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은 서방 기독교에서 기념하는 축일로, 1월 1일에 지낸다. 이 축일은 동방 기독교에서 먼저 시작되었으며, 초기 로마 교회에서는 하느님의 어머니 기념일로 지냈다. 1974년 교황 바오로 6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전례 개혁을 통해 1월 1일에 지내던 주님의 할례 축일을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로 대체하고, 1968년부터 세계 평화의 날로 지정했다. 특별 양식 로마 전례를 따르는 신자들은 10월 11일을 천주의 모친 복되신 동정 마리아 첨례일로, 1월 1일은 성탄 팔부 첨례일로 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월 1일 - 쇼가쓰
쇼가쓰는 일본에서 양력 1월 1일을 중심으로 기념하는 설날로, 도시카미사마를 맞이하고 가도마쓰, 시메카자리, 가가미모치 등으로 집안을 장식하며 오세치 요리와 조니를 먹고 하쓰모데, 연하장 교환, 오토시다마 나눔 등의 풍습으로 새해를 축하한다. - 1월 1일 - 지구 가족의 날
지구 가족의 날은 린다 그로버의 주도로 시작된 세계 평화를 기원하는 날이며, 스티브 다이아몬드와 로버트 앨런 실버스타인의 어린이 책과 린다 그로버의 소설이 이 날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 마리아론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마리아론 - 성모 승천
성모 승천은 가톨릭교회에서 교리로 선포한, 성모 마리아의 육체와 영혼이 하늘로 올라간 사건으로, 외경과 전승을 통해 전해져 여러 교회에서 기념하며 예술 작품의 주제로 활용되지만, 개신교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다. - 성모 신심 - 알무데나의 성모
알무데나의 성모는 스페인 마드리드의 수호 성인으로 추앙받는 성모 마리아의 조각상으로, 전설에 따르면 사도 야고보가 가져와 숨겨졌다가 레콩키스타 시기에 기적적으로 발견되었으며, 마드리드 시민들에게 신성한 존재로 여겨진다. - 성모 신심 - 성모송
성모송은 가브리엘 대천사와 엘리사벳의 인사말에 기반하여 하느님 찬양과 성모 마리아에게 애원과 찬미를 드리는 가톨릭교회의 대표적인 기도로, 묵주기도의 기본이 되며 다양한 언어 번역본과 음악 작품으로 널리 사용된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 |
---|---|
개요 | |
이름 |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
로마자 표기 | Cheonjuui Seongmo Maria Daechukil |
영어 이름 | Solemnity of Mary, the Mother of God |
종류 | 기독교 |
의미 | 마리아의 모성 |
별칭 | 성탄 팔일 축제의 마지막 날 (로마 가톨릭교회) 테오토코스 시낙시스 (동방 기독교) |
준수 | 가톨릭교회 성공회 비잔틴, 서시리아, 동시리아 예식 교회 콥트 정교회 |
날짜 | |
양력 | 1월 1일 (로마 가톨릭교회) |
양력 | 12월 26일 (비잔틴, 서시리아, 동시리아 예식) |
양력 | 1월 16일 (콥트 정교회) |
기념 | |
행사 | 교회 예배 |
관련 | |
관련 | 예수 할례 축일 |
이미지 | |
![]() | |
![]() |
2. 역사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은 서방 기독교보다 동방 기독교에서 먼저 지냈다. 5세기경 프랑스와 스페인에서 주님 성탄 대축일 전 일요일에 이 축일을 지내기 시작했고, 로마에서는 7세기까지 1월 1일을 ‘천주의 모친 복되신 동정 마리아 첨례일’로 지냈다. 13세기와 14세기에는 주님의 할례 축일을 1월 1일에 지냈으며, 성공회와 루터교는 여전히 이 날을 주님의 할례 축일로 지킨다.[24]
1570년 교황 비오 5세는 개정된 미사를 통해 1월 1일을 주님의 할례 축일로 지내는 것을 가톨릭 교회 전체에 확대했다. 1914년 포르투갈에서 10월 11일을 천주의 모친 복되신 동정 마리아 첨례일로 지내기 시작했고, 1931년 교황 비오 11세는 에페소 공의회(431년) 1500주년을 기념하여 가톨릭 교회 전체가 이를 준수하도록 했다. 1974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교황 바오로 6세는 1월 1일에 지내던 주님의 할례 축일을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로 대체하고,[25] 1968년부터 이 날을 세계 평화를 위한 ‘세계 평화의 날’로 정했다.
2. 1. 초기 역사와 동방 교회의 영향
천주의 성모 마리아 축일은 서방 기독교에 앞서 동방 기독교에서 먼저 지내고 있었다. 하지만 5세기 무렵부터 프랑스와 스페인에서 주님 성탄 대축일 전 일요일에 천주의 성모 마리아 축일을 지내기 시작했다. 로마에서는 7세기까지 1월 1일을 ‘천주의 모친 복되신 동정 마리아 첨례일’로 지냈다. 13세기와 14세기에는 마리아 축일을 대신하여 주님의 할례 축일을 1월 1일에 지냈다. 성공회와 루터교에서는 아직까지도 1월 1일을 주님의 할례 축일로 지내고 있다.[24]2. 2. 로마 전례의 변화 (7세기 ~ 20세기)
5세기 무렵부터 프랑스와 스페인에서 주님 성탄 대축일 전 일요일에 천주의 성모 마리아 축일을 지내기 시작했다. 로마에서는 7세기까지 1월 1일을 ‘천주의 모친 복되신 동정 마리아 첨례일’로 지냈다.[24] 13세기와 14세기에는 마리아 축일을 대신하여 주님의 할례 축일을 1월 1일에 지냈다. 성공회와 루터교에서는 아직까지도 1월 1일을 주님의 할례 축일로 지내고 있다.[24] 1570년 교황 비오 5세는 새로 개정된 미사를 공포하면서 1월 1일을 주님의 할례 축일로 지내는 것을 가톨릭 교회 전체로 확대하였다.1914년 포르투갈에서는 10월 11일을 천주의 모친 복되신 동정 마리아 첨례일로 지내기 시작했는데, 1931년 교황 비오 11세는 테오토코스에 대한 교의가 확립된 에페소 공의회(431년) 1500주년을 맞이하여 이를 가톨릭 교회 전체가 준수할 것을 지시하였다. 1974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교황 바오로 6세는 대대적인 전례 개혁을 하면서 지금까지 1월 1일에 지내던 주님의 할례 축일을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로 대체하였다.[25]
2. 3.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모성 축일 (1914년 ~ 1969년)
1914년 포르투갈에서 10월 11일을 천주의 모친 복되신 동정 마리아 첨례일로 지내기 시작했는데, 1931년 교황 비오 11세는 에페소 공의회(431년)에서 테오토코스에 대한 교의가 확립된 1500주년을 맞이하여 이를 가톨릭 교회 전체가 준수할 것을 지시하였다.[25]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모성 축일'''은 포르투갈의 요제 1세 국왕의 요청에 따라 1751년 1월 22일 포르투갈의 교구, 브라질, 알제리에 처음으로 허가되었으며, 마리아의 순결 축일과 함께 5월 첫째 주일에 지정되었다. 이듬해 두 축일은 베네치아 공화국으로 확대되었고, 1778년에는 나폴리 왕국으로, 1807년에는 토스카나로 확대되었다. 로마 성무일과에서는 모성 축일이 10월 둘째 주일에, 순결 축일이 10월 셋째 주일에 기념되었다. 이탈리아 아풀리아의 메사냐에서는 1743년 2월 20일 지진을 기념하여 2월 20일에 지켜졌다. 이 특별 축일은 교회의 전례력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많은 교구 달력에서 채택되었다.[12] 1914년까지 이 축일은 포르투갈에서 10월 11일에 기념되었으며, 1931년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전체 가톨릭 교회로 확대되었다.[13][14]
2. 4.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1969년 ~ 현재)
1974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교황 바오로 6세는 대대적인 전례 개혁을 하면서 1월 1일에 지내던 주님의 할례 축일을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로 대체하였다.[25] 1968년부터는 이 대축일을 세계 평화를 위하여 기도하는 ‘세계 평화의 날’로 정하였다. 바오로 6세는 “이날은 갓 태어나신 평화의 임금님을 경배하고 천사가 전해준 기쁜 소식을 다시 한 번 들으며 평화의 모후를 통해 하느님께 평화의 고귀한 선물을 청하는 좋은 기회가 된다”고 제정 의미를 강조하였다.로마 전례의 전례력과 달력의 1969년 개정에서는 "1월 1일, 주님 성탄 대축일 팔일 축제는 하느님의 거룩하신 어머니이신 마리아 대축일이며, 지극히 거룩하신 예수 성명의 부여를 기념하는 날이다."[18][19]라고 명시하고 있다.
특별 양식 로마 전례를 따르는 가톨릭교회 단체 및 신자들과 1960년 로마 일반 전례력을 따르는 전통 가톨릭 신자들은 여전히 10월 11일을 천주의 모친 복되신 동정 마리아 첨례일로, 1월 1일은 성탄 팔부 첨례일로 지내고 있다.[21]
2. 4. 1. 마리아 경배 (Marialis Cultus)
교황 바오로 6세는 사도적 서한 ''마리아 경배''(Marialis Cultus)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1월 1일에 거행되는 이 축일은 ... 마리아가 구원의 신비에서 수행한 역할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신비가 '거룩하신 어머니... 우리에게 생명의 저자를 받을 자격을 주신 분'께 가져다주는 특별한 존엄성을 드높이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마찬가지로, 새로 태어난 평화의 왕께 경배를 새롭게 드리고, 천사들의 기쁜 소식(Evangelium secundum Lucam|루카 복음la)을 다시 한 번 경청하며, 평화의 여왕을 통해 하느님께 평화라는 최고의 선물을 간청하기에 적절한 기회이기도 하다."[22]3. 다른 전통에서의 기념
특별 양식 로마 전례를 따르는 가톨릭교회 단체 및 신자들은 10월 11일을 천주의 모친 복되신 동정 마리아 첨례일로, 1월 1일은 성탄 팔부 첨례일로 지내고 있다.
로마의 산 아고스티노 성당에서는 야코포 산소비노가 조각한 기적의 마돈나 델 파르토 상을 기리는 의미로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모성" 축일이 팔일 축제로 기념되었다.
성 요한(John of Matha)은 1198년에 포로로 잡힌 그리스도교 신자들을 구출하는 것을 사명으로 하는 지극히 거룩한 삼위일체 수도회를 창설했다. 그는 수도회의 기금 모금 활동을 마리아의 후원 아래 두었고, 그녀의 도움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마리아에게 "선한 구원의 성모"(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로스 레메디오스로도 알려짐)라는 칭호를 부여했다.[16] 그녀의 축일은 현재 10월 8일에 기념된다.[17]
3. 1. 특별 양식 로마 전례
특별 양식 로마 전례를 따르는 가톨릭교회 단체 및 신자들은 아직까지도 10월 11일을 천주의 모친 복되신 동정 마리아 첨례일로, 1월 1일은 성탄 팔부 첨례일로 지내고 있다.3. 2. 마돈나 델 파르토
로마의 산 아고스티노 성당에서는 야코포 산소비노가 조각한 기적의 마돈나 델 파르토 상을 기리는 의미로,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모성" 축일이 팔일 축제로 기념되었다. 수세기 동안 로마 시민들과 그 주변 사람들은 이 조각상 앞에서 안전한 출산과 건강한 아기를 기원하며 성모 마리아의 전구를 간청해 왔다. 이 조각상은 감사 헌금으로 가득 차 있으며, 항상 꽃과 촛불, 그리고 종종 미소 짓는 유아와 유아들의 사진들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는 "성스러운 중재에 대한 믿음의 시각적 증거"이다.[12]
3. 3. 선한 구원의 성모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로스 레메디오스로도 알려짐)라는 칭호를 부여했다.[16] 그녀의 축일은 현재 10월 8일에 기념된다.[17]참조
[1]
뉴스
The Four Marian Dogmas
https://www.catholic[...]
Catholic News Agency
[2]
웹사이트
Mother of God Extends Our Christmas Celebration
https://media.ascens[...]
[3]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4]
웹사이트
Greek Orthodox Archdiocese calendar of Holy Days
http://www.goarch.or[...]
2008-02-13
[5]
웹사이트
Η Περιτομή του Ιησού Χριστού
https://www.pemptous[...]
2021-12-31
[6]
서적
Journey into the Heart of God: Living the Liturgical Year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9-23
[7]
웹사이트
Antiochian Western Rite Vicariate Kalendar
https://www.orthodox[...]
10-11
[8]
웹사이트
Start the New Year With the Holy Family and Mary
https://www.ncregist[...]
2013-12-29
[9]
간행물
Lumen gentium
https://www.vatican.[...]
1964-11-21
[10]
서적
The Liturgical Year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11]
웹사이트
Catholics have three chances, not one, to celebrate New Year's
https://cruxnow.com/[...]
2016-12-29
[12]
백과사전
Feast of the Maternity of the Blessed Virgin Mary
[13]
웹사이트
Feast of the Maternity of the Blessed Virgin Mary
https://reginamag.co[...]
2016-10-11
[14]
웹사이트
Feast of the Maternity of the Blessed Virgin Mary
https://sspx.org/en/[...]
Society of Saint Pius X
2018-10-12
[15]
서적
Votive Panels and Popular Piety in Early Modern Ital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Trinitarian Devotions
http://www.trinitari[...]
The Trinitarians
[17]
웹사이트
Our Lady of Good Remedy
http://www.ewtn.com/[...]
[18]
문서
Universal Norms on the Liturgical Year and the Calendar
[19]
웹사이트
Complementary Norms
https://www.usccb.or[...]
[20]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21]
웹사이트
Latin Mass Society Ordo: October
https://lms.org.uk/s[...]
[22]
간행물
Marialis Cultus
https://www.vatican.[...]
1974-02-02
[23]
웹사이트
http://www.catholicn[...]
[24]
서적
Dictionary of Theological Terms
https://archive.org/[...]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5]
웹사이트
Mary, Mother of God: All About the Solemnity of Mary Mother of God
http://www.churchye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