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참개구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개구리는 중국 동북부, 러시아 아무르강 계곡, 한반도,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개구리이다. 수컷은 약 62mm, 암컷은 약 74mm의 크기를 가지며, 회색, 올리브색, 녹색 등의 다양한 등 색을 띤다. 육식성이며 곤충, 거미 등을 먹고, 4~6월에 번식하며 알을 낳는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지정되었으며, 달마개구리 등 근연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개구리속 - 금개구리
    금개구리는 몸길이 약 6cm의 한국 고유종 개구리로, 밝은 녹색 등, 연한 갈색 융기선, 누런빛 띤 붉은색 배를 가지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참개구리속 - 유럽식용개구리
    유럽식용개구리는 유럽 중부와 동부 원산으로 식용을 위해 유럽 각지에 퍼졌으며 여러 물가에 서식하고 곤충류를 먹으며 늪개구리, 풀개구리의 잡종으로 L-E 시스템이라는 독특한 생식 방식으로 번식하는 클렙톤이다.
  • 러시아의 양서류 - 두꺼비
    두꺼비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 서식하며 흑갈색 무늬와 돌기, 독성 물질을 가진 큰 개구리로, 설화 속에서 인간을 돕는 존재로 나타나고 약재로도 사용된다.
  • 러시아의 양서류 - 무당개구리
    무당개구리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반수생 양서류로, 독성 물질을 분비하여 자신을 보호하며, 애완동물로 인기가 있지만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참개구리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참개구리
참개구리 (경상남도 진해시 진례면)
학명Pelophylax nigromaculata
명명자Hallowell, 1861년
이명Rana nigromaculata
한국어 명칭참개구리
영어 명칭검은점박이개구리, 어두운점박이개구리
중국어 명칭흑반측습와
러시아어 명칭체르노퍄트니스타야 랴구슈카, 키타이스카야 보댜나야 랴구슈카
참개구리 서식 영역
참개구리의 대략적인 서식 영역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양서강
개구리목
아목Neobatrachia
개구리과
아과Raninae
참개구리속 (Pelophylax)
참개구리
보존 상태
IUCN Red ListNT
참고IUCN

2. 분포

참개구리는 중국 동북부와 동부 대부분 지역, 러시아아무르강 계곡, 한반도 (울릉도 포함)[2], 홋카이도를 제외한 일본 대부분 지역에서 서식한다.[3] 또한 투르크메니스탄[3], 오아후, 사이판에 도입된 개체군이 있다.[4]

검은점개구리는 비교적 낮은 고도에서 서식하며, 해발 2200m 이상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사막과 관목지대에서 초원, 숲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식지에 분포하며, 정체되거나 천천히 흐르는 물 근처에서 주로 발견된다. 인간의 간섭에 비교적 관대한 편이지만, 사냥과 수질 오염으로 인해 점점 더 위협받고 있다.[1]

혼슈 ( 간토 평야에서 센다이 평야에 걸쳐 제외), 시코쿠, 규슈중국, 한반도, 러시아 연해주에 분포한다. 홋카이도 일부 ( 삿포로시, 에베츠시 등)에도 외래종으로 인위적으로 분포하고 있는데, 1993년에 처음 정착이 확인되었으며 학교 교재로 반입된 개체가 야생화된 것으로 생각된다.

2. 1. 한국 내 분포

참개구리는 중국 동북부와 동부 대부분 지역, 러시아 아무르강 계곡, 한반도 (울릉도 포함)[2], 홋카이도를 제외한 일본 대부분 지역에서 서식한다.[3] 한반도에서 참개구리는 흔한 종류의 개구리로 여겨져 수 세기 동안 식용으로 사냥되었으며, 현대에는 실험 동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3. 형태

수컷 성체의 몸길이는 주둥이에서 항문까지 약 62mm이며 암컷은 74mm이다. 암컷이 수컷보다 크며, 몸길이는 수컷이 38-81mm, 암컷이 63-94mm 정도이다.[3] 청개구리보다는 크지만, 황소개구리두꺼비에 비하면 절반 정도의 크기이다. 뒷다리가 길고 도약력이 강하다. 등면의 피부는 비교적 매끄럽다.

등쪽 색상은 회색, 회색빛 올리브색, 올리브색, 녹색 등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크고 어두운 반점, 밝은 등쪽 중앙선, 등쪽 측면 주름에 두 개의 선이 있다. 배는 흰색이다. 발가락에는 물갈퀴가 있다. 수컷은 쌍을 이루는 울음주머니와 첫 번째 손가락에 혼인 패드를 가지고 있다.[3]

체색은 수컷의 경우 등면이 갈색에서 녹색, 암컷은 회백색이다. 등선 위에 뚜렷한 흰색 또는 노란색 선이 있다. 등에 검은 반점이 있으며, 이 반점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종소명 ''nigromaculatus''는 "검은 반점이 있는"이라는 뜻이다. 번식기의 수컷은 반점이 불분명해지고, 전체적으로 노란색을 띤다.

4. 생태

참개구리는 중국 동북부와 동부 대부분 지역, 러시아의 아무르강 계곡, 한반도(울릉도 포함)[2], 홋카이도를 제외한 일본 대부분 지역에서 서식한다.[3] 한반도에서는 흔한 종류의 개구리로 여겨져 수 세기 동안 식용으로 사냥되었으며, 현대에는 실험 동물로도 사용된다. 투르크메니스탄[3], 오아후, 사이판에도 도입된 개체군이 있다.[4]

비교적 낮은 고도에서 서식하며, 해발 2200m 이상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사막과 관목지대에서 초원, 숲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식지에 분포하며, 정체되거나 천천히 흐르는 물 근처에서 주로 발견된다. 인간의 간섭에 비교적 잘 견디지만, 사냥과 수질 오염으로 인해 점점 더 위협받고 있다.[1]

4. 1. 생활사

수컷 성체는 주둥이에서 항문까지 약 62mm이며 암컷은 74mm이다. 등쪽은 회색, 회색빛 올리브색, 올리브색, 녹색 등 다양하다. 보통 크고 어두운 반점, 밝은 등쪽 중앙선, 등쪽 측면 주름에 두 개의 선이 있다. 배는 흰색이다. 발가락에는 물갈퀴가 있다. 수컷은 쌍을 이루는 울음주머니와 첫 번째 손가락에 혼인 패드를 가지고 있다.[3]

변태


짝짓기 철은 동면 직후에 시작된다. 성숙은 아마도 2세에 일어나며, 전체 수명은 13년에 달할 수 있다.[3] 알 덩어리는 1800~3000개[1] 또는 600~5000개[3]의 알을 낳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알은 얕은 물에 낳는다.[1]

평야부에서 낮은 산에 걸쳐 있는 연못, 수전 부근에 서식한다. 봄부터 가을까지 활동하며, 겨울에는 땅속에서 동면한다.

육식성이며, 주로 살아있는 곤충류, 거미 등을 먹지만, 탐욕스러워서 입에 들어가는 크기라면 소형 개구리, 등도 포식한다. 참개구리와 일본산 참개구리의 이빨과 입의 골격을 연결하는 결합 조직은 다른 개구리에 비해 튼튼하며, 개구리나 뱀마저 포식하는 식성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올챙이기를 제외하면) 천적에는 물장군 (수생곤충류)[8] 등 육식성 대형 수생곤충, 대형 파충류 (뱀이나 거북이), 조류 (왜가리나 할미새 등)가 있다. 또한, 유체가 자신보다 작은 왕줄나비에게 포식된 사례도 관찰되고 있다.[9]

동작은 육상・수중을 불문하고 매우 민첩하며, 보통의 인간이 도구 없이 포획하는 것은 어렵다. 논 등에서는 외적에서 도망치기 위해 재빨리 수중의 흙을 파서 몸을 숨긴다.

또한, 영역 의식이 매우 강해서, 같은 용기에서 기르는 경우 등에는 종종 동족 포식을 하는 경우가 있다.

번식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4~6월경이다. 이 시기가 되면 수컷은 논 등에 모여 밤에 양 볼에 있는 울음주머니를 풍선처럼 부풀려 수면에서 큰 소리로 운다. 이 울음소리는 암컷을 유인하는 동시에 다른 수컷에 대한 영역 선언의 의미도 있다. 울고 있는 수컷은 자신의 주위 1.6제곱미터 정도에 다른 수컷이 침입하면 격렬하게 울고, 더 접근하면 달려들어 쫓아낸다. 단, 영역은 번식기 동안의 일시적인 것이다. 암컷이 접근하면 수컷은 암컷의 등에 올라타 포접한다. 암컷은 포접한 채로 영역에서 이동하여, 이내 산란, 방정을 한다. 암컷은 한 번의 번식기에 1번만 산란한다. 이것은 같은 참개구리속에 속하며, 마찬가지로 논에서 생활하는 누마가엘과의 큰 차이점이다. 영역을 만드는 수컷이 있는 한편, 영역 주변에 위치하여 울음소리를 내지 않는 '''새틀라이트'''라고 불리는 수컷도 존재한다. 새틀라이트 수컷은 스스로 영역을 만들지 않고, 대신 영역 수컷의 울음소리에 이끌려 접근해 온 암컷을 기다리고 가로채어 번식을 성공시키려 한다. 이러한 잠입, 가로채기, 끼어들기형 번식 전략을 취하는 수컷의 존재는 영역을 만드는 양서류, 어류 등에서 알려져 있으며, '''스니커'''라고 불린다.

알 덩어리는 한 덩어리로 뭉쳐 있으며, 알의 수는 약 1800~3000개 정도이다. 부화한 올챙이는 물속의 부드러운 식물, 낙엽, 규조류, 동물의 사체 등을 먹고, 그해 가을까지 변태하여 육지로 올라온다. 따라서, 배수가 불량하여 중간 물빼기를 할 수 없거나, 또는 올챙이의 성장 도중에 논물을 빼도 논 주변의 도랑으로 피난할 수 있는 논이 아니면 생활환을 완료하기 어렵다. 충분히 성장한 올챙이는 등선이 확인 가능하다. 야외에서의 수명은 3~4년이다.

5. 인간과의 관계

한반도에서 참개구리는 흔한 종류의 개구리로 여겨져 수 세기 동안 식용으로 사냥되었으며, 현대에는 실험 동물로 사용되기도 한다.[2] 인간의 간섭에 비교적 관대한 편이지만, 사냥과 수질 오염으로 인해 점점 더 위협받고 있다.[1]

6. 보존

검은점개구리는 사람의 간섭에 비교적 잘 견디지만, 사냥과 수질 오염으로 인해 점점 더 위협받고 있다.[1]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2004년부터 검은점개구리를 레드 리스트의 취약종 (NT)으로 지정했다.[6]

일본 환경성도 검은점개구리를 레드 리스트의 취약종 (NT)으로 지정했다.[10]

7. 근연종

1930년대까지는 일본 전국에 참개구리가 분포한다고 생각되었다. 1941년에 서일본 일부 개체군이 참개구리가 아님을 알게 되었고(달마 종족이라고 불림), 그 후 관동 평야에서 센다이 평야에 걸쳐 분포하는 개구리 또한 참개구리가 아닌 또 다른 개구리(관동 중간 종족이라고 불림)임이 밝혀졌다. 이처럼 서로 매우 닮은 "참개구리 종군"으로 여겨진 개구리들은, 동일 지역에 분포하는 곳에서는 교잡 개체가 발견될 정도로 근연 관계에 있었으며, 분포가 겹치지 않는 경우에도 교잡 실험을 하면 어느 정도의 임신이 확인되었다. 이 때문에 동종인지 별종인지 분류에 혼란이 생겨, 1960년대에는 관동 중간 종족이 참개구리 종족과 달마 종족의 잡종이라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서 분자생물학적 방법 등을 사용한 연구가 진행된 결과, 잡종 기원설은 부정되는 추세이다. 금세기에도 어느 분류군에 이름을 붙일 것인지 등의 점에서 약간의 혼란이 남아있다.

또한, 과거에는 붉은배아무개비속(*Rana*)에 분류되었지만, 독립된 참개구리속(*Pelophylax*)으로 취급하는 것이 주류가 되었다.

일례로 현재 일본 파충류 양서류 학회가 권장하는 분류와 한국어 이름을 들 수 있다.


  • Pelophylaxla 참개구리속
  • * Pelophylax nigromaculatusla '''참개구리'''
  • * Pelophylax porosusla 달마개구리
  • ** Pelophylax porosus porosusla 도쿄달마개구리
  • ** Pelophylax porosus brevipodusla 나고야달마개구리

8. 기생충



참개구리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종 중 하나는 오팔리나의 일종인 ''Protoopalina pingi'' (직장)이다.[5]

참조

[1] 간행물 "''Pelophylax nigromaculatus''" 2021-11-20
[2] 웹사이트 Dark-spotted frog observations, Ulleung https://www.inatural[...] 2023-12-25
[3] 웹사이트 "''Pelophylax nigromaculatus''" http://amphibiaweb.o[...] 2012-11-10
[4] 웹사이트 Black-spotted Frog (''Pelophylax nigromaculatus'') - Species Profile http://nas.er.usgs.g[...] 2021-07-20
[5] 논문 Redescription of ''Protoopalina pingi'' Nie, 1935 inhabiting the recta of ''Hylarana guentheri'' and ''Pelophylax nigromaculatus'' in China 2014
[6] 웹사이트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3.1 (''Pelophylax nigromaculatus'') http://www.iucnredli[...] IUCN 2013-07-18
[7] 웹사이트 北海道ブルーリスト - 詳細内容 http://bluelist.ies.[...] 北海道 2019-04-09
[8] 서적 今、絶滅の恐れがある水辺の生き物たち タガメ・ゲンゴロウ・タニシ#マルタニシ・マルタニシ・トノサマガエル・ニホンイシガメ・メダカ 山と渓谷社 2007-06-05
[9] 논문 オオキベリアオゴミムシによるトノサマガエル幼体の捕食 Predation by a carabid beetle (Epomis nigricans) on a juvenile frog (Rana nigromaculata) 日本爬虫両棲類学会 2006-09-30
[10] 웹사이트 環境省第4次レッドリスト(9分類群・分類群順) http://www.biodic.go[...] 環境省 2013-07-18
[11] 웹인용 "''Pelophylax nigromaculatus'' (Hallowell, 1861)" http://research.amnh[...]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7-04-26
[12]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3] 서적 Земноводные бывшего СССР Товарищество научных изданий КМК 2012
[14] 서적 Пятиязычный словарь названий животных. Амфибии и рептилии. Латинский, русский, английский, немецкий, французский. Рус. яз. 1988
[15] 서적 Пятиязычный словарь названий животных. Амфибии и рептилии. Латинский, русский, английский, немецкий, французский. Рус. яз. 1988
[16] 간행물 "''Pelophylax nigromaculatus''" 2021-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