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첨단방사선연구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첨단방사선연구소는 방사선 이용 연구를 수행하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산하 연구기관이다. 2000년 방사선 관련 전문 연구기관 설립 승인을 시작으로, 2006년 정읍분소 방사선연구원 개원을 거쳐 201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기능으로는 방사선 공업환경, 방사선 생명공학, 방사선 기기장치, 방사선 육종 분야 연구가 있으며, IAEA 협력센터로 지정되어 국제 협력 활동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읍시 - 태인면
    태인면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 위치한 면으로, 백제 시대 대시산군에서 조선 시대 태인현으로 개칭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14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재와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정읍시 - 정읍 구절초축제
    정읍 구절초축제는 전라북도 정읍시 구절초 테마공원 일대에서 매년 가을에 열리는 지역 축제로, 아름다운 구절초 감상과 다양한 문화 행사를 통해 정읍시의 대표적인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 대한민국의 연구소 -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는 일제강점기 친일파 규명과 잔재 청산을 목표로 설립되어 친일인명사전 편찬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으나, 선정 기준 논란 및 편향성 논란 등으로 보수 진영과 갈등을 겪는 연구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연구소 - 세종연구소
    세종연구소는 외교, 안보, 통일 전략 등을 연구하는 대한민국의 재단법인 연구소로, 사회 공헌 및 교육 사업도 수행하며 세종 코멘터리 등의 연구 결과물을 발표한다.
  •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1965년 설립되어 경제 성장과 기술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며,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의 통합 및 분리를 거쳐 현재 독립된 연구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립부산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은 부산시의 과학관 유치 운동으로 설립되어 자동차, 조선, 에너지 등 동남권 주력 산업을 주제로 한 과학기술 체험관이며, 2013년 착공하여 2015년 6월에 준공되었고, 대한민국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 출연하는 국립과학관법인으로 운영된다.
첨단방사선연구소

2. 연혁

연도내용
2007년 3월"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 방사선과학연구소"로 명칭 변경[1]
2011년 12월"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로 명칭 변경[1]


2. 1. 설립 초기 (2000년 ~ 2006년)

2000년 10월, 정부는 방사선 이용 연구 관련 전문 연구기관 설립을 승인했다. 2001년 5월, 한국원자력연구원 이사회는 제104차 회의를 통해 전라북도 정읍시를 연구소 부지로 선정했다. 같은 해 7월에는 제251차 원자력위원회에서 제2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이 의결되었다.[1]

2002년 12월에는 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진흥법(법률 제6814호)이 제정되었다. 2003년 6월에는 방사선연구원 기공식이 열렸고, 2005년 1월,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제24차 이사회를 통해 정읍분소 방사선연구원 설치를 의결했다. 2005년 4월에는 연구소가 정읍으로 이전하여 연구 업무를 시작했으며, 2006년 9월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분소 방사선연구원 개원식이 개최되었다.[1]

연도내용
2000년 10월방사선이용연구 관련 전문 연구기관 설립 정부 승인
2001년 5월전라북도 정읍시에 대상부지 선정 (한국원자력연구원 제104차 이사회)
2001년 7월제2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의결 (제251차 원자력위원회)
2002년 12월방사선 및 방사성동위원소 이용진흥법 제정 (법률 제6814호)
2003년 6월방사선연구원 기공식
2005년 1월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분소 방사선연구원 설치 의결 (제24차 연구소 이사회)
2005년 4월이전 및 연구업무 개시
2006년 9월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분소 방사선연구원 개원식


2. 2. 명칭 변경 및 발전 (2007년 ~ 현재)

2007년 3월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 방사선과학연구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2011년 12월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로 다시 명칭이 변경되었다.[1]

3. 주요 기능 및 연구 분야

첨단방사선연구소는 방사선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방사선 공업환경: 재료 구조 제어, 신소재 개발, 환경 정화 등 산업 및 환경 분야 연구를 진행한다.
  • 방사선 생명공학: 생체 물질 개발, 유전체 활용, 바이오 에너지 개발 등을 수행한다.
  • 방사선 기기장치: 방사선 계측 및 발생 장치, 사이클로트론 관련 연구를 진행한다.
  • 방사선 육종: 방사선 돌연변이를 이용한 품종 개량 기술을 개발한다.

3. 1. 방사선 공업환경

첨단방사선연구소는 재료 구조 제어, 신소재 개발, 환경 정화 등 산업 및 환경 분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세부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재료 구조 제어 연구
  • 기능성 고분자, 복합 신소재 개발
  • 표면 처리, 극한 환경 대응 신소재 개발
  • 하폐수,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 오염 토양 및 지하수 복원
  • 대기 오염 물질 정화

3. 2. 방사선 생명공학

생명공학 분야 연구를 통해 생체 물질 개발, 유전체 활용, 바이오 에너지 개발 등을 수행한다. 세부 분야는 아래와 같다.

연구 분야
생체퇴행 조절물질 개발
미생물 자원 및 유전체 활용
식물 세포 이용 유용 물질 생산
바이오메스 에너지 자원 개발
RI 바이오칩 및 생물 정보 분석
방사선 식품 가공 기술 및 검역 관리


3. 3. 방사선 기기장치

3. 4. 방사선 육종

연구 분야상세 내용
방사선 계측기, 센서소재 개발관련 기술 개발
방사선 발생기기, 장치 개발관련 기술 개발
사이클로트론 이용 RI 생산사이클로트론을 이용한 방사성 동위원소(RI) 생산 연구
사이클로트론 이용 양성자 빔 연구사이클로트론을 활용한 양성자 빔 연구
사이클로트론 빔 조사 표적시스템 개발사이클로트론 빔 조사 표적 시스템 개발


4. 조직

첨단방사선연구소는 방사선 연구 및 이용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다음과 같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 '''첨단방사선연구소장'''

  • '''방사선연구부'''

  • '''방사선이용운영부'''
  • 가속기동위원소개발실

  • '''경영관리부'''
  • 기획관리팀
  • 대외협력팀
  • 시설안전팀

4. 1. 첨단방사선연구소장

(내용 없음)

4. 1. 1. 방사선연구부

(내용 없음)

4. 1. 2. 방사선이용운영부

가속기동위원소개발실

4. 1. 3. 경영관리부

경영관리부
기획관리팀대외협력팀시설안전팀


5. 사건·사고 및 논란

첨단방사선연구소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사건, 사고 및 논란은 확인되지 않았다.

5. 1. 국제원자력기구 협력센터 지정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2012년 5월 첨단방사선연구소를 IAEA 협력센터로 선정한다고 통보했다.[2] IAEA 협력센터(Collaborating Centre)는 IAEA가 추진하는 원자력 관련 기술 연구와 교육 훈련을 지원하는 국제적인 협력 네트워크이다. 분야마다 한 곳씩 지정되며 4년마다 갱신된다.[3]

첨단방사선연구소는 환경 보전 처리, 신소재 개발, 방사선 식품공학 등 방사선기술 3개 분야에서 IAEA 협력센터로 선정되었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정읍 첨단방사선연구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까지 총 3개의 IAEA 협력센터를 보유하게 되었다.[4]

참조

[1] 뉴스 정읍방사선연구소, '첨단방사선연구소'로 명칭 변경 http://news.mt.co.kr[...] 뉴스1 2011-12-01
[2] 뉴스 첨단방사선연구소, IAEA 협력센터 지정 http://www.epnews.co[...] 한국전력신문 2012-05-15
[3] 뉴스 정읍 방사선연구소, IAEA 협력센터 지정 http://news.kbs.co.k[...] KBS 2012-05-16
[4] 뉴스 원자력연 첨단방사선연구소, IAEA 협력센터 지정 http://www.hellodd.c[...] 대덕넷 2012-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