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녀치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처녀치마는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잎이 치마를 닮아 처녀치마로 불리며, 일본어 쇼우죠우바카마(ショウジョウバカマ)를 번역한 것이라는 설, 강원도 정선에서는 '자화동방호마화'로 불린다는 설 등 이름에 대한 다양한 어원이 존재한다. 뿌리줄기는 짧고 잎은 꽃방석처럼 퍼지며, 1월에 꽃줄기가 나와 홍색에서 자록색으로 변하는 꽃이 피고, 삭과 열매를 맺는다. 이른 봄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심고, 습한 환경을 유지하며 씨앗이나 포기나누기로 번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기재된 식물 - 돌부추
- 2004년 기재된 식물 - 병풀아과
병풀아과는 미나리과에 속하며, 여러 속을 포함하고, 특히 병풀속은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약용 및 화장품 소재로 활용된다. - 여로과 - 실꽃풀속
실꽃풀속은 북아메리카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햇빛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자라는 식물 속으로, 뿌리줄기는 약재로 사용되며 다양한 생리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의학 연구에서 주목받고 있다. - 여로과 - 삿갓나물
삿갓나물은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삿갓 모양의 잎이 특징이며 독성이 있지만 약재로 사용되고 항암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광엽초본 - 인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뿌리가 사람의 모습을 닮아 이름 붙여졌고, 강장, 강심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광엽초본 - 단삼
단삼은 붉은 뿌리, 특유의 냄새, 쓴맛이 특징인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전통 의학에서 심혈관 질환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으나, 현대 의학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처녀치마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군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외떡잎식물군 |
목 | 백합목 |
과 | 여로과 |
속 | 처녀치마속 |
종 | 처녀치마 |
학명 | Heloniopsis koreana |
학명 명명자 | Fuse , N.S.Lee & M.N.Tamura (2004) |
2. 분포
한국·일본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처녀치마는 치맛자락풀, 치마풀이라고도 불리며, 강원특별자치도 정선에서는 ‘자화동방호마화’라고 부른다.[1]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는데, 꽃이 활짝 피었을 때의 모양이 처녀들이 입는 화려한 치마를 닮았다는 설과 일본에서 잎이 땅에 펼쳐진 모양이 일본 전통치마와 닮아서 ‘ショウジョウバカマ’라고 한 것을 그대로 번역했다는 설 등이 있다.[2]
3. 이름
3. 1. 어원에 대한 다양한 견해
치맛자락풀, 치마풀이라고도 부르며 강원특별자치도 정선에서는 ‘자화동방호마화’라고 부른다.[1] 꽃이 활짝 피었을 때의 모양이 마치 처녀들이 입는 화려한 치마를 닮아서 ‘처녀치마’라고 이름이 붙여졌다는 견해가 있다. 일본에서 잎이 땅에 펼쳐진 모양이 일본 전통치마와 닮아서 ‘ショウジョウバカマ’라고 한 것을 그대로 번역하여 ‘처녀치마’라 부르게 되었다는 의견도 있다.[2] 일본명 ‘猩々袴’는 ‘성성이치마’라는 뜻인데, 성성이의 발음 ‘쇼우죠우ショウジ’에서 마지막 ‘우’를 빼면 ‘소녀’의 뜻을 가진 ‘쇼우죠ショウ’가 된다. 그것을 번역하여 ‘처녀치마’라고 이름 붙였다는 것이다. 이렇듯 성성이에서 소녀로 또, 처녀로 바뀐 것이 일제강점기에 이름을 붙이면서 생긴 촌극이라는 의견도 있다.[3]
그러나 성성이의 옛 표기인 샤우쟈우는 처녀를 뜻하는 일본어 쇼죠와 발음상 차이가 있고, 처녀치마라는 이름을 최초로 기록한 《조선식물향명집》의 저자들은 일본어에 능통했으므로 그러한 오해를 했다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는 주장이 있다. 처녀치마의 '처녀'는 일본어와 관련이 없고, 《조선식물향명집》에 기록된 ‘처녀이끼’, ‘처녀고사리’ 및 ‘처녀바디’와 마찬가지로 당시 조선인이 사용하던 일상 언어를 표현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4]
3. 2. '처녀'의 어원과 관련된 논란
치맛자락풀, 치마풀이라고도 부르며 강원특별자치도 정선에서는 ‘자화동방호마화’라고 부른다.[1] 꽃이 활짝 피었을 때의 모양이 마치 처녀들이 입는 화려한 치마를 닮아서 ‘처녀치마’라고 이름이 붙여졌다는 견해도 있고, 일본에서 잎이 땅에 펼쳐진 모양이 일본 전통치마와 닮아서 ‘ショウジョウバカマ|쇼죠바카마일본어’라고 한 것을 그대로 번역하여 ‘처녀치마’라 부르게 되었다는 의견도 있다.[2] 일본명 ‘猩々袴|성성이치마일본어’는 ‘성성이치마’라는 뜻인데, 성성이의 발음 ‘ショウジョウ|쇼죠일본어’에서 마지막 ‘우’를 빼면 ‘소녀’의 뜻을 가진 ‘ショウジョ|쇼일본어’가 된다. 그것을 번역하여 ‘처녀치마’라고 이름 붙이고, 이렇듯 성성이에서 소녀로 또, 처녀로 바뀐 것이 일제강점기에 이름을 붙이면서 생긴 촌극이라는 의견도 있다.[3] 그러나, 성성이의 옛 표기인 シャウ쟈ウ|샤우쟈우일본어는 처녀를 뜻하는 일본어 ショウジョ|쇼죠일본어와 발음상 차이가 있고, 처녀치마라는 이름을 최초로 기록한 《조선식물향명집》의 저자들은 일본어에 능통했으므로 그러한 오해를 했다는 것은 설득력이 없으며, 처녀치마의 '처녀'는 일본어와 관련이 없고, 《조선식물향명집》에 기록된 ‘처녀이끼’, ‘처녀고사리’ 및 ‘처녀바디’와 마찬가지로 당시 조선인이 사용하던 일상 언어를 표현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4]
4. 특징
뿌리줄기는 짧고 곧다. 잎은 무더기로 나와서 꽃방석같이 퍼지고 도피침형이며 녹색으로 윤기가 있다. 꽃줄기는 1월에 잎 중앙에서 나온다.[5] 꽃은 연한 홍색에서 자록색으로 변하며, 삭과는 꽃덮이조각으로 싸여 있고 3개의 능선이 있으며 포 사이로 터진다.[5]
4. 1. 잎
뿌리줄기는 짧고 곧다. 잎은 무더기로 나와서 꽃방석같이 퍼지고 도피침형이며 녹색으로 윤기가 있다. 꽃줄기는 1월에 잎 중앙에서 나온다.[5]4. 2. 꽃
뿌리줄기는 짧고 곧다. 잎은 무더기로 나와서 꽃방석같이 퍼지고 도피침형이며 녹색으로 윤기가 있다. 꽃줄기는 1월에 잎 중앙에서 나오고 길이 10cm-15cm이지만 꽃이 진 후에는 60cm 내외로 자라고 3-10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5] 꽃은 지름 2cm 내외이고 연한 홍색에서 자록색으로 변하며, 열매가 성숙할 때까지 남아 있다. 꽃받침 갈래조각과 수술은 6개이다. 삭과는 꽃덮이조각으로 싸여 있고 3개의 능선이 있으며 포 사이로 터진다.[5]4. 3. 열매
열매는 삭과이며 꽃덮이조각으로 싸여 있다. 3개의 능선이 있고 포 사이로 터진다.[5]5. 재배 및 관리
처녀치마는 씨뿌리기와 포기나누기로 번식한다. 씨뿌리기는 봄에, 포기나누기는 가을에 한다.[6]
5. 1. 생육 환경
이른 봄 볕이 잘 드는 곳에 심는다. 부엽토가 많고 비옥하면서 습기가 유지되는 곳이 좋으므로 낙엽수 아래 심으면 좋다. 양지식물이지만 반그늘에서도 잘 자라고, 여름에 더운 것을 싫어하며, 겨울에 노지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다. 건조에 약하므로 물을 충분히 주어 습기가 늘 유지되어야 하지만, 과습한 것은 싫어하므로 배수가 잘 되도록 한다. 씨뿌리기와 포기나누기로 번식한다. 파종은 봄에, 포기나누기는 가을에 한다.[6]5. 2. 번식
처녀치마는 씨뿌리기와 포기나누기로 번식한다. 씨뿌리기는 봄에, 포기나누기는 가을에 한다.[6] 이른 봄 볕이 잘 드는 곳에 심는다. 부엽토가 많고 비옥하면서 습기가 유지되는 곳이 좋으므로 낙엽수 아래 심으면 좋다. 양지식물이지만 반그늘에서도 잘 자라고, 여름에 더운 것을 싫어하며, 겨울에 노지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다. 건조에 약하므로 물을 충분히 주어 습기가 늘 유지되어야 하지만, 과습한 것은 싫어하므로 배수가 잘 되도록 한다.[6]참조
[1]
웹인용
도감 - 처녀치마
http://www.koreaplan[...]
한국식물연구회
2010-12-01
[2]
웹인용
[풀꽃이름] 처녀치마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0-12-01
[3]
서적
꽃 윤후명의 식물 이야기
문학동네
2010-03-03
[4]
서적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심플라이프
2022-09-17
[5]
간행물
식물의 계통과 분류 - 처녀치마
[6]
서적
세밀화로보는한국의야생화
김영사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