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직복족아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직복족아강(Orthogastropoda)은 복족류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아강으로, 1996년 폰더(Ponder)와 린드버그(David R. Lindberg)에 의해 처음 분류되었다. 이전의 전새아강과 이새상목을 포함하며, 상목 분류가 불확실한 목을 비롯하여 열수분출공 삿갓조개상목, 고복족상목, 갈고둥상목, 신생복족상목, 이새상목 등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이새상목은 이새목, 후새목, 유폐목으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복족류 - 달팽이
    달팽이는 복족류에 속하며 배 전체를 발처럼 써서 느리게 이동하고 껍데기 유무와 서식 환경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자웅동체로 교미하여 번식하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천적에게 포식당하고 인간과 복잡한 관계를 맺으면서 문화적으로 다양한 상징성을 갖는다.
  • 복족류 - 민달팽이
    민달팽이는 껍데기가 퇴화된 형태를 가지며 달팽이와 같은 진유폐류 눈가류에 속하는 여러 계통의 종들을 아우르는 다계통군으로, 껍질 소실은 운동의 자유와 좁은 공간 이용 등 생존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하며 일부 종은 농업 해충으로 간주되지만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다양한 문화적 상징으로도 나타난다.
직복족아강 - [생물]에 관한 문서
과학적 분류
동물계
연체동물문
복족류
아강 (옛 분류)직복족아강
아강 명명Ponder & David R. Lindberg, 1996
하위본문 참조

2. 분류

'''직복족아강'''(Orthogastropoda)은 복족류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아강 중 하나이다. 1996년 폰더(Ponder)와 린드버그(David R. Lindberg)가 처음 분류하였다.[1][2]

직복족아강은 이전의 전새아강, 이새상목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 상목 분류가 불확실(''Incertæ sedis'')한 목
  • † Murchisoniina Cox & Knight, 1960
  • 열수분출공 삿갓조개상목 Ponder & David R. Lindberg, 1997
  • 네옴팔루스목 (Neomphaloida) Sitnikova & Starobogatov, 1983
  • 고복족상목 (Vetigastropoda) Salvini-Plawen, 1989
  • 갈고둥상목 (Neritaemorphi) Koken, 1896
  • 고리갈고둥목 (Cyrtoneritomorpha)
  • 갈고둥목 (Neritopsina) Cox & Knight, 1960
  • 신생복족상목 (Caenogastropoda) Cox, 1960
  • 고설목 (Architaenioglossa) Haller, 1890
  • 흡강목 (Sorbeoconcha) Ponder & David R. Lindberg, 1997
  • 이새상목 (Heterobranchia) J.E. Gray, 1840
  • 이새목 (Heterostropha) P. Fischer, 1885
  • 후새목 (Opisthobranchia) Milne-Edwards, 1848
  • 유폐목 (Pulmonata) Cuvier in Blainville, 1814 (유폐류)


최신 복족류 분류 체계는 복족류 분류 (Bouchet & Rocroi, 2005)를 참조해야 한다.

2. 1. 직복족아강 (Orthogastropoda)

'''직복족아강'''(Orthogastropoda)은 복족류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아강 중 하나이다. 1996년 폰더(Ponder)와 린드버그(David R. Lindberg)가 처음 분류하였다.[1][2]

직복족아강은 전새아강과 이새상목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상목 분류가 불확실(''Incertæ sedis'')한 멸종된 목인 Murchisoniina, 열수분출공 삿갓조개상목, 고복족상목, 갈고둥상목, 신생복족상목, 이새상목 등을 포함한다.

  • 상목 분류가 불확실(''Incertæ sedis'')한 목
  • 멸종된 목: † Murchisoniina
  • 열수분출공 삿갓조개상목
  • 네옴팔루스목
  • 고복족상목
  • 열공삿갓조개 상과
  • 전복 상과
  • 거북손고둥 상과
  • 갈고둥상목
  • 갈고둥목
  • 신생복족상목
  • 고설목
  • 흡강목
  • 이새상목
  • 이새목
  • 후새목
  • 유폐목


최신 복족류 분류 체계는 복족류 분류 (Bouchet & Rocroi, 2005)를 참고해야 한다.

2. 2. 이새상목 (Heterobranchia)

이새상목(Heterobranchia)은 J.E. Gray가 1840년에 명명했다. 이새상목은 이새목(Heterostropha), 후새목(Opisthobranchia), 유폐목(Pulmonata)으로 구성된다. 이새목은 P. Fischer가 1885년에, 후새목은 Milne-Edwards가 1848년에, 유폐목은 Cuvier in Blainville이 1814년에 명명했다. 유폐목은 유폐류로도 불린다.

3. 한국의 복족류

3. 1. 해양 복족류

3. 2. 담수 복족류

3. 3. 육상 복족류

4. 보존

참조

[1] 웹사이트 Order Sorbeoconcha Ponder and Lindberg 1997 (snail) https://paleobiodb.o[...]
[2] 웹사이트 WoRMS taxon details http://www.marinespe[...]
[3] 저널 복족류 분류 (부쉐 & 로크루아, 2005년) http://www.vliz.be/V[...] ConchBooks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