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규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규덕은 1955년 씨름 선수로 시작하여 1961년 은퇴 후 프로레슬러로 전향했다. 1963년 프로레슬링에 데뷔하여 서울에서 단체를 설립, 장영철과 대항전을 벌이며 한국 프로레슬링 발전에 기여했다. 이후 김일에게 흡수되어 장영철과 팀을 이루어 한국 태그팀 챔피언이 되었고, 1966년 미국 원정을 다녀오기도 했다. 한국 주니어 헤비급, 헤비급 챔피언을, 장영철과 함께 한국 태그팀 챔피언, 우기환과 함께 극동 태그팀 챔피언을 지냈다. 2020년 88세의 나이로 별세했으며, 배우 천호진이 그의 장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남자 프로레슬러 - 이왕표
'박치기왕' 김일의 제자였던 프로레슬링 선수 이왕표는 1975년 데뷔하여 WWA 헤비급 챔피언을 지냈고 격기도 창시, 영화 감수 등 다양한 활동을 하다 담낭암으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남자 프로레슬러 - 김일 (프로레슬링 선수)
김일은 씨름 선수 출신으로 역도산의 제자가 되어 프로레슬링 선수로 데뷔, "원자폭탄 박치기"로 WWA 세계 헤비급 챔피언을 차지하며 한국 프로레슬링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은퇴 후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의 업적을 기려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 대한민국의 씨름 선수 - 이정재 (1917년)
이정재는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 이후까지 활동한 폭력배이자 정치 깡패로, 경찰 출신으로 동대문 상인 연합회 회장을 역임하며 자유당과의 유착을 통해 정치 테러에 가담했으나,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을 거치며 사형당해 권력과 배신의 삶을 마감했다. - 대한민국의 씨름 선수 - 이봉걸
이봉걸은 경상북도 안동 출신으로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씨름계를 대표하는 선수로 활약한 씨름 선수이자 현재 에너라이프 타이거즈 씨름단 감독이며, 은퇴 후 씨름 발전 기여, 사회 활동 참여, 배우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프로레슬링 임원 - 더스티 로즈
더스티 로즈는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링네임으로 유명한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트레이너, 부커로,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을 3회 지냈으며 은퇴 후 WWE에서 프로듀서와 각본가로 활동하며 2007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프로레슬링 임원 - 미사와 미쓰하루
1981년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 데뷔하여 2대 타이거 마스크로 활동한 미사와 미쓰하루는 1990년부터 본명으로 챔피언에 오르고 프로레슬링 노아를 설립하여 초대 GHC 헤비급 챔피언에 오르는 등 활약했으나 2009년 경기 중 사고로 사망한 일본의 프로레슬러이다.
천규덕 | |
---|---|
기본 정보 | |
이름 | 천규덕 |
한자 표기 | 千圭德 |
출생일 | 1932년 0월 0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부산 |
사망일 | 2020년 6월 2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구 나은병원 |
신장 | 180 |
체중 | 110 |
직업 | 프로레슬러, 씨름 선수 |
활동 기간 | 1955년 ~ 1985년 |
데뷔일 | 1961년 |
소속 | 한국프로레슬링연맹 명예고문 |
트레이너 | 역도산 |
가족 관계 | |
자녀 | 슬하 2남 |
2. 경력
천규덕은 1955년 씨름 선수로 처음 입문하였고, 1961년에 은퇴한 후 프로레슬러로 전향하였다.[1] 태권도 유단자로, 180cm, 113kg의 체격 조건을 갖추었다.[1] 1963년 프로레슬링에 데뷔하여 1984년에 은퇴하였다.[1]
이후 선수 경력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선수 경력"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주요 이력은 다음과 같다.
- 1955년: 씨름 선수 첫 입문.[1]
- 1961년: 씨름 선수 은퇴, 프로레슬러 전향.[1]
- 1963년: 프로레슬링 데뷔.[1]
- 1984년: 프로레슬러 은퇴.[1]
- 2002년: 신한국프로레슬링협회 원로고문[1]
- 2006년: 한국프로레슬링연맹 명예고문[1]
- 2009년: 한국청소년문화재단 자문위원[1]
- 2020년: 88세의 나이로 타계.[1]
수상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수상 내역 |
---|---|
1963년 | 한국 주니어 헤비급 챔피언[8] |
1965년 | 한국 태그팀 챔피언 (장영철과 함께)[9] |
1966년 | 한국 헤비급 챔피언[8] |
1971년 | 극동 태그팀 챔피언 (우기환과 함께)[8] [5] |
기타 | 한국 주니어 헤비급 왕좌 1회[5], 한국 태그 왕좌 1회 (장영철과 함께)[6], 한국 헤비급 왕좌 1회[5] |
2. 1. 선수 경력
1955년 씨름 선수로 첫 입문하였고, 1961년에 은퇴한 후 프로레슬러로 전향하였다.[1] 태권도 유단자로, 180cm, 113kg의 체격 조건을 갖추었다. 1963년 프로레슬링에 데뷔하여 1984년에 은퇴하였다.[1]서울에서 단체를 설립하여 장영철 일파와 대항전을 벌이며 한국 프로레슬링의 초기 발전에 기여했다. 이후 김일에게 흡수된 후, 장영철과 팀을 이루어 한국 태그 챔피언이 되었다. 1966년에는 미국 원정을 다녀오기도 했다.[3] 1973년 9월 김일의 휘하에서 이탈했는데, 이는 미국 원정 중 일본인 캐릭터를 연기하라는 지시에 불만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한다.[4]
2. 2. 주요 이력
- 1955년 씨름 선수 첫 입문.[1]
- 1961년 씨름 선수 은퇴 이후 프로레슬러 전향.[1]
- 1963년 프로레슬링 데뷔.[1]
- 서울에서 프로레슬링 단체를 설립하여 장영철 일파와 대항전을 벌이며 한국 프로레슬링의 초기 발전에 기여했다. 이후 김일에게 흡수된 후, 장영철과 팀을 이루어 한국 태그 챔피언이 되었다. 1966년에는 미국 원정을 다녀오기도 했다.[3]
- 1973년 9월 김일의 휘하에서 이탈했다. 이탈 이유는 미국 원정 중 일본인 캐릭터를 연기하라는 지시에 불만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한다.[4]
- 1984년 프로레슬러 은퇴.[1]
- 2002년 신한국프로레슬링협회 원로고문[1]
- 2006년 한국프로레슬링연맹 명예고문[1]
- 2009년 한국청소년문화재단 자문위원[1]
- 2020년 88세의 나이로 타계했다.[1]
- 태권도 유단자. 180cm, 113kg.[1]
2. 3.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
1963년 | 한국 주니어 헤비급 챔피언[8] |
1965년 | 한국 태그팀 챔피언 (장영철과 함께)[9] |
1966년 | 한국 헤비급 챔피언[8] |
1971년 | 극동 태그팀 챔피언 (우기환과 함께)[8] [5] |
기타 | 한국 주니어 헤비급 왕좌 1회[5], 한국 태그 왕좌 1회 (장영철과 함께)[6], 한국 헤비급 왕좌 1회[5] |
손날치기
[1]
웹사이트
‘당수 귀신’ 프로레슬러 천규덕씨 별세
https://www.hani.co.[...]
2020-06-02
3. 특기
4. 가족 관계
관계 이름 출생 장남 천호진 1960년 9월 9일 차남 천수진 1965년
참조
[2]
웹사이트
(9)영양천씨
https://www.joongang[...]
1982-03-11
[3]
서적
THE WRESTLER BEST 1000
日本スポーツ出版社
1996-04-24
[4]
서적
キム・イル大木金太郎伝説
河出書房新社
2013-08-20
[5]
뉴스
KBS TV자서전 '프로레슬링의 전설 천규덕'
https://www.yna.co.k[...]
2012-03-10
[6]
웹사이트
Korean Tag Team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7]
뉴스
프로레슬링 마지막회 金一對(김일대) 타이거마스크
https://newslibrary.[...]
1971-12-17
[8]
뉴스
KBS TV자서전 '프로레슬링의 전설 천규덕'
https://www.yna.co.k[...]
2012-03-10
[9]
웹인용
Korean Tag Team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