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산역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증산역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지하철역이다. 2000년 12월 15일에 영업을 시작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다. 역 주변에는 북가좌2동, 서울북가좌초등학교, 명지대학교 등이 있으며, 4개의 출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은평구의 전철역 - 응암역
응암역은 2000년 개통된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으로,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역촌동과 신사동에 걸쳐 있으며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한다. - 서울 은평구의 전철역 - 구산역
구산역은 2000년 12월 15일 개통된 서울 지하철 6호선 역으로,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주변에 학교, 주민센터, 시장 등이 위치한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증산역 (서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 증산 (명지대앞) |
한자 표기 | 繒山 (명지대앞) |
로마자 표기 | Jeungsan (Myongji Univ.) |
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
역 번호 | 617 |
주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 지하 306 (증산동 199-8)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승강장 | 2 |
선로 | 2 |
구조 | 지하 |
개업일 | 2000년 12월 15일 |
인접 역 | {{Adjacent stations|system1=Seoul Metropolitan Subway |
역사 정보 | |
개업일 | 2000년 12월 15일 |
역 구조 | |
역 종류 | 지하역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이용 정보 | |
승차 인원 (2015년) | 10,759명 |
승강 인원 (2015년) | 20,920명 |
출입구 정보 | |
![]() | |
기타 정보 | |
한국어 표기 | 증산역 |
한자 표기 | 繒山驛 |
일본어 표기 (히라가나) | しょうざんえき |
일본어 표기 (가타카나) | チュンサンニョク |
영어 표기 | Jeungsan Station |
역 번호 | 617 |
노선 | 서울교통공사 6호선 |
영업 거리 | 응암 기점 8.4 km |
이전 역 | 새절 |
이전 역 간 거리 | 0.9 km |
다음 역 | 디지털미디어시티 |
다음 역 간 거리 | 1.1 km |
![]() | |
![]() |
2. 역사
2000년12월 15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 ~ 상월곡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2017년5월 31일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됨.
2. 1. 개요
3. 역 구조
증산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개다.
지상 | 지상 출입구 | |
---|---|---|
L1 | 대합실 | 로비,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
L2 | 승강장 | 측면 승강장, 오른쪽 문이 열림 |
3. 1. 개요
3. 2. 승강장
증산역은 2면 2선의 측면 승강장 구조를 갖춘 지하역이다.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출구는 4개가 있다. 승강장 횡단은 불가능한 구조이다. 안내 표시에는 승강장 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상행 | 서울 지하철 6호선 | 응암 방면 |
---|---|---|
하행 | 서울 지하철 6호선 | 디지털미디어시티·삼각지·신내 방면 |
새절 방면 승강장은 지상에서 L2 층에 위치하고, 디지털미디어시티 방면 승강장도 지상에서 L2층에 있다. 두 승강장 모두 오른쪽 문이 열린다.
3. 3. 층별 구조
wikitable층 | 구분 | 시설 |
---|---|---|
지상 | 출구 | 지상 출입구 |
L1 | 대합실 | 로비,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현금자동입출금기 |
L2 | 서행선 | ←한국어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 방면 (새절역) |
동행선 | →한국어 서울 지하철 6호선 신내 방면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한국어 | |
측면 승강장, 오른쪽 문이 열립니다 |
4. 역 주변
증산역의 출구는 4개가 있다. 1번 출구는 북가좌2동, 북가좌지구대, 북가좌119안전센터, 풍원시장 방면이다. 2번 출구는 북가좌1동, 서울북가좌초등학교, 명지대학교 방면, 불광천, 해담는다리, 북가좌2동주민센터가 있다. 3번 출구는 증산동, 서울증산초등학교, 증산중학교, 증산동주민센터, 증산치안센터, 증산종합시장, 구립증산정보도서관 방면이다. 4번 출구는 연서중학교, 상신중학교 방면이다. 명지대학교는 직선거리로 약 1km 동쪽에 있다. 그 외에 서대문구선거관리위원회, 증산파출소, 서부운수 등이 있다.
4. 1. 개요
5.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6호선 | 승차 | 4,451 | 6,772 | 8,496 | 9,325 | 9,767 | 9,785 | 9,856 | 9,791 | 9,491 | 9,413 | [5] |
하차 | 3,954 | 5,985 | 7,646 | 8,425 | 8,735 | 8,773 | 8,540 | 8,673 | 8,465 | 8,507 | ||
승하차 | 8,405 | 12,757 | 16,142 | 17,750 | 18,502 | 18,558 | 18,395 | 18,464 | 17,956 | 17,921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6호선 | 승차 | 9,565 | 9,735 | 10,092 | 10,391 | 10,698 | 10,759 | 10,602 | 10,627 | |||
하차 | 8,671 | 8,916 | 9,420 | 9,798 | 10,092 | 10,161 | 10,074 | 10,160 | ||||
승하차 | 18,236 | 18,651 | 19,513 | 20,189 | 20,790 | 20,920 | 20,676 | 20,787 |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5]
5. 1. 개요
6. 인접한 역
wikitable
서울 지하철 6호선 | ||
---|---|---|
새절 (응암 순환) | 서울 지하철 6호선 | 디지털미디어시티 (신내 방면) |
참조
[1]
웹사이트
증산역
https://terms.naver.[...]
Doopedia
2019-08-28
[2]
웹사이트
증산(명지대앞)역
https://terms.naver.[...]
서울지명사전
2019-08-26
[3]
웹사이트
서울도시철도공사 >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4]
웹페이지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소속 역명
[5]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