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세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세광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 한국 기독교계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1926년 6·10 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투옥되었고, 이후 일본 동경성결교회 주임목사로 파송되었으나 항일운동 경력으로 인해 귀국했다. 신사참배 거부와 성결교회 교역자 일제 검속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었으며, 광복 후에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 교단 재건에 기여했다. 또한, 십자군 전도대 활동을 통해 여러 지역에 교회를 개척했으며, 서울신학대학교 재건에도 헌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성결교 - 나사렛대학교
1954년 설립된 나사렛대학교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신학 및 재활 분야에 특화된 교육을 제공하며 미국 나사렛교회와 협력하는 충청남도 천안시 소재 사립대학교이다. - 대한민국의 성결교 - 서울신학대학교
서울신학대학교는 1911년 경성성서학원으로 설립되어 서울신학교, 서울신학대학을 거쳐 1992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신학과 등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성결교도 - 정청래
정청래는 1965년생으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17·19·21·22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더불어민주당 수석최고위원을 역임했으며, 22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 대한민국의 성결교도 - 이왕표
'박치기왕' 김일의 제자였던 프로레슬링 선수 이왕표는 1975년 데뷔하여 WWA 헤비급 챔피언을 지냈고 격기도 창시, 영화 감수 등 다양한 활동을 하다 담낭암으로 사망했다. - 대한제국 사람 - 김상돈
김상돈은 일제 강점기 언론인 출신으로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부위원장, 민주당 창당 참여, 민의원의원, 최초의 민선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 시절에는 미국으로 망명하여 반독재 운동을 전개한 정치인이다. - 대한제국 사람 - 이범승
이범승은 충청남도 연기군 출신으로 일본 유학 후 교토 제국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일제강점기에는 도서관 설립 운동을 펼쳤으며 해방 후 서울시장을 역임하고 국회의원과 참의원을 지냈으나, 2002년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천세광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40년 |
사망 | 2022년 11월 1일 |
직업 | 목사 |
종교 | 개신교 |
학력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
경력 | 한국기독교총연합회 공동회장 서울 강남 충현교회 담임목사 |
2. 생애 및 약력
천세광 목사는 1904년 경북 군위군에서 태어나 경서성서학원을 졸업하고 목회자의 길을 걸었다.[2][10] 6·10 만세운동과 신사참배 거부 등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었으나, 해방 후에는 전국 각지를 돌며 복음을 전파하고 교회를 개척하는 데 힘썼다. 1964년, 60세를 일기로 소천하였다.[19]
연도 | 내용 |
---|---|
1904년 3월 7일 | 경북 군위군 소보면 보촌에서 천기선의 장남으로 출생[2] |
1918년 3월 | 군위공립보통학교 2학년 편입[3] |
1920년 2월 | 군위공립보통학교 우등 졸업[4] |
1920년 3월 | 보성중학교 입학[5] |
1921년 3월 | 양정고등보통학교 입학[6] |
1923년 | 양정고등보통학교 중퇴[7] |
1925년 2월 | 경서성서학원 입학 (이성봉 목사와 동기) |
1926년 | 6·10 만세운동으로 서대문 형무소 수감,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8개월, 집행유예 3년 선고[8] |
1926년 7월 | 석방[9] |
1928년 4월 | 경서성서학원 졸업[10] |
1932년 4월 | 김해읍교회 부임 (~1934. 5. 13)[11] |
1933년 4월 | 제1회 성결교회 창립총회에서 목사 안수 |
1934년 5월 | 제2회 총회에서 일본 동경성결교회 주임목사로 파송되었으나, 항일운동 경력으로 일본 경찰의 감시와 박해를 받아 4개월 만에 귀국 |
1934년 7월 | 일본 동경에서 문서선교를 위해「嶺南聖報」(영남성보) 발행[12] |
1935년 2월 | 경주교회 담임 부임 |
1939년 | 부산교회 담임 부임 |
1940년 | 삼천포교회 담임 부임 |
1940년 6월 | 신사참배 거부로 수감[13] |
1943년 5월 | 성결교회 교역자 일제 검속으로 수감[14] |
1944년 2월 | 대구형무소에서 9개월간 옥고를 치르고 기소유예로 출감[15] |
1945년 8월 11일 | 일제의 사상범 예비 검속 때 다시 구금 |
1945년 8월 15일 | 해방으로 출감[16] |
1945년 9월 5일 | 군위교회에서 전국 성결교회 중 가장 먼저 재건예배[17] |
1946년 4월 | 목포교회 부임 및 도서전도대 조직, 호남지역 복음화 주력[18] |
1953년 | 동양선교회 후원으로 부산에서 십자군 전도대 재조직, 제3대 십자군 전도대 대장 역임, 충주, 원주, 안동, 의성, 보촌, 묵호 등에 교회 개척, 36년 교역생활 동안 76,294명 결신자와 38개 교회 개척 |
1964년 2월 28일 | 자택에서 소천[19] |
2. 1. 출생과 학창 시절
千世光일본어은 1904년 3월 7일 경상북도 군위군 소보면 보촌에서 천기선의 장남으로 태어났다.[2] 1918년 3월 군위공립보통학교 2학년에 편입하여,[3] 1920년 2월 우등으로 졸업하였다.[4] 같은 해 3월 보성중학교에 입학하였으나,[5] 이듬해인 1921년 3월 양정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6] 1923년 양정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고,[7] 1925년 2월 경서성서학원(현 서울신학대학교)에 입학하여 이성봉 목사와 동기로 수학하였다. 1928년 4월 경서성서학원을 졸업하였다.[10]1926년에는 6·10 만세운동에 참여했다가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되어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8개월,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으나,[8] 1926년 7월 석방되었다.[9]
2. 2. 독립운동과 투옥
천세광은 1926년 6·10 만세운동에 참여하여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되었다.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8개월,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고 1926년 7월에 석방되었다.[8][9]1934년 5월, 일본 동경성결교회(현 동경기독교회) 주임목사로 파송되었으나, 항일운동 경력 때문에 일본 경찰의 감시와 박해를 받아 4개월 만에 귀국하였다.
1940년 6월에는 신사참배를 거부하여 수감되었고,[13] 1943년 5월에는 성결교회 교역자 일제 검속으로 다시 수감되었다.[14] 1944년 2월, 대구형무소에서 9개월간 옥고를 치르고 기소유예로 출감하였다.[15]
1945년 8월 11일, 일제의 사상범 예비 검속으로 또다시 구금되었다가[16] 해방으로 출감하였다.[16]
2. 3. 목회 활동
1932년 4월 김해읍교회에 부임하였다.[11] 1933년 4월 제1회 성결교회 창립총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1934년 5월 제2회 총회에서 일본 동경성결교회 주임목사로 파송되었으나, 항일운동 경력을 이유로 일본 경찰의 감시와 박해를 받아 4개월 만에 귀국하였다. 1934년 7월 일본 동경에서 문서선교를 위해 「嶺南聖報」(영남성보)를 발행하였다.[12]1935년 2월 경주교회 담임으로 부임하였다. 1939년 부산교회, 1940년 삼천포교회 담임으로 부임하였다. 1945년 9월 5일 군위교회에서 전국 성결교회 중 가장 먼저 재건예배를 드렸다.[17] 1946년 4월 목포교회에 부임하여 도서전도대를 조직, 호남지역 복음화에 힘썼다.[18]
1953년 동양선교회의 후원으로 부산에서 십자군 전도대를 재조직하고 제3대 대장을 맡아 충주, 원주, 안동, 의성, 보촌, 묵호 등에 교회를 개척하며 36년 교역생활 동안 76,294명의 결신자와 38개 교회를 개척하였다.
그 외에도 경주교회(1925년), 조치원교회(1928년), 광주교회(1942년), 천안교회(1948년)[20], 영도교회(1951년~1953년)[21], 십자군전도대장(1953년), 희년기념관장(1957년) 등에서 목회와 전도 사역을 하였다.
2. 4. 사망
1964년 2월 28일 자택에서 별세하였다.[19]3. 교단 재건 및 사회 활동
광복 후 천세광은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재건과 서울신학대학교 발전에 힘썼으며, 십자군 전도대를 조직하여 전국 각지에서 복음을 전파했다.
3. 1. 교단 재건
광복 후 기독교대한성결교회 교단재건준비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되었다.[20] 서울신학대학교를 재건하고 이사로서 학교 발전을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하였다.3. 2. 십자군 전도대 활동
천세광은 십자군 전도대를 조직하여 충주, 원주, 안동, 의성, 보은, 묵호 등지에 교회를 개척하였다.[20] 36년 교역 생활 동안 76,294명의 결신자와 38개 교회를 새로 개척하였다.[20]참조
[1]
웹인용
중포(重砲) 별명이 붙은 최창도 목사 ①
http://www.kehcnews.[...]
[2]
웹인용
11월의 인물 천세광 목사
http://sknews.org/ne[...]
[3]
웹인용
11월의 인물 천세광 목사
http://sknews.org/ne[...]
[4]
웹인용
11월의 인물 천세광 목사
http://sknews.org/ne[...]
[5]
웹인용
11월의 인물 천세광 목사
http://sknews.org/ne[...]
[6]
웹인용
11월의 인물 천세광 목사
http://sknews.org/ne[...]
[7]
웹인용
11월의 인물 천세광 목사
http://sknews.org/ne[...]
[8]
웹인용
6·10만세운동으로 항일의 기개를 드높인 천세광 목사
https://preview.kstu[...]
2023-05-08
[9]
웹인용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비교보기(千世鳳 訊問調書)
https://db.history.g[...]
[10]
웹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천세광 [千世光]
https://terms.naver.[...]
[11]
웹인용
김해제일교회 연혁
http://www.1stch.com
[12]
웹인용
성결교 정체성의 뿌리를 찾아서(57)
http://www.cherald.c[...]
[13]
웹인용
자랑스런 장로 가문/ 장경한 · 장민홍 · 장정래 · 장재현 장로(삼천포교회)
http://www.kehcnews.[...]
[14]
웹인용
영암 김응조 목사의 삶과 한국성결교회에 끼친 영향
http://www.sknews.or[...]
[15]
웹인용
신사참배 거부로 2000여명 투옥… 지금의 한국교회 세운 등불
http://news.kmib.co.[...]
[16]
웹인용
"[내년 100주년 맞는 군위성결교회] 꼿꼿한 유교 뿌리에 남녀평등 사상 심다"
https://www.sedaily.[...]
[17]
웹인용
100년 교회를 가다 - 군위교회
http://www.kehcnews.[...]
[18]
웹인용
활천을 여는 글 : 이달의 성결인 ; 천세광 목사
https://academic.nav[...]
[19]
웹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천세광
https://terms.naver.[...]
[20]
웹인용
천안성결교회 홈페이지 교회연혁
http://cehc.kr/Page/[...]
[21]
웹인용
영도성결교회 홈페이지 교회연혁
http://www.youngdo-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