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여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여는 북송 및 남송 시기에 활동한 인물로, 1090년 뤄양에서 태어났다. 1113년 진사가 되어 관직에 진출하여 이부시랑, 참지정사 등을 역임했으며, 금나라의 침입으로 남송이 건국된 후에는 피난 생활을 거쳐 남송 조정에서 활동했다. 그는 시에도 능하여 '묵매'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시집 《간재집》과 《무주사》를 저술했다. 1139년 49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생애는 《송사》에 수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38년 사망 - 볼레스와프 3세
볼레스와프 3세는 1086년경에 태어나 1138년에 사망한 폴란드의 공작으로, 포메라니아를 지배하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군대를 격파하는 등 군사 활동을 펼쳤으나, 서거 전 국토를 분할 상속하여 폴란드 분열 시대를 초래했다. - 1138년 사망 - 리 신종
리 신종은 베트남 리 왕조의 제5대 황제로, 인종의 양자로서 즉위하여 송나라와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참파, 크메르와의 군사적 충돌을 겪었으며 불교와 도교를 장려했다. - 1090년 출생 - 에리크 2세
에리크 2세는 에스트리센 가 출신으로 1134년부터 1137년까지 덴마크의 왕이었으며, 왕권 강화 노력과 가혹한 통치로 암살당했다. - 1090년 출생 - 시구르 1세
시구르 1세는 1103년부터 1130년까지 노르웨이를 통치한 국왕으로, 노르웨이 십자군을 이끌어 '요르살라파리'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그의 치세는 노르웨이 왕국의 황금기로 여겨지지만 왕위 계승 분쟁의 씨앗을 남겼다는 평가도 받는다.
진여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진여의 |
원어 이름 | 陳與義 |
원어 이름 (언어) | 중국어 |
출생 | 1090년 |
출생지 | 뤄양, 허난, 중국 |
사망 | 1138년 |
사망지 | 항저우, 저장, 중국 |
직업 | 시인, 정치인 |
한어 병음 | |
병음 | Chén Yǔyì |
자 | Qufei |
호 | Jianzhai |
2. 생애
진여는 어릴 적부터 시를 잘 지었다. 정화 3년(1113년)에 진사가 되었다. 개덕부 교수를 거쳐 태학 박사, 부보랑이 되었으나, 감 진류주세로 좌천되었다. 금이 변경을 침략하고 송 고종이 남쪽으로 피난했을 때, 양양부로 옮겨갔다.[2] 그의 전기는 ''송사''에 수록되었다.
2. 1. 북송 시기
진여는 1090년 뤄양 허난성의 관리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징자오(오늘날의 시안)이다.[1] 1113년 과거 시험에서 진사가 된 후 중앙 정부에 배속되었다. 1116년에 은퇴했다가 2년 후 다시 근무를 시작했다. 1120년에는 모친상을 당하여 집에 머물렀다. 2년 후, 거성중(葛胜仲|거성중중국어)의 추천으로 중앙 정부 관리가 되었다.[2]1127년, 금나라 군대가 변경(오늘날의 카이펑 허난성)을 점령하면서 송나라 군대는 궤멸되었다. 송나라 북송이 멸망한 후, 송 고종은 사오싱으로 피신하여 송나라 남송을 건국했다.
2. 2. 남송 시기
1127년, 금나라 군대가 변경(오늘날의 허난성)을 점령하면서 송나라 군대는 궤멸되었다. 북송이 멸망한 후, 송 고종은 사오싱으로 피신하여 남송을 건국했다. 진여는 가족과 함께 피신하여 후베이성, 후난성, 광둥성을 거쳐 푸젠성에 정착했다. 소흥 원년(1131년), 그는 남송의 수도인 임안에 도착하여 병부시랑, 중서사인 겸 장내제를 맡았다. 이후 이부시랑, 휘유각 직학사, 호주 지주, 급사중, 현모각 직학사, 제거 강주 태평관을 역임했다. 다시 중서사인으로 임명되었고, 한림학사 · 지제고를 거쳐, 소흥 8년(1138년)에 참지정사가 되어 조정의 기강을 크게 숙정했다. 같은 해 3월에 고종을 따라 건강부로 갔고, 이듬해 임안으로 돌아와 병을 이유로 자정전 학사, 호주 지주로 임명되었다. 고종은 진여의를 후하게 위문했고, 제거 임안 동소궁으로 승진했으며, 소흥 9년(1139년) 11월에 사망했다.[2]3. 평가
진여는 관직에 오른 후 북송 멸망까지 십여 년간 지은 시 중 7언 절구 연작시 '묵매' 5수는 휘종의 찬사를 받았다. 이 작품은 주희의 『어류』에도 언급되었으며, 강서 시파에서 황정견보다는 위, 진사도보다는 아래에 위치한다. 진여는 원래 두보를 좋아했으나, 전란을 피해 방랑하면서 환경의 유사성 때문에 더욱 친밀감을 느꼈다고 스스로 밝혔다. 소식의 대담함이나 황정견의 난해함을 취하지 않았고, 만년의 작품은 당나라 시의 평이함에 가까워졌다. 시집으로 500여 편을 모은 『간재집』 16권[3]이 있으며, 『송 명가사』에는 『무주사』 1권이 수록되어 있다.
찬란한 강남의 만옥의 비 |
헤어진 뒤로 몇 번이나 봄이 돌아오는 것을 보았는가 |
경락에서 서로 만나니 모두 예전과 같네 |
다만 검은 먼지가 흰 옷을 더럽히는 것을 한탄하네 |
4. 시 세계
진여는 관직에 오른 후 북송의 멸망에 이르기까지 십여 년간 시를 지었다. 두보를 좋아했지만, 전란을 피해 방랑하면서 환경의 유사성으로 인해 더욱 친밀감을 느꼈다고 스스로 인정했다. 소식의 대담함이나 황정견의 난해함을 취하지 않고, 만년의 작품은 당나라 시의 평명함에 가까워졌다. 시집으로 500여 편을 모은 『간재집』 16권[3]이 있으며, 『송 명가사』 안에 『무주사』 1권이 수록되어 있다.
4. 1. 대표작: 묵매(墨梅)
진여의 대표작 중 하나인 '묵매'는 7언 절구 연작시 5수로, 북송 휘종 황제의 찬사를 받았다.[3] 이 작품은 주희의 『어류』에서도 언급되었으며, 강서 시파 중 황정견 아래, 진사도 위에 위치했다.[3]찬란한 강남의 만옥의 비 |
헤어진 뒤로 몇 번이나 봄이 돌아오는 것을 보았는가 |
경락에서 서로 만나니 모두 예전과 같네 |
다만 검은 먼지가 흰 옷을 더럽히는 것을 한탄하네 |
5. 저서
진여의 시집으로 500여 편을 모은 『간재집』 16권이 있으며,[3] 『송 명가사』 안에 『무주사』 1권이 수록되어 있다. 북송 멸망까지 십여 년간의 시 중 7언 절구 연작인 '묵매' 5수는 휘종의 찬사를 받았다. 주희의 『어류』에도 언급되었으며, 강서 시파 중 황정견 아래, 진사도 위에 위치했다. 원래 두보를 좋아했지만, 전란을 피해 방랑하는 동안 환경의 유사성으로 인해 더욱 친밀감을 느꼈다고 스스로 인정했다. 소식의 대담함, 황정견의 난해함을 취하지 않고, 만년의 작품은 더욱 당나라 시의 평명함에 가까워졌다.
원문 | 번역 |
---|---|
찬찬 강남 만옥비 | 찬란한 강남의 만옥의 비 |
별래 기백번 견춘귀 | 헤어진 뒤로 몇 번이나 봄이 돌아오는 것을 보았는가 |
상봉 경락 혼의구 | 경락에서 서로 만나니 모두 예전과 같네 |
유한 치진 염소의 | 다만 검은 먼지가 흰 옷을 더럽히는 것을 한탄하네 |
참조
[1]
뉴스
http://news.163.com/[...]
2014-04-09
[2]
서적
Emperor Huizong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8-04-23
[3]
서적
中国学芸大事典
大修館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