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속주의는 시간과 공간을 통합하여 대상을 이해하는 철학적 관점이다. 4차원주의의 주요 이론으로는 벌레 이론과 단계 이론이 있다. 벌레 이론은 지속하는 대상을 시공간에 걸쳐 있는 4차원적인 '벌레'로 보며, 단계 이론은 대상을 특정 시간적 부분, 즉 단계들의 집합으로 간주한다. 단계 이론은 대상의 동일성을 시간적 대응 관계(유사성, 인과 관계)로 설명하며, 군크 시간의 가능성 하에서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간의 철학 - 자연학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은 8권으로 이루어진 자연철학 논저로, 물질, 네 가지 원인, 잠재성과 실재성, 무한, 운동, 시간, 공간 등을 중심으로 자연 현상을 설명하고 우주를 움직이는 최초의 동자의 존재를 논증하며 서구 과학과 철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시간의 철학 - 영원 (철학)
영원은 철학에서 시간 밖에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시간, 종교, 신학, 상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는 개념이다. - 형이상학 이론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형이상학 이론 - 심신 문제
심신 문제는 마음과 몸, 정신과 물질의 관계를 다루는 철학 및 과학 분야의 핵심 질문으로, 마음과 몸이 서로 다른 실체라는 이원론과 하나의 실체라는 일원론으로 나뉘며, 현대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은 뇌 활동과 의식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 존재론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존재론 - 심신 문제
심신 문제는 마음과 몸, 정신과 물질의 관계를 다루는 철학 및 과학 분야의 핵심 질문으로, 마음과 몸이 서로 다른 실체라는 이원론과 하나의 실체라는 일원론으로 나뉘며, 현대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은 뇌 활동과 의식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지속주의 | |
---|---|
철학적 개념 | |
분야 | 형이상학 |
관련 개념 | 지속, 존재론, 시간, 4차원주의, 현재주의 |
상세 내용 | |
개요 | 사물이 시간 속에서 어떻게 지속되는지에 대한 철학적 이론 |
주장 | 사물은 시간 속에서 지속되며, 이는 사물이 시간의 다양한 지점에서 서로 다른 시간적 부분(time slice)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됨 |
대립 이론 | 내재주의 |
주요 논점 | |
시간적 부분 | 사물의 각 시간적 부분은 그 사물의 전체가 아닌 부분이며, 모든 시간적 부분들이 모여 사물을 구성함 |
지속 방식 | 사물은 각 시간적 부분에서 '존재'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적 부분을 가짐으로써 지속됨 |
옹호론자 | |
주요 인물 | 데이비드 흄, 테오도르 시더 |
관련 철학적 논쟁 | |
주요 논쟁 | 개인 동일성, 변화의 문제, 자유 의지 |
2. 4차원주의: 시간과 공간의 통합
4차원주의는 시간과 공간을 통합하여 세계를 이해하려는 철학적 관점이다. 이 관점은 지속되는 대상이 시간적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4차원주의는 크게 벌레 이론과 단계 이론으로 나뉜다.
벌레 이론은 지속하는 대상이 시간과 공간 모두에 걸쳐 확장된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대상을 4차원적인 "벌레"로 비유한다. 반면 단계 이론은 대상을 순간적인 단계들의 집합으로 간주하고, 대상의 동일성은 시간적 대응 관계를 통해 설명된다고 본다.
4차원주의는 영원주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영원주의는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시점이 동등하게 실재한다고 보는 시간관이다. 4차원주의는 영원주의의 시간적 존재론을 전제하며, 지속하는 대상이 시간 속에서 어떻게 존재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2. 1. 벌레 이론 (Worm Theory)
4차원주의에서 지속하는 대상은 다양한 시간적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관점이다. 이 관점에 따르면, 대상은 공간뿐만 아니라 시간 차원에서도 확장된다. 따라서 지속하는 대상은 시공간에 걸쳐 존재하는 4차원적인 "벌레"와 같으며, 우리가 흔히 의자, 산, 사람 등을 3차원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한다.[4][5]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비판을 받기도 한다. 우리가 실제로 시간의 한 순간만을 경험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벌레 이론은 우리의 경험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벌레 이론은 너무 많은 대상을 상정하여 존재론적으로 과도하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2. 2. 단계 이론 (Stage Theory)
대상은 순간적인 단계들의 집합으로 간주된다. 지속 외재주의는 대상의 동일성을 시간적 대응 관계(유사성, 인과 관계)를 통해 설명한다.[6][7][8][9]지속 외재주의는 비판을 받는다. 첫째, 대상이 순간적인 단계에 묶여 있고 단계의 수가 무한하여 과도하다는 점이다. 둘째, 순간적인 대응 단계 간의 유사성은 모호하며, 종류 간의 유사성과 인과 관계를 고려해도 명확한 구분이 어렵다.[7]
군크 시간과의 비양립성도 비판점이다. 군크 시간에서는 모든 시간 간격에 하위 간격이 존재하여 단계 이론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9]
3. 4차원주의 논쟁과 한국 사회
4차원주의 논쟁은 크게 벌레 이론과 단계 이론으로 나뉜다. 벌레 이론은 대상이 시간적으로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어 시공간에 걸쳐 확장된다고 보는 반면, 단계 이론은 특정 시점의 대상, 즉 '단계'에 초점을 맞추어 대상이 순간적으로만 존재한다고 본다.
단계 이론은 우리의 경험과 일치한다는 점에서 선호되기도 하지만, 대상의 동일성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반면 벌레 이론은 대상의 동일성을 명확하게 설명하지만, 우리의 경험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 사회의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볼 때, 단계 이론은 개인의 변화와 성장을 강조하는 관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사회 전체의 지속성과 안정성을 설명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반면 벌레 이론은 사회의 연속성과 역사성을 강조하는 데 유용할 수 있지만, 개인의 변화 가능성을 간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두 이론 모두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이론이 더 설득력 있는지는 개인의 가치관과 세계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3. 1. 현대적 논의와 확장
4차원주의 이론은 크게 '''벌레 이론'''과 '''단계 이론'''으로 나뉜다.- '''벌레 이론'''은 지속적인 대상이 여러 시간적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이들은 대상이 공간에서처럼 시간 차원에서도 확장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모든 지속적인 대상은 시공간에 걸쳐 있는 4차원적인 "벌레"와 같으며, 의자, 산, 사람들을 3차원적으로만 보는 것은 잘못이라고 생각한다.[4][5]
- '''단계 이론'''은 지속적인 대상에 대한 논의를 특정 시점의 대상의 시간적 부분, 즉 '단계'에 대한 이야기로 간주한다. 이들은 대상이 순간적으로만 존재한다고 본다. 그러나 다른 시간에는 그 대상과 특별한 관계를 맺는 다른 시간적 부분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자신이 아이였다거나 늙은이가 될 것이라고 말할 때, 이는 아이인 시간적 부분(과거) 또는 늙은이인 시간적 부분(미래)과 특별한 관계를 갖기 때문에 사실이다. 단계 이론가들은 "지속 외재주의자"라고도 불린다.
지속 외재주의는 지속주의와 마찬가지로 영원주의의 시간적 존재론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이 이론에서 일반적인 대상들은 지속적인 벌레가 아니라, 완전히 현재의 순간적인 단계이다. 또한, 각 단계는 다음 대응 단계까지 모든 속성/부분을 통째로 가지므로, 사물은 속성/부분을 얻거나 잃지 않는다.
단계 이론은 벌레 이론과 달리 우리 경험의 내용을 정확하게 설명한다는 점에서 선호되기도 한다. 벌레 이론은 우리가 실제로 한 순간만을 경험하는 동안 우리 삶의 여러 순간을 현재 경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단계 이론은 이러한 관점과 일치한다. 그러나 지속주의자들은 모든 지속적인 대상의 순간적인 시간 조각들을 융합하여 완전한 전체를 이룬다고 반박한다. 이들은 한 번에 여러 시간 조각을 경험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모든 순간들이 현실의 일부이며 우리를 구성한다고 본다.
최근에는 지속 외재주의가 세상의 일반적인 대상을 너무 많이 계산하기 때문에 지속주의가 더 우수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대상이 순간적인 단계에 묶여 있고, 이러한 단계의 수가 무한하기 때문에 과도하다는 것이다. 지속 외재주의자는 대상이 단계의 유사성만으로 동일성을 유지한다고 주장하며, 이것이 두 단계가 시간적 대응물이 되는 이유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순간적인 대응 단계 간의 유사성은 모호성을 벗어나기에 불충분하며, 종류들 사이의 유사성과 적절한 인과 관계를 통해 모호성을 피한다고 주장한다. 대응 이론가들은 단계 간의 관계를 통해 대상의 동일성을 추적하지만, 대상의 대응물이 무엇이었는지, 무엇이 아니었는지, 그리고 개별적인 순간적 대응 대상-단계 사이에 인과 관계를 귀속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다.
지속 외재주의자에게는 대상의 시공간적 경력의 순간 수만큼 많은 대상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사과의 경우, 사과의 시공간적 경력 동안의 단계 수만큼 많은 개별 대상이 존재한다. 지속주의자와 내재주의자는 단 하나의 지속적인 대상만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지속 외재주의자는 하나의 지속적인 대상이 있지만 여러 대상 단계가 지속된다고 본다.[7][8][9]
한편, 단계 이론은 군크 시간의 가능성 하에서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군크 시간은 모든 시간 간격에 하위 간격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부 지속주의자들은 군크의 개념이 순간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9]
참조
[1]
웹사이트
Temporal parts
http://plato.stanfor[...]
[2]
서적
How Things Persist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9-30
[3]
서적
What Is This Thing Called Metaphysic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1
[4]
서적
Tropes: Properties, Objects, and Mental Caus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8-25
[5]
서적
Continuous Creation, Persistence, and Secondary Causation: An Essay in the Metaphysics of Theism
https://books.google[...]
2007
[6]
간행물
All the world's a stage
1996-09-01
[7]
논문
Experiencing the Present
2015
[8]
논문
Experience and the Passage of Time
https://dspace.mit.e[...]
2011
[9]
논문
A phenomenological argument for stage theory
https://academic.oup[...]
2015
[10]
웹사이트
Temporal parts
http://plato.stanf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