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드어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드어파는 4개 어군으로 구성되며, 폴 뉴먼에 의해 분류되었고, 이후 연구자들 역시 이를 인정하고 있다. 서차드어군, 비우만다라어군(중앙차드어군), 동차드어군, 마사어군으로 나뉘며, 쿠자르게어를 차드어파에 포함시키려는 시도도 있다. 차드어파는 Y 염색체 하플로그룹 R1b의 빈도가 높고, 나일사하라어족의 송가이어파와 마바어파로부터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드어파 - 하우사어
하우사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에 속하며 나이지리아 북부, 니제르, 수단, 카메룬 등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보코와 아랍 문자 기반의 아자미 두 가지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성조 언어로서 복잡한 명사 복수형과 시제, 상, 법에 따라 변하는 주어 대명사 체계를 갖는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차드어파 | |
---|---|
지도 | |
![]()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차드어파 |
로마자 표기 | Chadic languages |
지역 | 나이지리아, 니제르, 차드, 카메룬 |
언어 계통 | 아프로아시아어족 |
조상 언어 | 원시 아프로아시아어 |
ISO 5 | cdc |
글롯토로그 | chad1250 |
글롯토로그 명칭 | Chadic |
하위 어파 | |
하위 어파 | 비우-만다라어파 동차드어파 마사어파 서차드어파 |
2. 구성
폴 뉴먼(Paul Newman, 1977)은 차드어파를 4개 어군으로 분류했으며, 이후 연구자들도 모두 이를 인정하였다. 그러나 하위 수준의 분류는 그만큼 잘 확립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블렌치(Blench, 2006)는 동차드어군의 A/B 분기군 외에는 아무것도 인정하지 않았다.[26] 블렌치(2008)는 이 4개 어군에 더하여 쿠자르게어를 차드어파에 포함시키며, 쿠자르게어가 차드조어의 분화 이전에 떨어져 나왔고 이후에 동차드어군의 영향을 받았을지도 모른다고 제안했다.[27]
- '''서차드어군'''
- * A: 하우사어, 론어군, 볼레어군, 앙가스어군
- * B: 바데어군, 와르지어군, 자르어군
- '''비우·만다라어군''' (중앙차드어군)
- * A: 부라어, 캄웨어, 바타어 외
- * B: 부두마어, 무스구어
- * C: 기다르어
- '''동차드어군'''
- * A: 투마크어, 난체레어, 케라어
- * B: 당갈레아트어, 모킬코어, 소코로어
- '''마사어군'''
- ? '''쿠자르게어'''
2. 1. 주요 어군
뉴먼(Newman, 1977)은 차드어파를 4개 어군으로 분류했으며, 이후 연구자들도 모두 이를 인정하였다. 그러나 하위 수준의 분류는 그만큼 잘 확립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블렌치(Blench, 2006)는 동차드어군의 A/B 분기군 외에는 아무것도 인정하지 않았다.[26] 블렌치(2008)는 이 4개 어군에 더하여 쿠자르게어를 차드어파에 포함시키며, 쿠자르게어가 차드조어의 분화 이전에 떨어져 나왔고 이후에 동차드어군의 영향을 받았을지도 모른다고 제안했다.[27]- '''서차드어군'''
- '''비우·만다라어군''' (중앙차드어군)
- '''동차드어군'''
- '''마사어군'''
- ? '''쿠자르게어'''
2. 1. 1. 서차드어군
폴 뉴먼(Paul Newman, 1977)은 차드어파를 4개 어군으로 분류했으며 이후 연구자들도 모두 이를 인정하였다. 서차드어군은 2개 분기군으로 나뉜다.[26]:(A) 하우사어, 론어군, 볼레어군, 앙가스어군
:(B) 바데어군, 와르지어군, 자르어군
2. 1. 2. 비우만다라어군 (중앙차드어군)
비우만다라어군(비우·만다라어군)은 3개 분기군으로 나뉜다.[26]:(A) 부라어, 캄웨어, 바타어 외
:(B) 부두마어, 무스구어
:(C) 기다르어
2. 1. 3. 동차드어군
폴 뉴먼(Paul Newman)이 1977년에 제시하고 이후 연구자들도 인정한 분류에 따르면, 동차드어군은 2개의 분기군으로 나뉜다.[26]:(A) 투마크어, 난체레어, 케라어
:(B) 당갈레아트어, 모킬코어, 소코로어
그러나 블렌치(Blench)는 2006년에 동차드어군의 A/B 분기군 외에는 아무것도 인정하지 않는다고 하였다.[2]
2. 1. 4. 마사어군
마사어군2. 2. 쿠자르게어
Blench(2008)는 쿠자르게어를 차드어파에 포함시키며, 쿠자르게어가 차드조어의 분화 이전에 떨어져 나왔고 이후에 동차드어군의 영향을 받았을지도 모른다고 제안했다.[27]3. 기원
현대의 여러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카메룬 북부의 차드어파 사용 집단은 Y 염색체 하플로그룹 R1b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구체적으로, R1b의 R-V88 변종).[28] 이 부계 표지는 유라시아 서부의 일부 지역에서 흔하지만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에서는 드물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Cruciani et al. (2010)는 홀로세 중기(약 7000년 전)의 차드조어 화자들이 레반트 지역에서 사하라 중부로 이주했으며 그로부터 다시 차드호 분지에 정착했다고 제안하였다.[28]
차드어파를 사용하는 민족은 Y염색체 하플로그룹 R1b가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21][22][23] 이는 다른 아프로-아시아계 민족들이 Y염색체 하플로그룹 E1b1b가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것[24]과 대조적이다. R1b는 7000년 전 레반트에서 이동을 시작하여 차드호 평원에 도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25] 차드어파의 기원지는 현재의 수단 부근으로 여겨진다.
4. 차용어
차드어파 언어들은 나일사하라어족의 송가이어파와 마바어파로부터 많은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이는 차드어파 화자들이 서쪽으로 이주하는 과정에서 차드어파와 나일사하라어족 집단 간에 이른 시기의 접촉이 있었음을 시사한다.[29]
아다마와어군은 차드어파와 인접해 있지만 두 집단 간의 상호작용은 크지 않다.[30]
5. 인칭 대명사
6. 어휘 비교
언어 | 눈 | 귀 | 코 | 이빨 | 혀 | 입 | 피 | 뼈 | 나무 | 물 | 먹다 | 이름 |
---|---|---|---|---|---|---|---|---|---|---|---|---|
원차드어[7] | *ydncdc | *km/*ɬmcdc | *ntncdc | *s₃n; *ƙ-dcdc | *ls₃-cdc | *bkcdc | *brcdc | *ƙs₃cdc | *ymncdc | *hrɗcdc (딱딱한); *twycdc (부드러운) | *s₃mcdc | |
하우사어[8] | ido | kunne | hanci | haƙori | harshe | baki | jini | ƙashi | itaci; bishiya | ruwa | ci | suna |
원론어[9] | *kumu | *atin | *haŋgor | *liʃ | *fo | ɟɑ̄lɑ̄, tɾɔ̃̄ | *kaʃ | *sum | ||||
원남부 바우치어[10] | *(gwà)yìr(-ŋ) | *kə̂m(-si) | *bʸak(-ì) | *bìràm | *gu(ŋ)ul | *pit-ə̀ | *(yì)sûm(-s₃) | |||||
폴치어[11] | yiir | kəəm | cin | haƙori | shen | bii | buran; bəran | gooloo | pət | maa | ci | suŋ |
원중앙 차드어[12] | *hadaj; *tsɨʸ | *ɬɨmɨɗʸ | *hʷɨtsɨnʸ | *ɬɨɗɨnʸ | *ɗɨrɨnɨhʸ; *ɣanaɗʸ; *naɬɨj | *maj | *ɗiɬ; *kɨrakaɬʸ | *hʷɨp | *ɗɨjɨm | *zɨm | *ɬɨmɨɗʸ | |
원마사어[13] | *ir | *hum | *cin | *s- | *si | *vun | *vuzur | *sok | *gu | *mb- | *ti | *sem |
쿠자르게어[14] | kunɟu | kumayo ~ kime | kaata | kiya | aliŋati | apa | ɪbɪrí | (kaɟeɟa), kàyɛ́ya | kaʃíè | ʃia | (tona), tuye [imp. sg.]; tuwona [imp. pl.] | rúwà |
다른 아프로아시아어족 | ||||||||||||
원쿠시어[15] | *ʔil- | *ʔisŋʷ- | *ʔiɬkʷ- | *caanrab- | *ʔaf-/*yaf- | *mikʷ’-; *moc’- | *-aħm-/*-uħm-; *ɬaam- | *sim-/*sum- | ||||
원마지어[16] | *ʔaːb | *háːy | *aːç’u | *eːdu | *uːs | *inču | *haːy | *um | ||||
타리피트 베르베르어[17] | ŧit’t’ | aməžžun, aməz’z’uɣ | ŧinzā | ŧiɣməsŧ | iřəs | aqəmmum | iđammən | iɣəss | aman | šš | isəm | |
콥트어 | ia | ma'aje | ša | šol, najhe | las | ro | snof | kas | šēn | mou | wōm | ran |
원셈어[18] | *ʕayn- | *ʔuḏn- | *ʔanp- | *šinn- | *lišān- | *dam- | *ʕaṯ̣m- | *ʕiṣ̂- | *mā̆y- | *ʔ-k-l | (*šim-) | |
원아프로아시아어[19] | *ʔǐl- | *-ʔânxʷ- | *sǐn-/*sǎn- '끝, 점' | *-lis’- '핥다' | *âf- | *dîm-/*dâm- | *k’os- | *ɣǎ | *âm-; *akʷ’- | *-mǎaʕ-; *-iit-; *-kʷ’-̌ | *sǔm-/*sǐm- |
참조
[1]
웹사이트
Chadic Languages; Ethnologue
https://www.ethnolog[...]
[2]
웹사이트
The Afro-Asiatic Languages: Classification and Reference List
http://rogerblench.i[...]
2013-10-07
[3]
웹사이트
Links between Cushitic, Omotic, Chadic and the position of Kujarge
http://www.rogerblen[...]
2019-12-22
[4]
저널
The Nilo-Saharan background of Chadic
2006-12-05
[5]
간행물
Linguistic evidence for the chronological stratification of populations South of Lake Chad
2012-09-13
[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African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Chadic Lexical Roots: Tentative reconstruction, grading, distribution and comments
Dietrich Reimer Verlag
[8]
웹사이트
Hausa dictionary
http://ids.clld.org/[...]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0-01-01
[9]
웹사이트
Ron comparative wordlist
http://www.rogerblen[...]
2015-04-21
[10]
서적
The Southern Bauchi group of Chadic languages: a survey report
Africana Marburgensia
[11]
웹사이트
Polci dictionary
http://ids.clld.org/[...]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0-01-01
[12]
웹사이트
Proto-Central Chadic Lexicon
https://protocentral[...]
2021-01-20
[13]
저널
The classification of the Masa group of languages
1997-06
[14]
간행물
Field notes on Kujarge, language metadata, 200-word list plus numerals and pronouns
[15]
저널
Proto-Cushitic Reconstruction
[16]
저널
Comparative phonology of the Maji languages
[17]
웹사이트
Tarifiyt Berber vocabulary
https://wold.clld.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4-05-26
[18]
서적
Proto-Semitic Lexicon
Walter de Gruyter
[19]
서적
Reconstructing Proto-Afroasiatic (Proto-Afrasian): vowels, tone, consonants, and vocabula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
웹사이트
The Afro-Asiatic Languages: Classification and Reference List
http://rogerblench.i[...]
[21]
저널
The Genetic Heritage of the Earliest Settlers Persists Both in Indian Tribal and Caste Populations
[22]
간행물
The Eurasian Heartland: A continental perspective on Y-chromosome diversity
[23]
저널
Separating the post-Glacial coancestry of European and Asian Y chromosomes within haplogroup R1a
[24]
저널
The Origins of Afroasiatic
[25]
저널
Human Y chromosome haplogroup R-V88: a paternal genetic record of early mid Holocene trans-Saharan connections and the spread of Chadic languages
[26]
웹사이트
The Afro-Asiatic Languages: Classification and Reference List
http://rogerblench.i[...]
[27]
간행물
Links between Cushitic, Omotic, Chadic and the position of Kujarge
[28]
저널
Human Y chromosome haplogroup R-V88: a paternal genetic record of early mid Holocene trans-Saharan connections and the spread of Chadic languages
http://www.nature.co[...]
[29]
웹사이트
The Nilo-Saharan background of Chadic
http://sal.research.[...]
2019-08-01
[30]
간행물
Linguistic evidence for the chronological stratification of populations South of Lake Cha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