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과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과스는 대만 신베이시에 위치한 지역으로, 과거 금광 개발로 번성했던 곳이다. 원래는 금을 많이 함유한 바위산으로 '금 멜론의 돌'이라는 뜻으로 불렸다. 1890년대 청나라 시대에 금광이 발견된 후 일본 통치 시대에 대규모 광산으로 발전하여 일본 광업의 주요 수입원이 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 포로 강제 노역과 금, 구리 생산 중단으로 폐광되었다. 현재는 진과스 황금 박물원구로 조성되어 광산 시설, 황금 박물관, 일제강점기 건물 등을 보존하고 있으며, 광부 도시락 등의 관광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진과스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중국어 간체 | 金瓜石 |
병음 | Jīnguāshí |
웨이드-자일스 | Ching¹-kua¹-shih² |
민난어 | Kim-koe-chio̍h |
일본어 | 金瓜石 (きんかせき) |
로마자 표기 | Jingguashi |
위치 | 타이완신베이 시루이팡 구 |
역사 | |
개요 | 진과스는 타이완신베이 시루이팡 구에 위치한 역사적인 광산 마을이다. 한때 아시아 최대의 금광 중 하나였으며 풍부한 광물 자원으로 유명했다. |
탄광 개발 시작 시기 | 1893년 |
일본 통치 시대 | 일본 통치 시대 동안 진과시는 일본 기업에 의해 집중적으로 개발되어 금, 구리 및 기타 광물이 채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군 포로 수용소로도 사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 전쟁 후 광산은 쇠퇴했고 결국 문을 닫았다. 오늘날 진과스는 역사적 중요성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으로 인해 관광 명소가 되었다. 황금 박물관은 이 지역의 광업 유산을 보여준다. |
포로수용소 |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진과시에는 연합군 포로 수용소가 있었다. |
특징 | |
광물 자원 | 한때 아시아 최대의 금광 중 하나였으며 풍부한 광물 자원으로 유명하다. |
관광지 | 역사적 중요성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으로 인해 관광 명소가 되었다. 황금 박물관은 이 지역의 광업 유산을 보여준다. |
2. 역사
진과스는 원래 금을 많이 함유한 거대한 바위산이었으며, 그 모양이 멜론과 같다고 하여 '금 멜론의 돌', 즉 진과스라고 불리게 되었다.
청나라 통치 시대, 일본 통치 시대를 거쳐 중화민국 통치 시대에 이르기까지 진과스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광산이었다.
1945년 포츠담 선언으로 대만이 중화민국에 반환되면서 중화민국 정부는 진과스를 몰수하고 금동광무국 설립 준비처를 설립했다.[2] 1955년 대만 금속 광업 주식회사(타이진)로 재편성되었으나,[2] 1973년 다각화 경영에 나섰다가 1985년 폐업을 결정, 1987년 결국 폐광되었다.[2]
2004년 진과스 광산의 기념관인 진과스 황금 박물원구가 개원하였다.
2. 1. 청나라 통치 시대
1890년 철도 교량 공사 중 지룽강에서 사금이 발견되었다.[1] 1892년 청나라는 지룽에 금리사국을 설치하여 사금 채취를 허가하고 세금을 징수했다.[1] 1893년 지우펀에서 금광맥이 발견되어 골드러시가 일어났고,[1] 1894년 진과스에서도 금광이 발견되었다.[1] 청일 전쟁 등으로 청나라 정부는 광산 관리에 소홀했다.[1]2. 2. 일본 통치 시대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대만이 일본에 할양되면서 진과스는 일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2] 1896년 일본 정부는 광업 관리 규칙을 발포하고, 가마이시 광산 다나카 제철소를 경영했던 다나카 조헤이의 다나카 광업이 진과스 채굴권을 획득하여 본격적인 광산 개발을 시작했다.[7] 초기에는 일본인 기술자와 노동자들이 주를 이루었으나, 1902년경에는 대만인 갱부의 수도 증가하였다.1904년 유비철동광이 발견되면서 금뿐만 아니라 구리 광산으로도 대규모 광산으로 발전하였다.[9] 1913년에는 대만 삼금산[10] 중 하나인 무단컹 광산을 매수하여 진과스 광산과 합병, 크게 성장하였다. 1914년 당시 종업원 수는 일본인 599명, 대만인 169명이었으며, 별도로 하청 갱부가 2,000명 가까이 있었다. 1917년 다나카 광산 주식회사로 전환되었다.
1922년 황태자 (후의 쇼와 천황)의 방문을 위해 태자빈관이 세워졌으나, 실제 방문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25년 고큐 신타로가 진과스 광산 주식회사를 설립하여 경영권을 인수하고, 1933년 일본광업이 다시 인수하였다.
1930년대 진과스는 일본 광업의 주요 수입원으로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며, 인구는 약 15,000명에 달했다. 학교, 병원, 영화관 등 각종 시설이 갖춰져 있었고, 황금 신사를 중심으로 한 신앙 생활도 활발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군 포로들이 진과스 광산에서 강제 노역에 동원되었다.[3] 이들은 가혹한 환경과 각기병과 같은 질병으로 고통받았으며,[3] 이로 인해 많은 포로가 사망했다. 1943년 금 생산이 중단되고, 1944년에는 구리 생산도 중단되면서 광산은 폐광되었다.
2. 3. 중화민국 통치 시대
- 1945년 포츠담 선언에 의해, 타이완이 중화민국의 통치 하에 편입되었다. 중화민국 정부는 진과스를 몰수하고 금동광무국 설립 준비처를 설립했다.
- 1955년 진과스 광산이 재편성되어 대만 금속 광업 주식회사(타이진)가 설립되었다.
- 1973년 타이진 공사가 다각화 경영에 나서 예러 련동 공장을 설립했다.
- 1985년 타이진 공사가 폐업을 결정했다.
- 1987년 진과스 광산이 폐광되었다.
3. 전후 처리 및 역사적 의의
일본 제국이 연합군에 패배한 후, 킨카세키(진과스)에서 포로에 대한 잔혹 행위 및 학대로 일본광업주식회사(대만광업의 모회사) 직원 9명이 기소되었다. 1947년 5월 28일, 홍콩에 있는 영국 전범 재판소 5호에서 9명 중 8명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5] 재판소는 일본군이 아닌 회사가 포로 학대에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다.
1997년에는 포로 수용소 부지에 기념 공원이 개장되었다.[6]
이후 광물 매장량은 고갈되었지만, 2004년 10월에 개장한 골드 생태 공원 덕분에 진과스는 여전히 많은 방문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진과스는 2002년에 세계 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었다.
현재, 대만 정부는 진과스 광산과 관련 집락을 세계 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03년, 행정원 문화건설위원회 문화 자산 관리처 준비실에서 "수이진지우 광업 유적"(Shuei-Jin-j-Jiou Mining Sites)으로 세계 유산에 추천하는 것을 승인하여, 대만의 세계 유산 후보 중 하나로 추가되었다.
4. 진과스 황금 박물원구
진과스 황금 박물원구는 광산 시설, 황금 박물관, 그리고 일제강점기 건물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에서는 금 채굴 노동자들이 먹던 도시락을 복원한 '광부 도시락'을 맛볼 수 있으며, 기념품으로 도시락 통을 가져갈 수도 있다.
과거 포로 수용소 부지에는 1997년 기념 공원이 개장되었다.[6] 진과스는 2002년 세계 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었고, 2004년 골드 생태 공원이 개장하면서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4. 1. 주요 시설
- 황금 박물관: 과거 광산 사무소를 개조한 곳으로, 진과스의 광업 역사와 문화를 소개한다. 기네스 북에 등재된 220.3kg의 세계 최대 금괴가 전시되어 있다.[14] 건물 옆의 본산 5갱에서는 갱도 견학이 가능하다.
- 태자빈관: 일본 통치 시대 황태자(쇼와 천황)의 방문을 위해 건설된 일본식 건물이다.
- 본산 5갱: 갱도 견학이 가능한 곳이다.
- 황금 신사: 일본 통치 시대에 건립된 신사로, 광산의 안전과 번영을 기원하던 곳이다.[14]
- 권제당: 관우를 모시는 사당으로, 광부들의 신앙생활 중심지였다.
- 기타 시설: 일본인 숙소, 광부 식당, 황금 폭포, 다호산, 음양해 등이 있다.




5. 광부 도시락
진과스 유적 내부에서는 금 채굴 노동자들이 먹던 도시락을 복원하여 관광지 먹거리로 판매하고 있다. 이를 '광부 도시락'이라고 부르며, 일정 요금을 더 내면 광부 도시락 통을 기념품으로 가져갈 수 있다.
참조
[1]
뉴스
The Forgotten POWs of the Pacific: The Story of Taiwan's Camps
http://thinking-taiw[...]
2015-10-30
[2]
서적
Civil Affairs Handbook: Taiwan (Formosa) - Taihoku Province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the Navy
[3]
웹사이트
WW2: Unearthing Taiwan's forgotten prisoner of war camps
https://www.bbc.com/[...]
BBC
2021-06-15
[4]
웹사이트
KINKASEKI CAMP #1
http://www.powtaiwan[...]
2021-01-07
[5]
논문
Corporate Complicity: From Nuremberg to Rangoon - An Examination of Forced Labor Cases and Their Impact on the Liability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https://lawcat.berke[...]
2002-04
[6]
뉴스
POWs remembered at Kinkaseki event
https://www.taipeiti[...]
2010-11-16
[7]
문서
『日本紳士録 22版』田中鉱山株式会社
https://dl.ndl.go.jp[...]
交詢社
1918
[8]
서적
台湾鉱業会報
台湾鉱業会
1937-10
[9]
문서
『臺灣大觀』
https://dl.ndl.go.jp[...]
臺南新報社
1935-11
[10]
문서
『台湾写真帖』
https://dl.ndl.go.jp[...]
台湾総督府総督官房文書課
1908
[11]
문서
『日本鉱業名鑑 改訂』
https://dl.ndl.go.jp[...]
鉱山懇話会
1918
[12]
서적
甑島物語:鹿児島県
松竹秀雄
[13]
문서
『台湾統治と其功労者』
https://dl.ndl.go.jp[...]
南国出版協会
1930
[14]
간행물
『台湾鉱業会報 (170)』
https://dl.ndl.go.jp[...]
台湾鉱業会
193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