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상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상도는 불교에서 6도 중 아수라도, 인간도와 함께 3선도 또는 3선취로 불리며 가장 좋은 세계를 의미한다. 현생에서 5계, 10선, 보시 등의 선한 업을 쌓은 이가 내생에 태어나는 세계로, 용수의 《대지도론》에서는 세간의 선에 따라 천상도, 인간도, 아수라도의 과보가 있다고 설명한다. 천상계는 욕계의 6욕천, 색계의 17천(또는 16천 또는 18천), 무색계의 4무색천을 포함하며, 초기 불교에서는 열반을 목표로 하는 수행과 함께 재가 신도의 생천을 위한 가르침이 강조되었다. 선정 수행을 통해 천상계를 왕래할 수 있으며, 색계의 4선천과 무색계의 4무색천은 8정 또는 4선8정으로 불린다. 3계9지는 선정, 번뇌, 업 등을 논할 때 사용되는 체계이며, 한국 불교에서의 천상도는 역사적, 현대적 관점과 비판적 관점에서 논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도 - 축생도
    축생도는 불교에서 인간에게 길러지는 생류를 의미하며, 과거 업에 의해 초래된 이숙생의 과보로, 중생이 받는 다섯 또는 여섯 갈래의 삶의 형태 중 하나이다.
  • 육도 - 아귀도
    아귀는 불교에서 육도 중 아귀도에 속하며, 몸은 거대하나 입이 작아 끊임없이 굶주림과 갈증에 시달리는 귀신을 의미한다.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천상도
개요
천상도 그림
천상도 그림
다른 이름윤회도
산스크리트어bhavacakra (바바차크라)
티베트어srid pa'i 'khor lo
의미존재의 수레바퀴, 삶의 수레바퀴
설명불교에서 윤회의 과정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그림
구성 요소
중심세 가지 독 (탐욕, 분노, 무지)
비둘기 (탐욕)
뱀 (분노)
돼지 (무지)
두 번째 원선업을 쌓는 자 (밝은 부분)
악업을 쌓는 자 (어두운 부분)
세 번째 원육도윤회
네 번째 원 (가장 바깥쪽)12연기
야마 (죽음의 신)
달마
육도
천상도신들이 사는 세계
쾌락과 기쁨이 가득한 곳
오만과 방일로 인해 고통을 받을 수 있음
아수라도아수라들이 사는 세계
투쟁과 시기가 끊이지 않는 곳
분노와 집착으로 인해 고통을 받을 수 있음
인간도인간들이 사는 세계
고통과 즐거움이 공존하는 곳
탄생, 노화, 병, 죽음의 고통을 겪음
불법을 배우고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곳
축생도동물들이 사는 세계
무지와 본능에 따라 살아감
약육강식의 고통을 겪음
아귀도아귀들이 사는 세계
굶주림과 갈증에 시달리는 곳
탐욕과 인색함으로 인해 고통을 받음
지옥도지옥에 떨어진 중생들이 고통받는 세계
고문과 형벌이 끊이지 않는 곳
분노, 증오, 악행으로 인해 고통을 받음
12연기
무명(無明, avidyā)진리에 대한 무지
행(行, saṃskāra)무지에 의해 형성된 업
식(識, vijñāna)업에 따른 의식
명색(名色, nāmarūpa)정신과 물질
육입(六入, ṣaḍāyatana)여섯 감각 기관 (눈, 귀, 코, 혀, 몸, 의식)
촉(觸, sparśa)감각 기관과 대상의 접촉
수(受, vedanā)접촉으로 인한 느낌 (고통, 쾌락, 중립)
애(愛, tṛṣṇā)느낌에 대한 갈애
취(取, upādāna)갈애에 대한 집착
유(有, bhava)집착으로 인한 존재 형성
생(生, jāti)새로운 존재의 탄생
노사(老死, jarāmaraṇa)늙음과 죽음

2. 3선도와의 관계

6도 가운데 아수라도, 인간도, 천상도의 3가지는 앞의 3가지, 즉 지옥도, 아귀도, 축생도에 비해 좋은 곳이라는 뜻에서 3선도(三善道) 또는 3선취(三善趣)라고도 불린다. 천상도는 이들 3선도 또는 3선취 중에서도 가장 최고의 선도(善道) 또는 선취(善趣), 즉 가장 좋은 세계 또는 착한 세계 또는 다복한 세계이다.

천상도는 현생에서 5계(五戒), 10선(十善), 보시(布施) 등의 선한 을 많이 쌓았을 때, 즉 세간의 선법[世間善法]을 충실히 실행했을 때 내생에서 태어나는 세계 또는 의식 상태 또는 존재 상태로, 많은 (福)을 누리며 사는 존재 상태이다.[1]

이와 관련하여 대승불교의 주요 인물인 용수는 《대지도론》 제30권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2]

3. 3계와의 관계

6도 중 아수라도, 인간도, 천상도의 3가지는 앞의 3가지, 즉 지옥도, 아귀도, 축생도에 비해 좋은 곳이라는 뜻에서 3선도(三善道) 또는 3선취(三善趣)라고도 한다. 천상도는 이들 3선도 또는 3선취 중에서도 가장 최고의 선도(善道) 또는 선취(善趣), 즉 가장 좋은 세계 또는 착한 세계 또는 다복한 세계이다.[1] 달리 말하면, 천상도는 현생에서 5계(五戒), 10선(十善), 보시(布施) 등의 선한 을 많이 쌓았을 때, 즉 세간의 선법[世間善法]을 충실히 실행했을 때 내생에서 태어나는 세계 또는 의식 상태 또는 존재 상태로, 많은 (福)을 누리며 사는 존재 상태이다.[2]

이와 관련하여 대승불교의 주요 인물인 용수는 《대지도론》 제30권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용수는 이 인용문에서 출세간의 선법으로 37도품을 언급하고 있는데, 출세간의 선법에는 4성제(四聖諦), 3학(三學), 5온설(五蘊說), 12연기설(十二緣起說), 8정도(八正道), 37도품(三十七道品), 6바라밀(六波羅蜜)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엄밀히 수행법만을 말하자면, 8정도는 37도품의 7번째 그룹에 해당하고, 6바라밀은 초기불교의 37도품이 대승불교에 의해 종합되어 새로운 형태로 제출된 것이므로, 출세간의 선법이란 37도품을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3계(三界)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천상도 또는 천상계는 욕계의 천상세계인 6욕천(六欲天) 즉 욕계의 여섯 천(天: 하늘)들과, 욕계의 천상세계보다 더 뛰어난 천상세계들인 색계의 17천(또는 16천 또는 18천) 전부와, 색계보다 더 뛰어난 천상세계인 무색계의 4무색천(四無色天) 전부로 이루어져 있다. 즉, 천상도는 욕계부터 무색계까지 3계 전체에 걸쳐 있다.

초기불교 시대에는 교법이 열반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출가자의 경우 열반증득이라는 출세간의 목표와 이에 따른 실천 수행법으로 37도품이 주로 설해졌고 재가신도들의 경우 천상도 또는 천상계에 태어나는 것 즉 '''생천'''(生天: 후대 불교의 극락왕생과 사실상 같은 말)을 위주로 하였다. 이에 따라 5계·10선 등의 과 선행을 행함으로써 생천할 수 있다는 가르침이 널리 설법되었다. 한편, 이러한 생천(生天)의 사상은 불교만의 것은 아니었으며 윤회사상과 더불어 당시 고대 인도 종교의 보편적인 사상이었다.

예를 들어, 힌두교의 정통 6파철학 중의 하나인 미맘사 학파에 따르면, 《베다》에 규정되어 있는 특정한 제사(祭祀: 힌두교의 입장에서는 단순한 제사가 아닌 기도와 진언과 집중 등이 수반된 특정한 수행법 또는 수행체계의 실천이라고 할 수 있음, 말하자면 가톨릭의 미사나 개신교의 예배, 불교의 공양 또는 예불 또는 염불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음)를 실행하면 그 실행자에게 일종의 여력이 남아 그것이 나중에 과보를 가져온다. 이때의 여력을 신득력(新得力: 새로이 얻은 힘)이라 하는데, 미맘사 학파에서는 이 신득력의 총합이 바르고 착하면 다음 생에서 생천(生天: 천계에 태어남) 등의 번영(繁榮, abhyudaya)의 과보를 얻어 복락을 향수한다는 교의를 가르쳤다. 생천(生天)에 대한 사상이 있었다는 것에는 미맘사 학파불교간에 서로 일치하는 사항이지만, 미맘사 학파가 《베다》에 따른 제사의 실행을 통해 축적된 신득력(新得力: 새로이 얻은 힘, 즉 충분히 축적된 경우 이전의 업을 바꿀 수 있는 새로운 힘)에 의해 생천(生天)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반면, 불교에서는 5계·10선·보시 등의 세간의 선법[世間善法]을 행함으로써 축적된 선업(善業: 선한 카르마, 즉 선한 잠재력 또는 형성력)에 의해 생천(生天)할 수 있다고 주장한 것은 서로 간의 차이점이다.

4. 선정과의 관계

선정(禪定: 禪 또는 靜慮 또는 等至라고도 한다.) 수행을 통해 천상계를 왕래할 수 있다.[1]

색계의 17천(또는 16천 또는 18천)은 크게 4가지 천(天: 하늘)으로 나뉘는데, 이것을 4선천(四禪天) 또는 4정려천(四靜慮天) 또는 색계 4천(色界四天)이라고 하며, 선정 수행의 관점에서 간단히 '''4선'''(四禪) 또는 4선정(四禪定) 또는 4정려(四靜慮)라고도 한다.[2] 무색계의 4무색천은 선정 수행의 관점에서 '''4무색정'''(四無色定) 또는 4공정(四空定)이라고도 한다.

색계의 4선정과 무색계의 4무색정을 통칭하여 8정(八定) 또는 8등지(八等至)라고 하며, 8정에 색계의 4선이 포함되지만 색계의 4선을 특히 부각시켜 '''4선8정'''(四禪八定)이라고도 한다.

8정(八定) 또는 8등지(八等至)에 욕계 전체를 합하여 9지(九地)라고 하는데, 이것은 곧 3계를 9가지의 (地)로 나눈 것이므로 9지(九地)라고 따로 칭하기도 하지만 '''3계9지'''(三界九地)라고도 흔히 칭한다. 3계9지는 선정 수행 '''·''' 번뇌 '''·''' 등을 논할 때 거의 항상 관련하여 사용되는 체계로, 부파불교아비달마 교학과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서 자주 등장한다.

5. 한국 불교와 천상도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다시 요청해주세요.)

참조

[1] 두산백과 왕생(往生) https://terms.naver.[...] 2012-11-17
[2] 백과사전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정통바라문 계통의 철학체계 > 미맘사 학파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