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보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찬보종은 기록에 따라 752년부터 768년까지 사용된 연호이다. 곽송년의 《대리행기》에는 찬보종이 신무왕 각라봉 13년 갑진년에 양저미성을 축조한 해로 기록되어 있으며, 《구당서》에는 토번이 각라봉을 찬보종으로 삼고 금인을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찬보종 연호 기간 동안 당나라에서는 천보, 지덕, 건원, 상원, 보응, 광덕, 영태, 대력 등의 연호가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찬보종 | |
---|---|
찬보종 | |
![]() | |
개요 | |
종류 | 범종 |
제작 시기 | 고려 시대 |
크기 | 높이 164cm, 입지름 99cm, 두께 6.5cm |
소장 | 국립춘천박물관 |
상세 정보 | |
특징 | 종의 어깨 부분에 덩굴무늬를 새겨 넣음. 종의 몸통에는 위아래로 덩굴무늬 띠를 두르고, 중앙에는 연꽃 위에 서 있는 보살 입상 2구와 용 2구를 배치함. 종의 맨 윗부분에는 소리를 내는 용통이 있고, 용통의 옆에는 음통이 달려 있음. |
평가 | 종의 형태와 문양이 매우 섬세하고 아름다움. 고려 시대 범종 연구에 중요한 자료임. |
참고 | 현재 국립춘천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음. 종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1077년(문종 31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음. 종을 만든 장인은 '양인(良人)'으로 기록되어 있음. |
2. 연호 기록
지덕 원년
건원 원년
상원 원년
광덕 원년
대력 원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