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차드호 유역 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드호 유역 위원회(LCBC)는 차드호 유역 내 물 및 기타 천연 자원의 사용을 규제하고 통제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 기구이다. 1964년 카메룬, 니제르, 나이지리아, 차드 4개국이 창설했으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1996년)과 리비아(2008년)가 가입했다. 수단은 옵서버 자격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집트,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도 옵서버 자격을 갖는다. LCBC는 천연 자원 개발 프로젝트 및 연구를 시작, 촉진, 조정하며, 연간 예산은 회원국들이 분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드호 - 응귀그미
    응귀그미는 딜리아 보소 어귀에 위치한 과거 차드호 해안 지역으로, 건조한 기후를 띄며 월별 기후 정보와 최고·최저 기온 기록이 존재한다.
  • 차드호 - 샤리강
    샤리강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발원하여 차드를 거쳐 차드호로 흘러 들어가며, 차드호 유입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어업 지원, 민족 분포 경계 역할, 람사르 습지 포함 등 다양한 특징을 지닌 강이다.
  • 아프리카의 정치 - 아프리카 사회주의
    아프리카 사회주의는 1960년대 아프리카 독립국들이 자본주의를 거부하고 아프리카 중심의 경제 모델을 추구하며 사회주의 원칙을 아프리카 고유의 맥락에서 구현하려 한 이념으로, 줄리어스 니에레레, 콰메 은크루마,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등이 주도하여 대규모 공공 부문 주도의 사회 개발, 아프리카 정체성 강조, 무계급 사회의 보존 등을 추구했다.
  • 아프리카의 정치 - 아프리카 대륙 자유무역 지대
    아프리카 대륙 자유무역 지대는 아프리카 대륙 내 무역 증진과 경제 성장을 목표로 상품, 서비스, 투자의 자유로운 이동을 통해 경제적 기회 창출을 추구하지만, 노동 착취, 환경 파괴, 토지 수용과 같은 부정적인 인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인권 보호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 아프리카 연합 - 세이셸
    세이셸은 인도양 서부 마다가스카르 북동쪽에 있는 115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 공화국으로, 포르투갈에 의해 발견된 후 프랑스, 영국을 거쳐 독립했으며,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크레올 혼혈인들이 주로 거주하며 세 가지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아프리카 연합 - 레소토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인 내륙 국가로, 모슈슈 1세가 세운 왕국이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1966년 독립했으며, 현재는 입헌군주국으로 레체시 3세가 국가 원수, 샘 마테카네가 총리이다.
차드호 유역 위원회

2. 역사

Lake Chad Basin Commission영어는 1964년 5월 22일 카메룬, 니제르, 나이지리아, 차드 4개국이 포르 라미(현재 은자메나) 협정에 서명하여 창설되었다. 1996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이 가입하였고, 2008년 리비아가 가입하였다. 수단, 이집트,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은 옵서버 자격을 가지고 있다. 위원회의 목표는 유역 내의 물 및 기타 천연 자원의 사용을 규제하고 통제하며, 천연 자원 개발 프로젝트 및 연구를 시작, 촉진 및 조정하는 것이다.

3. 회원국 및 옵서버 국가

차드호 유역은 차드, 니제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나이지리아, 수단, 알제리, 리비아를 포함한다. 알제리는 아직 참여하지 않았지만, 향후 위원회에 관심을 가질 것이다. 옵서버 국가로는 나일강 유역의 이집트와 우방기 강의 영향을 받는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이 있다.

회원국들은 위원회의 연간 100만달러 예산을 나이지리아 52%, 카메룬 26%, 차드 11%, 니제르 7%,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4% 비율로 분담한다.[4][5]

3. 1. 회원국

카메룬, 니제르, 나이지리아, 차드는 1964년 5월 22일 차드호 유역 위원회를 창설하는 포르 라미(현재 은자메나) 협정에 서명했다.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은 1996년에, 리비아는 2008년에 가입했다.[3] 수단은 2000년 7월에 가입했지만, 창립 협정을 비준하지 않아 옵서버 자격을 유지하고 있다.

국가가입 연도
카메룬1964년
차드1964년
니제르1964년
나이지리아1964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1996년
리비아2008년


4. 활동

차드호 유역 위원회는 유역 내의 물 및 기타 천연 자원의 사용을 규제하고 통제하며, 천연 자원 개발 프로젝트 및 연구를 시작, 촉진 및 조정한다.[1] 회원국 간의 지역 활동을 조정하는 위원회 산하 전략 계획을 위한 유역 위원회(BCSP)를 운영한다.[1]

LCBC는 차드 분지의 수력 활성 지역, 즉 "관습 분지"를 관리한다.[1] LCBC 회원국의 일부 프로젝트는 GEF 프로그램과 연계되어 있다.[1] 2002년 11월, LCBC는 람사르 습지 협약 사무국과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1] 2000년 7월, 차드 호는 국제적으로 중요한 국경 간 람사르 사이트로 지정되었다.[1] 차드 습지 이니셔티브(CHADWET)는 람사르 지역 이니셔티브로 발표될 계획이었다.[1]

5. 재정

회원국들은 위원회의 연간 예산을 합의된 공식에 따라 분담한다. 분담 비율은 다음과 같다.[4][5]


참조

[1] 간행물 La commission du bassin du lac Tchad - Structure probante ou coquille vide ? 2007-03
[2] 기타 Afrikas internationale Flüsse und Seen. http://www.die-gdi.d[...]
[3] 웹사이트 The Lake Chad Basin Commission http://www.cblt.org/[...] 2014-03-30
[4] 웹사이트 The Lake Chad basin http://www.fao.org/3[...] 2020-05-28
[5] 웹사이트 HIGH-LEVEL CONFERENCE ON WATER FOR AGRICULTURE AND ENERGY IN AFRICA: THE CHALLENGES OF CLIMATE CHANGE http://www.fao.org/3[...] 2020-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