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원 FC는 2005년 창단된 대한민국의 축구 클럽으로, 2022년 K3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05년 창단 이후 내셔널리그에서 활동하며 2009년 후기 리그 우승, 2006년 전기 리그 준우승, 2015년 정규 리그 준우승을 기록했다. 2016년 박말봉 감독이 별세한 후, 2017년 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원시의 축구단 - 마산 합성 FC
마산 합성 FC는 [설립 연도]에 창단된 대한민국의 축구 클럽이다. - 창원시의 축구단 - 마산 중앙 FC
마산 중앙 FC는 2021년 창단되어 K5리그에 참가하는 축구 클럽으로, 마산 지역 축구 발전에 기여하며 2022년 K5리그 경상권역에서 4위를 기록했다. - 내셔널리그 구단 - 부산교통공사 축구단
부산교통공사 축구단은 2006년에 창단되어 내셔널리그에서 활동했으며, 전국체육대회 우승과 내셔널리그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고 K3리그에도 참가했다. - 내셔널리그 구단 - 수원 FC
수원 FC는 2003년 수원시청 축구단으로 창단되어 내셔널리그를 거쳐 K리그에 참가, K리그1에 승격과 강등을 반복하며 수원 더비 등 다양한 경기를 치르고, 2010년 내셔널리그 우승을 포함한 컵 대회 우승 경력을 보유한 수원시 연고의 프로축구단이다. - K3리그 구단 - 부산교통공사 축구단
부산교통공사 축구단은 2006년에 창단되어 내셔널리그에서 활동했으며, 전국체육대회 우승과 내셔널리그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고 K3리그에도 참가했다. - K3리그 구단 - 청주 FC
청주 FC는 2009년 창단되어 챌린저스리그에서 활동하다 청주 CITY FC와 통합, 현재 K리그2에서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대한민국의 축구단이다.
창원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창원 축구단 |
약칭 | 해당사항 없음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창단 | 2005년 |
홈구장 | 창원축구센터 |
수용 인원 | 15,071명 |
구단주 | 홍남표 |
감독 | 최경돈 |
리그 | K3리그 |
2023 시즌 | K3리그, 15개 팀 중 14위 |
웹사이트 | 해당사항 없음 |
유니폼 | |
홈 유니폼 | 상의: CC0033 하의: 000000 양말: 000000 |
원정 유니폼 | 상의: FFFFFF 하의: 0000FF 양말: FFFFFF |
2. 역사
창원 FC는 2005년 3월 10일 창단된 이후[1] 꾸준히 여러 대회에 참가하며 경험을 쌓았다.
2005년에는 제53회 대통령배 축구대회에서 공동 3위와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했고,[1] KB국민은행컵 K2리그에 참가하여 전기리그 9위, 후기리그 5위를 기록했다.[1] K2축구선수권대회와 하나은행FA컵 선수권 대회에도 출전했으며,[1] 제주 서귀포에서 1차 동계 전지훈련을 진행했다.[1]
2006년부터 2009년까지는 매년 선수단을 새로 구성하여 리그 및 대회에 참가했다. 2006년에는 제주 서귀포에서 2차 동계 전지훈련을,[2] 2008년에는 통영 일원에서 3차 동계 전지훈련을 가졌다.
2016년 11월 11일에는 박말봉 감독이 별세하였고, 2017년에는 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2. 1. 창단 초기 (2005년 ~ 2009년)
2005년 3월 10일, 박말봉 감독과 서동원, 김성환 코치, 그리고 25명의 선수로 구성된 28명의 선수단으로 창원시청 축구단이 창단되었다.[1] 창단 직후 참가한 제53회 대통령배 축구대회에서는 공동 3위와 함께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하였다.[1] 같은 해 4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된 2005년 KB국민은행컵 K2리그에서는 전기리그 9위, 후기리그 5위를 기록하였고,[1] K2리그 시상식에서 전현석 선수가 베스트일레븐 수비상을 수상했다.[1]2006년 1월에는 박말봉 감독, 서동원 코치, 김해국 트레이너, 그리고 27명의 선수로 구성된 2기 선수단이 출범하였다.[2] 2기 선수단은 2월에 열린 KFA 전국 풋살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심영재 선수가 최다 득점상을 수상했다.[2] 4월부터 11월까지 참가한 2006년 내셔널리그에서는 전기리그 준우승, 후기리그 10위를 기록했다.[2] 7월에 열린 2006년 내셔널 선수권대회에서는 우승과 함께 전현석 선수가 최우수선수, 이길용 선수가 득점상, 김경두 선수가 GK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다.[2] 그해 내셔널리그 시상식에서는 최명성 선수가 베스트일레븐상을 수상했다.[2]
2007년 1월, 박말봉 감독, 서동원, 김해국 코치, 그리고 27명의 선수로 구성된 3기 선수단이 출범하였다.[3] 2007년 내셔널리그에서는 전기리그 11위, 후기리그 6위를 기록했고,[3] 7월에 열린 내셔널리그선수권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3] 같은 해 내셔널리그 시상식에서 하재훈(DF), 이승태(MF) 선수가 베스트일레븐상을 수상했다.[3]
2008년 1월, 박말봉 감독, 서동원, 김해국 코치, 그리고 27명의 선수로 구성된 4기 선수단이 출범하였다. 2008년 내셔널리그에서는 전기리그 9위, 후기리그 8위를 기록했다. 한편, 5월부터 8월까지 열린 2008 하나은행 FA컵 대회에서는 제주 유나이티드를 1:0으로 꺾고 창단 후 처음으로 16강에 진출했다.
2009년 1월, 박말봉 감독, 김해국 코치, 그리고 28명의 선수로 구성된 5기 선수단이 출범하였다. 2009년 내셔널리그에서는 전기리그 4위, 후기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통합 랭킹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창단 초기 주요 대회 성적 (2005년 ~ 2009년)'''
대회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내셔널리그 | 전기 9위, 후기 5위 | 전기 준우승, 후기 10위 | 전기 11위, 후기 6위 | 전기 9위, 후기 8위 | 전기 4위, 후기 우승 |
FA컵 | 출전 | 출전 | 출전 | 16강 | |
대통령배 | 공동 3위, 페어플레이상 | 8강 | 8강 | 8강 | 3위 |
내셔널 선수권대회 | 출전 | 우승 | 3위 | 8강 | 8강 |
기타 | KFA 전국 풋살선수권 대회 준우승 | 전국비치사커 대회 3위 |
2. 2. 내셔널리그 시절 (2010년 ~ 2019년)
창원시청 축구단중국어은 2005년 3월 10일에 창단되었다.[1] 선수단은 감독 박말봉, 코치 서동원, 김성환, 선수 25명으로 총 28명이었다.[1] 창단 첫 해 제53회 대통령배 축구대회에서 공동 3위와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했다.[1] 2005년 KB국민은행컵 K2리그에 참가하여 전기리그 9위, 후기리그 5위를 기록했고,[1] 전현석(백넘버 7) 선수가 2005년 K2리그 시상식에서 베스트일레븐 수비상을 수상했다.[1]2006년에는 감독 박말봉, 코치 서동원, 트레이너 김해국, 선수 27명으로 총 30명의 2기 선수단이 출범했다.[2] 같은 해 KFA 전국 풋살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 심영재 선수가 최다 득점상을 받았다.[2] 2006년 내셔널리그에서는 전기리그 준우승, 후기리그 10위를 기록했고,[2] 2006년 내셔널 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며 최명성(백넘버 8번) 선수가 베스트일레븐상을 수상했다.[2] 전현석 선수는 최우수선수, 이길용 선수는 득점상, 김경두 선수는 GK상을 수상했다.[2]
2007년에는 감독 박말봉, 코치 서동원, 김해국, 선수 27명으로 총 30명의 3기 선수단이 출범했다.[3] 2007년 내셔널리그 전기리그 11위, 후기리그 6위를 기록했고,[3] 내셔널리그선수권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다.[3] 하재훈(DF), 이승태(MF, 25번) 선수가 베스트일레븐상을 수상했다.[3]
2008년에는 감독 박말봉, 코치 서동원, 김해국, 선수 27명으로 총 30명의 4기 선수단이 출범했다. 2008년 내셔널리그 전기리그 9위, 후기리그 8위를 기록했고, 2008년 전국비치사커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다. 2008년 하나은행 FA컵 대회에서는 제주 유나이티드를 1:0으로 꺾고 창단 후 처음으로 16강에 진출했다.
2009년에는 감독 박말봉, 코치 김해국, 선수 28명으로 총 30명의 5기 선수단이 출범했다. 2009년 내셔널리그에서 전기리그 4위, 후기리그 우승으로 통합 랭킹 2위를 차지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16년 11월 11일, 박말봉 감독이 별세했다. 2017년에는 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 3. K3리그 (2020년 ~ 현재)
2020년부터 창원 FC는 K3리그에 참가하고 있다.3. 역대 성적
창원 FC는 2005년 창단 이후 여러 대회에 참가하여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2005년 3월 10일 창단된 창원시청 축구단은[1] 그 해 제53회 대통령배 축구대회에서 공동 3위와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하며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다. 이후 KB국민은행컵 K2리그에 참가하여 전기리그 9위, 후기리그 5위의 성적을 기록했고,[1] K2리그 시상식에서 전현석 선수가 베스트일레븐 수비상을 수상했다.[1]
2006년에는 KFA 전국 풋살선수권 대회 준우승, 제54회 대통령배 축구대회 8강 진출,[1] 내셔널리그 전기리그 준우승, 후기리그 10위를 기록했다. 2006년 내셔널 선수권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1] 전현석(최우수선수상), 이길용(득점상), 김경두(GK상) 선수가 개인상을 휩쓸었고,[1] 내셔널리그 시상식에서는 최명성 선수가 베스트일레븐상을 수상했다.[1]
2007년에는 제55회 대통령배 축구대회 8강, 내셔널리그 전기리그 11위, 후기리그 6위, 내셔널리그선수권대회 3위를 기록했고,[1] 하재훈(DF), 이승태(MF) 선수가 베스트일레븐상을 수상했다.[1]
2008년에는 제56회 대통령배 축구대회 8강, 내셔널리그 전기리그 9위, 후기리그 8위, 내셔널선수권대회 8강, 전국비치사커 대회 3위를 기록했다.[1] 하나은행 FA컵 대회에서는 제주유나이티드를 1:0으로 꺾고 창단 후 처음으로 16강에 진출했다.[1]
2009년에는 제57회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3위, 내셔널리그 전기리그 4위, 후기리그 우승, 통합랭킹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1] 내셔널리그 선수권대회에서는 8강에 머물렀다.[1]
2016년 11월 11일, 박말봉 감독이 별세했다.[1]
2017년에는 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다.[1]
시즌 | 리그 | FA컵 | ACL | 기타 | |
---|---|---|---|---|---|
디비전 | 순위 | ||||
2005 | 2 | 전기: 9 | 32강 | - | - |
후기: 5 | |||||
2006 | 전기: 2 | 32강 | - | 리그컵: 우승 | |
후기: 10 | |||||
2007 | 전기: 11 | 26강 | - | 리그컵: 4강 | |
후기: 6 | |||||
2008 | 9 | 16강 | - | 리그컵: 8강 | |
2009 | 1 | 32강 | - | 리그컵: 조별리그 | |
P: 4강 | |||||
2010 | 전기: 6 | 32강 | - | 리그컵: 조별리그 | |
후기: 4 | |||||
2011 | 5 | 2R | - | 리그컵: 준우승 | |
P: PO | |||||
2012 | 4 | 32강 | - | 리그컵: 조별리그 | |
P: 6강 PO | |||||
2013 | 3 | 3 | 2R | - | 리그컵: 조별리그 |
P: 4강 PO | |||||
2014 | 6 | 32강 | - | 리그컵: 조별리그 | |
2015 | 2 | 32강 | - | 리그컵: 조별리그 | |
P: PO | |||||
2016 | 4 | 3R | - | 리그컵: 조별리그 | |
P: 준PO | |||||
2017 | 6 | 3R | - | 리그컵: 우승 | |
2018 | 6 | 3R | - | 리그컵: 조별리그 | |
2019 | 8 | 8강 | - | 리그컵: 조별리그 | |
2020 | 3 | 9 | 2R | - | - |
2021 | 1R | - | - |
- P: 리그 플레이오프(포스트시즌)
3. 1. 국내 대회
4. 선수단
2018년 1월 19일 기준으로, 선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하위 섹션인 '현재 선수 명단'에서 선수 명단을 표 형태로 자세히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 섹션에서는 선수단 구성에 대한 내용을 간략하게 언급하여 중복을 피했다.
4. 1. 현재 선수 명단 (2018년 기준)
2018년 1월 19일 기준 현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박지영 | 대한민국 |
3 | DF | 배현기 | 대한민국 |
4 | DF | 최영광 | 대한민국 |
5 | DF | 윤병권 | 대한민국 |
6 | DF | 황재현 | 대한민국 |
7 | MF | 김대광 | 대한민국 |
8 | MF | 임종욱 | 대한민국 |
9 | FW | 배해민 | 대한민국 |
10 | MF | 최권수 | 대한민국 |
11 | MF | 태현찬 | 대한민국 |
12 | MF | 서준영 | 대한민국 |
13 | MF | 박경익 | 대한민국 |
14 | MF | 강상민 | 대한민국 |
15 | DF | 정현학 | 대한민국 |
16 | MF | 나성수 | 대한민국 |
17 | MF | 최승현 | 대한민국 |
18 | DF | 손기련 | 대한민국 |
19 | FW | 박지민 | 대한민국 |
20 | DF | 조향기 | 대한민국 |
21 | GK | 김영기 | 대한민국 |
22 | MF | 조원석 | 대한민국 |
23 | MF | 공다휘 | 대한민국 |
24 | FW | 배창일 | 대한민국 |
25 | DF | 이재근 | 대한민국 |
27 | DF | 차준석 | 대한민국 |
28 | FW | 김상현 | 대한민국 |
29 | DF | 전진근 | 대한민국 |
88 | MF | 최명성 | 대한민국 |
5. 역대 감독
6. 엠블럼과 마스코트
창원 FC의 엠블럼은 민ㆍ관ㆍ노ㆍ사가 화합하여 미래를 열어가는 시민을 상징하며, 엠블럼에 사용된 적색은 역동적인 에너지, 녹색은 친환경도시, 노란색은 창원시민, 청색은 첨단산업단지를 의미한다. 이는 창원의 미래지향적인 모습을 표현한다. 축구공 무늬와 방패 모양을 기본으로 'FC'는 풋볼클럽을, '2005'는 창단 연도를 나타낸다.[1] 마스코트는 기술 발전을 상징하는 '창(昌)이'와 자연환경의 중요성을 의미하는 '원(原)이'로, 기술과 환경의 조화로운 공존을 추구하는 창원시를 상징한다.[1]
6. 1. 엠블럼
창원 FC의 엠블럼은 민ㆍ관ㆍ노ㆍ사가 서로 화합하여 미래를 열어가는 시민을 뜻하며, 첨단산업단지로 날개를 펼친 모습을 하고 있다. 엠블럼의 색상은 각각 다음과 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1]- 적색: 역동적인 에너지
- 녹색: 친환경도시
- 노란색: 창원시민
- 청색: 첨단산업단지
이러한 색상들은 창원의 미래를 향하여 거침없이 나아가는 도전정신과 역동적인 에너지를 지닌 젊은 도시 창원을 돋보이게 표현한다. 축구공 무늬와 방패 모양을 기본으로, 'FC'는 창원의 풋볼클럽을, 하단의 '2005'는 창원 FC의 창단 연도를 나타낸다.[1]
6. 2. 마스코트
테크노로지의 발전을 의미하는 창(昌)이와 자연환경이 생명의 근본임을 의미하는 원(原)이는 기술과 환경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창원시를 상징하는 마스코트로서 공을 안고 있는 멋진 포즈를 나타낸 것이다.참조
[1]
웹사이트
Changwon City Government FC
https://int.soccerwa[...]
Soccerway
2017-03-29
[2]
웹사이트
창원시청축구단, K3리그 첫 우승…승강팀도 윤곽
https://www.yna.co.k[...]
2022-10-29
[3]
웹사이트
K3리그 창원시청, 재단법인으로 새롭게 출범
https://www.dailyspo[...]
2023-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