한의 불참으로 인해 추가 출전 기회를 얻었다.

11. 7. AFF 여자 챔피언십

==AFF 여자 챔피언십 기록==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초청팀
2006년 | 준우승 | 3 | 1 | 1 | 1 | 4 | 2
합계 ! 1/12 ! 3 ! 1 ! 1 ! 1 ! 4 ! 2


참조

[1] 웹사이트 FEATURE: 'Blue Magpies' as 'Mulan' replacement urged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2-02-13
[2] 웹사이트 中華民國足球協會參加「2026名古屋亞洲運動會」女子足球培訓隊集訓名單 https://www.ctfa.com[...]
[3] 웹사이트 Chinese Tapei WNT squad for a upcoming week of International Friendlies in Turkiye 🇹🇷, Haiti 🇭🇹 will also participate there. https://x.com/karlyb[...] karlyboy71 2024-10-17
[4] 웹사이트 北朝鮮女子代表の東アジア杯不参加が正式決定。南北関係が影響か…出場説得も不発 https://www.goal.com[...] Goal.com 2019-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