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포스 400 시리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포스 400 시리즈는 엔비디아가 2010년에 출시한 페르미 아키텍처 기반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 시리즈이다. 이 시리즈는 높은 온도와 전력 소비, 그리고 AMD의 Radeon HD 5000 시리즈 대비 낮은 성능 향상으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 40nm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OpenGL 4.0 및 Direct3D 11을 지원한다. 지포스 405를 제외한 모든 제품은 DirectX 12.0, OpenGL 4.6, OpenCL 1.1을 지원하며, 페르미 마이크로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다. 2018년 4월에 레거시 드라이버 지원 상태로 전환되었으며, 2019년 1월까지 지원이 유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포스 시리즈 - 지포스 8 시리즈
    지포스 8 시리즈는 엔비디아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출시한 테슬라 아키텍처 기반의 데스크톱 및 노트북용 그래픽 카드 제품군이며, Direct3D 10 및 OpenGL 3.3을 지원하고 퓨어비디오 HD 기술을 통해 고화질 비디오 재생을 위한 하드웨어 가속 기능을 제공하며, 2016년에 드라이버 지원이 중단되었다.
  • 지포스 시리즈 - 지포스 40 시리즈
    엔비디아의 Ada Lovelace 아키텍처 기반 지포스 40 시리즈는 RTX 4090을 시작으로 다양한 모델과 SUPER 시리즈 추가로 라인업이 강화되었으며, 향상된 성능과 새로운 기술을 지원하지만 가격, VRAM, 전력 소비 등으로 논란이 있다.
  • 그래픽 카드 - 매트록스 G200
    매트록스 G200은 1990년대 후반 매트록스가 출시한 고급 2D 그래픽 가속기 시리즈로, 듀얼버스 아키텍처, 32비트 색상 지원, 트리리니어 밉맵 필터링 등의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2D 그래픽 분야에서 강점을 유지하고 저전력 설계를 통해 시스템 안정성과 소음 감소에 기여했다.
  • 그래픽 카드 - 인텔 Xe
    인텔 Xe는 저전력부터 고성능 컴퓨팅까지 다양한 시장을 목표로 하는 인텔의 GPU 아키텍처 제품군으로, Xe-LP, Xe-HPG, Xe-HP, Xe-HPC 등의 하위 아키텍처를 가지며 외장 그래픽 카드인 인텔 아크 시리즈와 내장 그래픽, 데이터 센터용 GPU 등에 활용된다.
지포스 400 시리즈
GeForce 400 시리즈
엔비디아 지포스 GTX 480 Point of View
개요
코드네임GF10x
마이크로아키텍처페르미
출시일2010년 4월 12일
제품군지포스 시리즈
시리즈지포스 GT 시리즈
지포스 GTS 시리즈
지포스 GTX 시리즈
트랜지스터 수2억 6천만 개 40 nm (GT218 - 지포스 405만 해당)
5억 8천 5백만 개 40 nm (GF108)
11억 7천만 개 40 nm (GF106)
19억 5천만 개 40 nm (GF104)
19억 5천만 개 40 nm (GF114)
32억 개 40 nm (GF100)
엔트리 레벨GT 420
GT 430
미드레인지GT 440
GTS 450
GTX 460
GTX 465
하이엔드GTX 470
GTX 480
OpenGL 버전OpenGL 4.6
Direct3D 버전Direct3D 12.0 (기능 레벨 11_0)
Direct3D 11.1 (기능 레벨 10_1, 지포스 405만 해당)
셰이더 모델 5.1
셰이더 모델 4.1 (지포스 405만 해당)
OpenCL 버전OpenCL 1.1
이전 세대지포스 200 시리즈
다음 세대지포스 500 시리즈
지원 상태지원 중단

2. 역사

2009년 9월 30일, 엔비디아는 페르미 아키텍처를 설명하는 백서(white paper)를 발표했다.[4][21] 이 백서에 따르면, 페르미 아키텍처 기반 칩은 각 사이클당 단정밀도(single-precision) 연산 1개 또는 격 사이클당 배정밀도(double-precision) 연산 1개를 처리할 수 있는 16개의 '스트리밍 멀티프로세서'(Streaming Multiprocessor, SM)를 가지며, 각 SM에는 32개의 'CUDA 코어'가 포함된다. 또한, 호스트(CPU)의 메모리를 칩의 주소 공간에 매핑할 수 있는 40비트 가상 주소 공간을 지원하여 C++ 프로그래밍을 용이하게 했고, 384비트 GDDR5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갖추었다. 이전 세대인 G80GT200 아키텍처와 마찬가지로, 스레드는 32개 스레드 묶음인 '워프'(warp) 단위로 스케줄링된다. GT200이 각 셰이더 클러스터에 16KB의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를 가지고 캐시가 필요할 경우 텍스처 유닛을 통해 데이터를 읽어야 했던 반면, GF100 칩은 각 클러스터에 64KB의 온칩(on-chip) 메모리를 탑재하여 이를 48KB 캐시 + 16KB 공유 메모리 또는 16KB 캐시 + 48KB 공유 메모리 구성으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추가로 16개 클러스터가 공유하는 768KB의 L2 캐시도 갖추었다.

백서는 페르미 아키텍처를 단순한 그래픽 처리 장치(GPU)라기보다는, 수만 개의 스레드를 동시에 처리하는 대규모 병렬 워크로드를 위한 범용 프로세서(general-purpose processor)로 묘사했다.

지포스 GTX 480에 사용된 GF100 칩(왼쪽)과 이후 개선된 GF110 칩(오른쪽) 비교


지포스 400 시리즈 출시 이후, 많은 사용자들이 경쟁 제품인 AMD의 Radeon HD 5000 시리즈와 비교하여 페르미 기반 GPU의 높은 발열과 전력 소비 문제를 지적했으며, 성능 향상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있었다. 이에 AMD는 이러한 문제점을 풍자하는 "The Misunderstanding"이라는 제목의 홍보 영상을 제작하여 공개하기도 했다.[5] 영상은 경찰이 높은 열 반응을 보이는 집을 급습하는 내용인데, 처음에는 대마 재배 현장으로 의심하지만 실제로는 페르미 GPU가 원인이었음을 보여주는 내용이다.[6][7] 당시 페르미 GPU의 발열이 심하다는 점 때문에 최대 부하 상태에서 달걀 프라이를 할 수 있다는 농담이 돌기도 했다.[8]

시간이 흘러 엔비디아는 릴리스 390 드라이버를 마지막으로 32비트 운영 체제용 드라이버 지원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13] 또한 2018년 4월에는 페르미 아키텍처 기반 GPU에 대한 드라이버 지원을 레거시(legacy) 상태로 전환하고, 2019년 1월부로 지원을 최종 종료한다고 발표했다.[14]

3. 아키텍처

엔비디아는 내부적으로 이탈리아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의 이름을 따서 '페르미'라는 코드명을 사용했으며, 이 아키텍처를 G80부터 사용된 테슬라 마이크로아키텍처의 뒤를 잇는 차세대 GPU 아키텍처로 소개했다.[2] 페르미 아키텍처는 TSMC의 40nm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최대 30억 개의 트랜지스터와 512개의 스트림 프로세서(32개의 코어로 구성된 16개의 스트리밍 멀티프로세서, SM)를 집적한 것이 특징이다.[1][2] 이는 엔비디아 최초로 OpenGL 4.0과 Direct3D 11을 지원하는 아키텍처이기도 하다.[1][2]

페르미 아키텍처는 그래픽 처리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범용 병렬 컴퓨팅(GPGPU) 성능 강화에도 중점을 두었다. 2009년 9월 30일에 발표된 백서에 따르면,[4] 페르미는 각 SM 내에 CUDA 코어를 배치하고, 스레드를 32개씩 묶어 처리하는 '워프(warp)' 단위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하여 병렬 처리 효율을 높였다. 또한, L1 및 L2 캐시 구조를 개선하고, 호스트 메모리를 GPU 주소 공간에 직접 매핑할 수 있는 40비트 가상 주소 공간을 도입하여 C++와 같은 고급 언어 지원을 용이하게 만들었다.[4] 이는 페르미 아키텍처가 단순한 그래픽 프로세서를 넘어, 수만 개의 스레드를 처리하는 범용 프로세서로서의 성격을 갖도록 설계되었음을 보여준다.

실제 출시된 제품들은 칩의 모든 유닛이 활성화되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소비자용 지포스 제품군인 GTX 480, GTX 470, GTX 465 등은 일부 스트리밍 멀티프로세서나 메모리 컨트롤러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출시되었다.[1][2] 고성능 컴퓨팅 시장을 위한 테슬라 제품군은 ECC 메모리 지원과 더 높은 배정밀도(DP) 연산 성능을 제공하는 등 소비자용 제품과 차별화되었다.[1][3]

3. 1. CUDA 코어

지포스 400 시리즈는 엔비디아가 페르미 마이크로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한 그래픽 처리 장치(GPU) 제품군이다. 페르미 아키텍처는 이전 세대인 테슬라 마이크로아키텍처 (G80, GT200)의 후속으로 개발되었으며, 병렬 처리 성능 향상에 중점을 두었다. 이 아키텍처의 핵심 연산 단위는 CUDA 코어이며, 이는 스트리밍 멀티프로세서(Streaming Multiprocessor, SM)라는 단위로 묶여 구성된다.

페르미 아키텍처는 칩 종류에 따라 SM당 CUDA 코어 수가 다르다. 초기 하이엔드 칩인 GF100 아키텍처 기반 GPU의 경우, 각 SM은 32개의 CUDA 코어를 탑재했다.[4] 이후 출시된 메인스트림 및 보급형 칩인 GF104, GF106, GF108 아키텍처 기반 GPU에서는 SM당 CUDA 코어 수가 48개로 증가하여, 단위 면적당 연산 성능 효율을 높였다.[9]

각 CUDA 코어는 정수(Integer) 연산과 부동소수점(Floating-point) 연산을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단정밀도(Single-precision) 연산 성능이 강화되어, 각 CUDA 코어(SP, Shader Processor)는 한 사이클당 2개의 단정밀도 융합 곱셈-덧셈(Fused Multiply-Add, FMA)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그래픽 렌더링 및 범용 병렬 컴퓨팅 작업에서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9]

배정밀도(Double-precision, DP)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은 제품 라인업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되었다. 과학 기술 연산 및 고성능 컴퓨팅(HPC) 환경을 위한 테슬라 제품군에 탑재된 페르미 칩은 코어당 사이클당 1개의 DP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하지만 일반 소비자용 지포스 제품군에서는 이 성능이 드라이버를 통해 인위적으로 4 사이클당 1개의 DP 연산으로 제한되었다.[11][12] 이는 테슬라 제품군 DP 성능의 1/4 수준으로, 엔비디아가 전문가용 시장과 소비자용 시장을 구분하기 위한 정책으로 해석된다.

페르미 아키텍처는 스레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32개의 스레드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처리하는 '워프(warp)' 단위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이전 테슬라 아키텍처에서 계승된 특징이다.[4]

CUDA 코어 아키텍처의 버전을 나타내는 Compute Capability는 칩 종류에 따라 다르다.

  • GF100 기반 카드 (예: 지포스 GTX 480, 지포스 GTX 470): Compute Capability 2.0[12]
  • GF104/106/108 기반 카드 (예: 지포스 GTX 460, 지포스 GTS 450, 지포스 GT 430): Compute Capability 2.1[12]

3. 2. 메모리 구조

페르미 마이크로아키텍처는 384비트 GDDR5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4] 이는 G80GT200 아키텍처에서 발전된 형태이다.

소비자용 지포스 카드에는 활성화된 각 GDDR5 메모리 컨트롤러에 256MB의 메모리가 연결되었다. 제품별 메모리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지포스 GTX 480: 6개의 메모리 컨트롤러가 모두 활성화되어 총 1.5GB의 메모리를 탑재했다.
  • 지포스 GTX 470: 메모리 컨트롤러 1개가 비활성화되어, 5개의 활성 컨트롤러로 총 1.25GB의 메모리를 탑재했다.
  • 지포스 GTX 465: 메모리 컨트롤러 2개가 비활성화되어, 4개의 활성 컨트롤러로 총 1.0GB의 메모리를 탑재했다.


전문가용 및 고성능 컴퓨팅 시장을 겨냥한 테슬라 브랜드 제품은 다른 메모리 구성을 가졌다.

  • 테슬라 C2050: 6개의 컨트롤러 각각에 512MB 메모리를 탑재하여 총 3GB를 구성했다.
  • 테슬라 C2070: 각 컨트롤러에 1024MB 메모리를 탑재하여 총 6GB를 구성했다.


특히 테슬라 제품군은 메모리에 ECC(오류 정정 코드) 보호 기능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데이터 처리의 안정성을 높였다. 이는 과학 기술 연산 등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분야에 유용하다. 반면, 일반 소비자용 지포스 카드에서는 ECC 기능이 작동하지 않도록 제한되었다.

페르미 아키텍처는 캐시 구조에서도 개선이 이루어졌다. 각 스트리밍 멀티프로세서(SM) 클러스터는 64KB의 온칩 메모리를 가지며, 이 메모리는 필요에 따라 48KB의 L1 캐시와 16KB의 공유 메모리 또는 16KB의 L1 캐시와 48KB의 공유 메모리로 유연하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4] 또한, 모든 SM 클러스터가 공유하는 768KB의 L2 캐시를 탑재하여 데이터 접근 속도를 향상시켰다.[4]

메모리 주소 지정 방식도 개선되어, 호스트(CPU)의 메인 메모리를 GPU 칩의 주소 공간에 직접 매핑할 수 있는 40비트 가상 주소 공간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CPU와 GPU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복잡한 과정 없이 단일 포인터로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게 되어 C++와 같은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 지원이 더욱 용이해졌다.[4]

3. 3. 기타

엔비디아는 내부적으로 이탈리아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의 이름을 따서 '페르미'를 아키텍처 이름으로 사용했다.[1][4] 엔비디아는 페르미 마이크로아키텍처를 G80부터 사용된 테슬라 마이크로아키텍처의 다음 주요 단계로 설명했다.[2]

페르미 아키텍처 기반의 첫 제품인 GF100 칩은 TSMC의 40nm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30억 개의 트랜지스터와 512개의 스트림 프로세서(32개 코어로 구성된 16개의 스트리밍 멀티프로세서)를 집적한 대형 칩이다.[1][2] 이는 엔비디아 최초로 OpenGL 4.0과 Direct3D 11을 지원하는 제품이다.[1][2] 하지만 실제로 모든 스트림 프로세서가 활성화된 제품은 출시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GTX 480은 스트리밍 멀티프로세서 1개가, GTX 470은 2개와 메모리 컨트롤러 1개가, GTX 465는 5개와 메모리 컨트롤러 2개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출시되었다.[1][2]

소비자용 지포스 카드들은 활성화된 각 GDDR5 메모리 컨트롤러당 256MB의 메모리가 연결되어 총 1.0GB, 1.25GB 또는 1.5GB의 메모리를 가졌다.[1][2] 반면, 고성능 컴퓨팅 시장을 겨냥한 테슬라 제품군은 다른 구성을 가졌다. 테슬라 C2050은 6개의 컨트롤러 각각에 512MB(총 3GB), 테슬라 C2070은 컨트롤러당 1024MB(총 6GB)의 메모리를 탑재했으며, 두 카드 모두 14개의 스트림 프로세서 그룹이 활성화되었다.[1][2]

또한 테슬라 제품군은 메모리에 ECC(오류 정정 코드) 보호 기능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코어당 사이클당 1개의 배정밀도 부동 소수점(DP)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1][3] 반면, 지포스 카드는 드라이버를 통해 DP 연산 성능이 4 사이클당 1개로 제한되었다.[3] 이러한 기능과 Visual Studio 및 C++ 지원을 통해 엔비디아는 전문가 및 상업 시장뿐만 아니라 고성능 컴퓨팅 분야를 공략하고자 했다.[3]

3. 4. 한계 및 단점

이전 세대인 G200과 비교했을 때, ALU당 온보드 SRAM의 양이 비례적으로 줄어들었다. 페르미 아키텍처는 32개의 ALU당 32,768개의 레지스터(8개 ALU당 16,384개), 48kB의 공유 메모리(8개 ALU당 16kB), 16kB의 캐시(8개 ALU당 8kB의 상수 캐시 + 24개 ALU당 24kB의 텍스처 캐시)만을 탑재했다. 이는 L2 캐시가 240개 ALU당 256kB에서 512개 ALU당 768kB로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한 현상이다.[3]

많은 사용자들이 경쟁 제품인 AMD의 Radeon HD 5000 시리즈와 비교하여 지포스 400 시리즈 GPU의 높은 온도와 전력 소비 문제를 지적했다. 성능 향상 폭은 이러한 단점을 상쇄할 만큼 크지 않다는 평가도 있었다. 당시 경쟁사인 AMD는 지포스 400 시리즈의 발열 문제를 비꼬는 "The Misunderstanding"이라는 제목의 홍보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5] 영상에서는 경찰이 높은 열 때문에 대마초 재배지로 오인한 집을 급습하지만, 실제로는 페르미 GPU가 원인이었음을 보여준다.[6][7]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페르미 GPU의 발열이 너무 심해 최대 부하 상태에서 달걀 프라이도 만들 수 있다는 농담이 돌기도 했다.[8]

4. 제품

엔비디아는 페르미 마이크로아키텍처를 G80 아키텍처의 후속작으로 개발했으며, 이탈리아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의 이름을 따 명명했다. 페르미 아키텍처 기반의 첫 칩인 GF100은 TSMC의 40nm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30억 개의 트랜지스터와 최대 512개의 스트림 프로세서를 집적했다. 이는 엔비디아 최초로 OpenGL 4.0과 Direct3D 11을 지원하는 칩이었다.

하지만 실제 출시된 지포스 400 시리즈 제품에는 GF100 칩의 모든 유닛이 활성화되지 않았다. 최상위 모델인 지포스 GTX 480은 1개의 스트리밍 멀티프로세서(SM)가, 지포스 GTX 470은 2개의 SM과 1개의 메모리 컨트롤러가, 지포스 GTX 465는 5개의 SM과 2개의 메모리 컨트롤러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출시되었다. 소비자용 지포스 카드들은 모델에 따라 다른 용량의 GDDR5 메모리를 탑재했다.

고성능 컴퓨팅 시장을 겨냥한 테슬라 제품군과 달리, 일반 소비자용 지포스 카드들은 배정밀도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이 제한되었다. 출시 당시 지포스 400 시리즈는 경쟁사인 AMD의 Radeon HD 5000 시리즈에 비해 높은 발열과 전력 소모로 비판을 받았다. AMD는 이를 풍자하는 홍보 영상을 제작하기도 했으며,[5][6][7]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과도한 발열에 대한 농담이 돌기도 했다.[8]

이후 엔비디아는 GF100 칩의 전력 소모를 개선하고 모든 SM을 활성화한 GF110 칩을 개발하여 지포스 500 시리즈의 GTX 580으로 출시했다.

4. 1. 제품 목록

페르미 마이크로아키텍처는 엔비디아G80부터 사용된 테슬라 마이크로아키텍처의 후속으로 개발한 GPU 아키텍처이다. 엔비디아는 페르미를 G80을 잇는 주요한 발전 단계로 설명했다. 페르미 아키텍처를 적용한 첫 칩인 GF100은 TSMC의 40 nm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최대 512개의 스트림 프로세서(CUDA 코어)와 30억 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했다. 이 칩은 엔비디아 최초로 OpenGL 4.0과 Direct3D 11을 지원한다.

실제 출시된 지포스 400 시리즈 제품에는 모든 유닛이 활성화된 GF100 칩이 탑재되지 않았다. 최상위 모델인 지포스 GTX 480은 스트리밍 멀티프로세서(SM) 1개가 비활성화되었고, 지포스 GTX 470은 SM 2개와 메모리 컨트롤러 1개가, 지포스 GTX 465는 SM 5개와 메모리 컨트롤러 2개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출시되었다. 소비자용 지포스 카드들은 활성화된 GDDR5 메모리 컨트롤러당 256MB의 메모리를 탑재하여 각각 1.5GB, 1.25GB, 1.0GB의 메모리 용량을 가졌다. 반면, 전문가용 테슬라 제품군은 다른 구성을 보였다. 테슬라 C2050은 6개의 컨트롤러 각각에 512MB를, 테슬라 C2070은 컨트롤러당 1024MB를 탑재했으며, 두 카드 모두 14개의 SM이 활성화되었다.

테슬라 제품군은 메모리 ECC 기능을 지원하고, 코어당 사이클당 1개의 배정밀도 부동소수점 연산이 가능하여 고성능 컴퓨팅(HPC) 시장을 목표로 했다. 반면, 지포스 카드들은 드라이버를 통해 배정밀도 연산 성능이 페르미 아키텍처 전체 성능의 1/4로 인위적으로 제한되었고 ECC 기능도 지원하지 않았다.[11][12] GF100 기반 카드는 Compute Capability 2.0을, GF104/106/108 기반 카드는 Compute Capability 2.1을 지원한다.

지포스 400 시리즈 중 유일하게 OEM 전용으로 출시된 지포스 405는 페르미 아키텍처가 아닌 이전 세대 테슬라 아키텍처(GT218 코어)를 기반으로 하며, Direct3D 11.1 (Feature Level 10_1)과 OpenGL 3.3까지만 지원한다. 이는 사실상 지포스 310 및 지포스 210과 동일한 제품이다.

2010년 11월 8일, 엔비디아는 GF100 칩의 전력 소모를 개선하고 모든 SM(16개)을 활성화한 GF110 칩을 지포스 500 시리즈의 GTX 580과 함께 출시했다.

모델출시일코드명제조 공정 (nm)트랜지스터 수 (백만 개)다이 크기 (mm2)SM 수코어 구성
(통합 쉐이더: TMU: ROP)¹
클럭 속도 (MHz)필 레이트메모리 구성지원 API 버전처리 성능 (GFLOPS)²TDP (W)³출시 가격 (USD)⁴
코어쉐이더메모리픽셀 (GP/s)텍스처 (GT/s)크기 (MB)대역폭 (GB/s)종류버스 폭 (bit)VulkanDirect3DOpenGLOpenCL단정밀도배정밀도
지포스 405⁵2011년 9월 16일GT216
GT218
40 nm486
260
100
57
148:16:8
16:8:4
475
589
1100
1402
800
790
3.8
2.36
7.6
4.71
512
1024
12.6DDR364해당 없음[18]11.1 (FL 10_1)3.31.1105.6
44.86
알 수 없음30.5OEM
지포스 GT 4202010년 9월 3일GF108TSMC 40 nm58511648:4:4700140018002.82.851228.8GDDR312812 (FL 11_0)4.6134.4알 수 없음50
지포스 GT 4302010년 10월 11일GF108
GF108-300-A1
296:16:41600
1800
11.251225.6
28.8
1.2268.8알 수 없음60
1800512
1024
2048
28.81281.1268.8알 수 없음4979USD
130010.464
지포스 GT 4402011년 2월 1일GF10881016201800
3200
3.212.9512
1024
28.8
51.2
GDDR3
GDDR5
128311.04알 수 없음65100USD
2010년 10월 11일GF10611702383144:24:2459411891600
1800
4.8619.441536
3072
43.2DDR3192342.43알 수 없음56OEM
지포스 GTS 450790158040004.718.9153696.0GDDR5455.04알 수 없음106
2010년 9월 13일
2011년 3월 15일
GF106-250
GF116-200
4192:32:1678315661200-1600 (GDDR3)
3608 (GDDR5)
6.225.0512
1024
57.7128601.34알 수 없음106129USD
지포스 GTX 460 SE2010년 11월 15일GF104-225-A119503326288:48:32650130034007.831.21024108.8256748.8알 수 없음150160USD
지포스 GTX 460⁶2010년 10월 11일GF1047336:56:32675135036009.136.41024108.8873.6알 수 없음OEM
2010년 7월 12일GF104-300-KB-A1336:56:249.437.876886.4192907.2알 수 없음199USD
336:56:321024
2048
115.2256160229USD
2011년 9월 24일GF114336:56:247791557400810.943.6102496.21921.21045.6알 수 없음199USD
지포스 GTX 4652010년 5월 31일GF100-030-A33000[19]52911352:44:326081215320613.326.71024102.72561.2855.36106.92200³279USD
지포스 GTX 4702010년 3월 26일GF100-275-A314448:56:40334817.034.01280133.93201088.64136.08215³349USD
지포스 GTX 4802010년 3월 26일GF100-375-A315480:60:487011401369621.042.01536177.43841344.96168.12250³499USD



'''주석:'''


  • ¹ 코어 구성: 통합 쉐이더: 텍스처 매핑 유닛: 렌더 출력 유닛. 각 SM은 GF100 아키텍처에서는 텍스처 주소 유닛당 4개의 텍스처 필터링 유닛을 포함하며, 전체 GF100 다이는 64개의 텍스처 주소 유닛과 256개의 텍스처 필터링 유닛을 가집니다.[15] GF104/106/108 아키텍처에서는 각 SM이 텍스처 주소 유닛당 8개의 텍스처 필터링 유닛을 포함하며, 주소 지정 및 필터링 유닛 수가 두 배입니다. 전체 GF104 다이는 64개의 텍스처 주소 유닛과 512개의 텍스처 필터링 유닛, GF106 다이는 32개의 텍스처 주소 유닛과 256개의 텍스처 필터링 유닛, GF108 다이는 16개의 텍스처 주소 유닛과 128개의 텍스처 필터링 유닛을 포함합니다.[16]
  • ² 처리 성능: 계산 방식은 페르미 (마이크로아키텍처)#성능 참조.
  • ³ TDP: 열 설계 전력. GF100 기반 카드(GTX 480/470/465)의 TDP는 경쟁 제품 대비 높게 측정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250W TDP의 GTX 480은 297W TDP의 라데온 HD 5970보다 실제 전력 소모가 더 높을 수 있습니다.[17]
  • ⁴ 출시 가격: 미국 달러 기준 MSRP.
  • ⁵ 지포스 405: 지포스 310의 리브랜딩 버전이며, 이는 지포스 210의 리브랜딩 버전입니다. 페르미 아키텍처 기반이 아닙니다.
  • ⁶ 지포스 GTX 460: 400 시리즈는 공식 듀얼 GPU 카드가 없는 유일한 비 OEM 제품군입니다. 그러나 2011년 3월 18일, EVGA는 듀얼 GTX 460 칩을 탑재한 단일 PCB 카드를 출시했습니다. 이 카드는 2048MB 메모리(3600 MHz), 672개 쉐이더 프로세서(1400 MHz)를 가졌으며 MSRP는 429USD였습니다.

5. 갤러리

참조

[1] 뉴스 Nvidia finally lets Fermi GPU owners enjoy DirectX 12 https://techreport.c[...] Tech Report 2017-07-04
[2] 웹사이트 OFFICIAL: NVIDIA says GT300 on schedule for Q4 2009, yields are fine - Bright Side Of News* http://www.brightsid[...] Brightsideofnews.com 2010-09-20
[3] 웹사이트 Page 147-148, Appendix G.1, CUDA 3.1 official reference manual http://developer.dow[...]
[4] 문서 NVIDIA Fermi Compute Architecture Whitepaper http://www.nvidia.co[...]
[5] 웹사이트 The Misunderstanding - Presented by AMD https://www.youtube.[...]
[6] 웹사이트 AMD Pokes Fun of NVIDIA's Fermi GPU Heat Output in "The Misunderstanding" Video https://amp.hothardw[...] 2010-08-09
[7] 웹사이트 NVIDIA Fermi GF100 GPUs - Too little, too late, too hot, and too expensive https://www.zdnet.co[...]
[8] 웹사이트 GeForce GTX 480: Is it Hot Enough to Fry an Egg? https://www.tomshard[...] 2019-09-20
[9] 웹사이트 Nvidia Announces Tesla 20 Series http://www.siliconma[...]
[10] 웹사이트 NVIDIA’s GeForce GTX 460: The $200 King https://www.anandtec[...] 2024-05-16
[11] 웹사이트 NVIDIA Official Forums https://www.nvidia.c[...] 2024-05-16
[12] 웹사이트 NVIDIA Tesla C2xxx webpage http://www.nvidia.co[...]
[13] 웹사이트 Support Plan for 32-bit and 64-bit Operating Systems | NVIDIA http://nvidia.custhe[...]
[14] 웹사이트 Support Plan for Fermi series GeForce GPUs | NVIDIA http://nvidia.custhe[...]
[15] 웹사이트 The GF100 Recap - Nvidia's GeForce GTX 480 and GTX 470: 6 Months Late, Was It Worth the Wait? http://anandtech.com[...] 2015-12-11
[16] 웹사이트 GF104: Nvidia Goes Superscalar - Nvidia's GeForce GTX 460: The $200 King http://www.anandtech[...] 2015-12-11
[17] 웹사이트 GeForce GTX 480 And 470: From Fermi And GF100 To Actual Cards! http://www.tomshardw[...] 2015-12-11
[18] 웹사이트 The Khronos Group https://www.khronos.[...] 2022-05-31
[19] 웹사이트 Nvidia Fermi Compute Architecture Whitepaper http://www.nvidia.co[...] 2010-04-17
[20] 뉴스 Nvidia finally lets Fermi GPU owners enjoy DirectX 12 https://techreport.c[...] Tech Report 2017-07-04
[21] 문서 http://www.nvidia.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