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한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한공 왕유는 고려 문종의 아들이자 이자연의 외손으로, 1086년 검교태위 수사공에 임명된 후 수사도, 상서령을 거쳐 진한공에 봉해졌다. 그는 근친혼을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1099년에 사망하여 시호는 화신이다. 그의 아들 왕기는 숙종의 딸 대령공주와 혼인하고 찬화공신에 올랐으며, 다른 아들 왕연은 복녕궁주와 혼인했다. 왕유의 딸은 예종의 비 문정왕후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99년 사망 - 교황 우르바노 2세
교황 우르바노 2세는 1088년부터 1099년까지 재위하며 제1차 십자군 파병을 호소하여 십자군 운동을 촉발하고, 개혁을 추진하며 교황권을 강화하다가 제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점령하기 직전에 사망한 인물이다. - 1099년 사망 - 고려 양헌왕
고려 양헌왕은 고려 문종의 장남으로 조선공에 봉해졌으며 숙종 때 양헌이라는 시호를 받았고, 이자연의 외손자이며 1099년에 사망하여 제후왕으로 추존되었다. - 고려의 공작 - 왕면
왕면은 고려 의종의 사위로, 수사공 등의 관작을 받았으며, 순후하고 침착한 성품으로 의술에 정통하여 종기를 치료하는 등 헌신적인 면모를 보였다. - 고려의 공작 - 최충헌
최충헌은 1149년에 태어나 1219년에 사망한 고려 시대의 무신으로, 무신정변으로 권력을 장악하여 최씨 무신 정권을 수립하고 여러 왕을 옹립하며 도방을 통해 권력을 유지하다가 몽골의 침략 시기까지 최씨 정권을 이끌었다. - 고려의 후작 - 염제신
염제신은 고려 말기의 문신으로, 원나라 관료 생활 후 고려로 돌아와 기철 일파 숙청과 홍건적 격퇴에 공을 세워 문하시중에 올랐으며, 공민왕의 후궁 신비 염씨의 아버지로서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 고려의 후작 - 김부식
신라 왕족 후예인 김부식은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진한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왕자(王子), 태자(太子) |
다른 작위 | 진한후(辰韓侯) |
별칭 | 후(侯), 공(公) |
본명 | 왕유(王愉) |
출생일 | 생년 미상(生年 未詳) |
사망일 | 1099년 음력 11월 4일 |
재위 기간 | ? ~1099년 음력 11월 4일 |
시호 | 화신(和信) |
가문 | |
왕가 | 개성(開城) |
왕조 | 고려(高麗) |
가족 관계 | |
부왕 | 문종(文宗) |
모후 | 인경현비(仁敬賢妃) |
배우자 | ? |
자녀 | 회안백 왕기(淮安伯 王沂), 진강백 왕연(晉康伯 王演), 문정왕후(文貞王后) |
종교 | |
종교 | 불교(佛敎) |
기타 정보 | |
능릉 | 없음 |
묘호 | 없음 |
로마자 표기 (개정) | Wang Yu |
2. 생애
진한공 왕유는 고려 제11대 문종의 13남이자 인경현비의 3남으로, 생년은 확실하지 않다. 성은 왕, 이름은 유(愉), 본관은 개성이다. 이자연의 외손자이자, 선종, 숙종, 순종의 이복 형제 또는 이종사촌이었다.
1086년(선종 3년) 음력 2월 21일 왕유는 다른 형제들과 함께 검교태위 수사공에 임명되었고[13], 1094년(헌종 즉위년) 음력 6월 30일에는 수사도에 올랐다[14]. 1095년(숙종 즉위년) 음력 10월 18일에는 상서령으로 승진했으며, 식읍 6,000호와 식실 400호를 하사받았다[15][16]. 훗날 '''진한공'''(辰韓公)으로 봉해졌다[17].
왕유는 친형 부여공이 이복 남매인 적경궁주와 혼인하는 것에 대해 변한후, 금관후 등과 함께 근친혼이라며 부당함을 주장하며 선종에게 혼인을 무효화해 줄 것을 청했으나, 왕은 이를 거부하였다[18].
진한공 왕유는 1099년(숙종 4년) 음력 11월 4일에 사망하였다.[19] 시호는 화신(和信)이다.[16]
2. 1. 가계 및 초기 생애
고려 제11대 왕 문종의 13남이자 인경현비의 3남으로, 생년은 확실하지 않다. 성은 왕, 이름은 유(愉), 본관은 개성이다. 어머니 인경현비는 이자연의 딸로, 문종의 제2비 인예왕후와 제4비 인절현비는 왕유의 이모이다. 따라서 순종, 선종, 숙종을 비롯한 인예왕후 소생의 왕자 및 공주들과는 이복 형제이자 이종 사촌 관계가 된다.[2] 왕유는 이자연의 외손자이자, 선종, 숙종 및 순종의 이복 형제 또는 이종사촌이었다.2. 2. 왕자 시절
1086년(선종 3년) 음력 2월 21일 왕유는 다른 형제들과 함께 검교태위 수사공에 임명되었고[13], 1094년(헌종 즉위년) 음력 6월 30일에는 수사도에 올랐다[14]. 1095년(숙종 즉위년) 음력 10월 18일에는 상서령으로 승진했으며, 식읍 6,000호와 식실 400호를 하사받았다[15][16]. 훗날 '''진한공'''(辰韓公)으로 봉해졌다[17].왕유는 친형 부여공이 이복 남매인 적경궁주와 혼인하는 것에 대해 변한후, 금관후 등과 함께 근친혼이라며 부당함을 주장하며 선종에게 혼인을 무효화해 줄 것을 청했지만, 왕은 이를 거부하였다[18].
2. 3. 사망과 후손
진한공 왕유중국어는 1099년(숙종 4년) 음력 11월 4일에 사망하였다.[19] 시호는 화신(和信)이다.[16]왕유는 왕기, 왕연 두 아들을 두었다. 장남 왕기는 숙종의 딸 대령공주와 혼인하고 회안백에 봉해졌으며 찬화공신에 올랐다. 1126년(인종 4년) 음력 2월 21일에 죽었다.[20] 차남 왕연은 숙종의 딸 복녕궁주와 혼인하였으며, 진강백에 봉해졌다.[16] 1146년(인종 24년) 음력 2월 20일에 죽었다.[21]
한편 왕유의 딸은 예종에게 시집갔는데, 그녀가 곧 예종의 제3비 문정왕후이다.[22]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현종 | 고려 제8대 왕 |
조모 | 원혜왕후 | 현종 제4비 |
아버지 | 문종 | 고려 제11대 왕 |
외조부 | 이자연 | |
외조모 | 계림국대부인 김씨 | |
어머니 | 인경현비 | 문종 제3비 |
부인 | 미상 | |
장남 | 회안백 왕기 | |
차남 | 진강백 왕연 | |
장녀 | 문정왕후 | 예종 제3비 |
차녀 | 경창원주 | 대방공비 |
형 | 조선공 왕도 | |
형 | 부여공 왕수 | |
이모 | 인예왕후 | 문종 제2비, 순종, 선종, 숙종 등의 어머니 |
이모 | 인절현비 | 문종 제4비 |
외숙 | 이호 | 이자겸 등의 아버지 |
외숙 | 이석 | 사숙왕후의 아버지 |
외숙 | 이정 | 이자의 등의 아버지 |
참조
[1]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4-08
[2]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4-08
[3]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4-08
[4]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4-08
[5]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4-08
[6]
서적
https://books.googl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2002
[7]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4-08
[8]
서적
https://books.google[...]
King Sejong the Great Memorial Business Association
1995
[9]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4-08
[10]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4-08
[11]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4-08
[12]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4-08
[13]
문서
《고려사》권10〈세가〉권10 - 선종 3년 2월 - 왕도 등을 수태보로 삼다
[14]
문서
《고려사》권10〈세가〉권10 - 헌종 즉위년 6월 - 왕도 등을 관직에 임명하다
[15]
문서
《고려사》권11〈세가〉권11 - 숙종 즉위년 10월 - 조선국공 왕도 등에게 관작을 더하다
[16]
문서
《고려사》권90〈열전〉권3 - 진한후 왕유
[17]
문서
《고려사》권14〈세가〉권14 - 예종 16년 1월 - 왕이 귀비와 숙비를 맞아들이기로 하다
[18]
문서
《고려사》권90〈열전〉권3 - 금관후 왕비
[19]
문서
《고려사》권11〈세가〉권11 - 숙종 4년 11월 - 진한후 왕유가 죽다
[20]
문서
《고려사》권15〈세가〉권15 - 인종 4년 2월 - 회안백 왕기가 죽다
[21]
문서
《고려사》권17〈세가〉권17 - 인종 24년 2월 - 진강백 왕연이 죽다
[22]
문서
《고려사》권88〈열전〉권1 - 문정왕후 왕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