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존하신 성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존하신 성체는 가톨릭과 성공회에서 사용되는 성체 찬미가이다. 라틴어 원문을 비롯하여, 한국어, 영어 등 다양한 번역본이 존재하며, 가톨릭과 성공회에서 각각 다른 번역본을 사용한다. 이 찬미는 성체 성사의 신학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대사 부여 및 다양한 작곡가들의 음악적 설정을 통해 널리 사용된다. 필리핀에서는 스페인 기원의 멜로디로 불리며, 미사, 9일 기도 등에서 사용된다.
2. 가사
2. 1. 라틴어 원문
Veneremur cernui:
Et antiquum documentum
Novo cedat ritui:
Praestet fides supplementum
Sensuum defectui.
Genitori, Genitoque
Laus et jubilatio,
Salus, honor, virtus quoque
Sit et benedictio:
Procedenti ab utroque
Compar sit laudatio.
Amen.
2. 2. 한국어 번역
가톨릭 |
---|
성공회 |
---|
2. 2. 1. 가톨릭
지존하신 성체 앞에 꿇어 경배 드리세.묵은 계약 완성하는 새 계약을 이뤘네.
오묘하온 성체 신비 믿음으로 알리라.
낳으신 분, 나신 분께 찬미 찬송 드리세.
구원하신 권능 영광 영원히 찬양하세.
두 분에게 나온 성령, 같은 찬미 드리세.
아멘.
2. 2. 2. 성공회
5. 지존하신 성체 앞에 경배드리나이다.[15]오랜 계약 이뤄지고 새 언약을 주셨네
감겨 있는 마음의 눈 크게 뜨게 하시네.
6. 성부 성자 하느님께 영광 환호 드리네.
우리 구원하셨으며, 내내 축복 받을 분.
살과 피가 하나되어 받으소서 내 찬송. 아멘.[15]
지극히 거룩하신 성사
엎드려 경배하세,
옛 규례 사라지고
새 예식 따르리.
믿음으로 채우소서
느낌의 부족함을.
성부와 성자께
찬미와 기쁨을,
구원, 영광, 권능
또한 찬송 드리세!
두 분에게서 나오신
분께도 찬미 드리세! 아멘.
'''℣.''' 하늘의 빵을 그들에게 주셨나이다.(부활 시기와 예수 성체 축일에는 '알렐루야'를 덧붙인다.)
'''℟.''' 모든 즐거움을 그 안에 가지고 있네.[15] (부활 시기와 예수 성체 축일에는 '알렐루야'를 덧붙인다.)
'''℣.''' 기도합시다: 하느님, 저희에게 놀라운 성사로 당신 수난의 기념을 남기셨으니, 간구하오니, 저희로 하여금 당신의 몸과 피의 거룩한 신비를 이토록 경배하게 하시어, 당신 구원의 열매를 저희 안에서 항상 느끼게 하소서. 영원히 살아 계시며 다스리시는 당신은.
'''℟.''' 아멘.
2. 3. 영어 번역 (및 직역)
영어권 가톨릭 교회에서도 여러 번역본이 사용되고 있으며, 직역 또한 존재한다.[8][9]:경배하며 엎드려
:거룩한 성체를 맞이하네
:보라, 옛 형식은 사라지고
:새로운 은총의 의식이 나타나네
:부족한 모든 것을 믿음으로 채우네
:연약한 감각이 실패하는 곳에서
:영원하신 아버지께
:그리고 높이 다스리시는 아들께
:성령과 함께 나오시네
:영원토록 각자로부터
:구원, 존귀, 축복이 있으소서
:권능과 끝없는 위엄이 있으소서
:아멘.
:'''℣.''' 주님께서 그들에게 하늘의 빵을 주셨나이다.
:'''℟.''' 모든 단맛을 가지고 있나이다.
:'''℣.''' 기도합시다. 오 하느님, 이 놀라운 성사 안에서 저희에게 주님의 수난을 기념하게 하셨으니, 간절히 청하오니, 주님의 몸과 피의 거룩한 신비를 항상 주님의 구원의 열매를 깨달을 수 있도록 흠숭하게 하소서. 영원히 살아계시며 다스리시는 주님.
:'''℟.''' 아멘.
3. 신학적 의미
"procedenti ab utroque / compar sit laudatio"라는 구절은 글자 그대로 "양쪽에서 나오시는 분께 동일한 찬미가 있기를"이라는 뜻으로, 성령을 가리킨다.[10] 이는 서방 기독교에서 사용되는 니케아 신경의 버전에 따르면 성령이 성부와 성자 모두에게서 나온다는 것을 의미한다.[10]
「Tantum ergo」를 경건하게 암송하는 신자에게는 부분적인 대사가 부여된다.[10] 그러나 장엄하게 암송하는 경우 성 목요일과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에 전대사가 주어진다.[10]
4. 음악적 설정
존 프랜시스 웨이드[11], 팔레스트리나, 안톤 브루크너, 엑토르 베를리오즈(H142), 가브리엘 포레, 프란츠 슈베르트, 루이 비에른, 모리스 뒤뤼플레 등 여러 시대의 작곡가들이 탄툼 에르고를 위한 곡을 썼다.[11] 데오다 드 세베라크는 이 텍스트에 맞춰 모테트를 작곡했다.
브루크너는 WAB 32, WAB 43, WAB 41 (Nos. 1, 2, 3, 4), WAB 42, WAB 44와 같이 8개의 설정을 작곡했다. 포레는 Op. 55와 Op. 62 No. 2와 같이 2개의 설정을 작곡했다. 슈베르트는 D. 460, D. 461, D. 730, D. 739 (Op. 45), D. 750, D. 962와 같이 6개의 설정을 작곡했다. 비에른의 작품은 그의 작품 2번이다. 뒤뤼플레의 설정은 1960년에 출판된 그의 Op. 10의 4번, ''Quatre Motets sur des thèmes grégoriens''에 포함되어 있으며,[12] 평탄한 선율을 사용한다.
새뮤얼 웹은 87 87 미터의 모테트를 작곡했으며, 이는 영국과 미국의 가톨릭 교회에서 널리 사용되었다.[13]
5. 필리핀에서의 사용
필리핀 교회는 '판제 링구아'와 다른 https://www.youtube.com/watch?v=rRXBaYlu7T4 찬송가 멜로디를 사용하며[14], 이는 스페인 기원으로 "J. Carreras"에게 귀속된다.[14] 이 멜로디는 의 박자표로 출판되었지만, 현재 루손에서는 사중 박자로, 비사야 제도에서는 사중 박자 후 세 겹 박자로 불린다.[14] 이 곡조는 "https://www.youtube.com/watch?v=2AsDjipdvV4 우리 목소리를 높여 부르세"라는 영어 번역 찬송가를 부르는 데도 사용되는데, 이는 "Tantum ergo(지극히 거룩하신 성체)"를 영어로 각색한 것이다.[14] 이 찬송가는 미사의 기념 환호 내용을 담고 있으며, 영원한 도움의 성모에게 바치는 9일 기도와 바클라란 성당 강복식 중에 불린다.[14]
"우리 믿음을 선포하기 위해 목소리를 높여 부르세: 주 그리스도, 우리를 위해 죽으셨네; 죽으시어 우리의 죽음을 없애시고, 부활하시어 우리에게 생명을 주셨네. 오 주 예수님, 우린 기다리네 영광 중에 오실 당신의 마지막 재림을."[14]
"우리가 빵을 먹고 잔을 마실 때 거룩한 성찬 안에서 부활하신 우리의 구세주를 만나네, 우리에게 새로운 생명을 주시네. 인생의 여정 동안 우리와 함께 하소서, 영원히 우리를 강하게 하소서."
"아멘, 아멘."[14]
'''℣.''' 하늘에서 내려온 빵을 그들에게 주셨나이다 [''알렐루야''].[5]
'''℟.''' 모든 행복의 근원이시라 [''알렐루야''].
'''℣.''' 기도합시다: 주 하느님, 외아들의 죽음과 부활의 파스카 신비로, 당신은 인간 구원의 사업을 완수하셨습니다. 신뢰심으로, 우리는 성찬의 성사적 표징 안에서 파스카 신비를 선포합니다. 당신의 구원 사업의 열매가 우리 안에서 끊임없이 자라나는 것을 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 아멘.
참조
[1]
서적
Translations and Annotations of Choral Repertoire
Earthsongs
1988
[2]
Youtube
Benediction @ St. John's Church, Detroit - Part 2
https://www.youtube.[...]
[3]
백과사전
Tantum Ergo
http://www.newadvent[...]
[4]
서적
The Book of Catholic Prayer
Loyola Press
2000
[5]
웹사이트
the Thesaurus Precum Latinarum entry
http://www.preces-la[...]
[6]
웹사이트
Perseus
https://www.perseus.[...]
[7]
서적
Summa Theologica
https://books.google[...]
[8]
서적
The Raccolta; Or Collection of Indulgenced Prayers
https://books.google[...]
1857
[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diogh.org[...]
2009-05-02
[10]
간행물
Enchiridion Indulgentiarum
Sacred Apostolic Penitentiary
1968
[11]
웹사이트
Tune: ST. THOMAS (Wade)
https://hymnary.org/[...]
[12]
웹사이트
Duruflé, Maurice
http://www.oxfordmus[...]
2015-06-29
[13]
웹사이트
Tantum ergo (Samuel Webbe) - ChoralWiki
https://www.cpdl.org[...]
2021-03-23
[14]
Blog
Filipino hymn to the Most Blessed Sacrament
http://deipraesidiof[...]
2016-10-03
[15]
서적
대한성공회 성가 99번·100번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