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관구 (라싸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관구는 라싸 시의 행정 구역으로, 티베트어로 "신의 장소"를 뜻하는 라싸의 도시 관문을 의미한다. 7세기 초 티베트 제국의 수도가 라싸로 정해지고, 불교 사원들이 건설되면서 종교적 중심지로 부상했다. 15세기에는 겔룩파 사원들이 건설되었고, 17세기에는 포탈라 궁전이 재건되면서 정치, 종교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현재는 농업, 축산업과 더불어 관광 산업이 발달하였으며, 칭하이-티베트 철도와 라싸 쿵가 공항을 통해 교통의 요지로 기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 자치구의 시할구 - 다쯔구
    다쯔구는 티베트 자치구 라싸시 청관구 동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반건조 고원 몬순 기후를 띠며 티베트족이 다수를 차지하고,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간덴 사원과 예르파 사원 등의 사찰이 위치해 있다.
  • 티베트 자치구의 시할구 - 두이룽더칭구
    두이룽더칭구는 티베트 자치구에 있는 구로, 온대 기후에 농업, 축산업, 광업이 주요 산업이며 네충 사원, 출푸 사원 등의 명소가 있고 라싸 시와 인접한 교통 요충지이다.
  • 라싸시의 행정 구역 - 취수이현
    취수이현은 티베트 자치구 라싸 시에 위치하며 얄룽장포강 계곡에 자리 잡고 녠칭탕구라산맥이 북쪽 경계를 이루는 온대 반건조 고원 몬순 기후 지역으로, 청해 보리, 밀, 완두콩 등의 농산물이 재배되고 라싸-시가체 철도와 G318 국도가 지나며 녜탕 돌마 라캉 사원과 같은 문화 유적이 있는 곳이다.
  • 라싸시의 행정 구역 - 당슝현
    당슝현은 티베트 자치구 라싸시에 위치한 해발고도 4,700m 이상의 고원 지대 현으로, 1959년 신설되어 다양한 역사 시대를 거치며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고, 목축업과 광업을 중심으로 징짱 고속도로와 칭하이-티베트 철도가 통과하며 양파첸 사원, 북티베트 8탑, 남초 호수와 타시 도르 사원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청관구 (라싸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포탈라 궁
포탈라 궁
조캉 사원
조캉 사원
노르불링카 궁전
노르불링카 궁전
드레풍 사원
드레풍 사원
바코르
바코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라싸시 청관구
다른 이름청관, 청고인, 청관
유형구 (District)
위치티베트 자치구 라싸시
소재지길라이 소구
지리
면적525 km²
도시 지역 면적168 km²
해발 고도3656 m
좌표Q1026100
인구
총 인구 (2020년)464,736명
도시 인구 (2020년)464,736명
주요 민족티베트인; 한족; 후이족; 네팔인
언어티베트어; 표준 중국어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시할구
정치와 행정
정부 주석해당 정보 없음
시간대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 오프셋+8
식별 코드
우편 번호850000
지역 번호891
행정 구역 코드540102
기타
웹사이트청관구 정부 웹사이트

2. 명칭

라싸(Lhasa)는 티베트어로 '신의 장소'라는 뜻이다(ལྷ|라bo, 신; ས|사bo, 장소). 청관(Chengguan)은 중국어로 '도시 관문'(城关|청관중국어)을 의미한다. 고대 티베트 문서와 비문에 따르면 이 지역은 원래 라사(Rasa, ར་ས|라사bo)라고 불렸는데,[5] 이는 과거 목축지였기 때문에 '염소의 장소'를 의미했다.[5][6][7] 이후 티베트의 수도로 지정되고 부처의 성상을 모신 조캉 사원이 건설되면서 '신들의 장소'라는 뜻의 라싸로 이름이 바뀌었다.[8][9] 라싸라는 이름은 서기 822년 중국과 티베트 사이에 체결된 조약에서 이 지역의 조캉 사원을 지칭하는 이름으로 처음 기록되었다.[10] 일부 오래된 유럽 지도에는 티베트를 묘사하며 '바란톨라'(Barantola)라는 이름의 도시가 등장하는데, 이는 대부분 라싸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때로는 칭하이성 서부에 위치한 현대의 불란타이/볼룬타이를 지칭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1]

3. 역사

송짼감뽀


7세기 중반, 송짼감뽀는 얄룽 창포 강 계곡에서 세력을 떨친 티베트 제국의 지도자가 되었다.[12] 서쪽의 장중 왕국을 정복한 후, 그는 수도를 라싸로 옮겼다. 637년에 그는 현재 포탈라 궁전이 있는 마르포리 산에 최초의 구조물을 세웠다.[13]

서기 639년과 641년, 티베트 전역을 정복한 송짼감뽀는 네팔의 브리쿠티 공주와[14] 당나라 조정의 문성공주와 정략 결혼을 했다. 브리쿠티와 문성공주 모두 그를 불교로 이끌었다고 여겨진다. 641년에 그는 두 공주가 가져온 악쇼비야 바즈라(8세의 부처)와 조보 샤캬무니(12세의 부처) 불상을 모시기 위해 라싸에 조캉 사원과 라모체 사원을 건설했다.[15][16]

라싸는 9세기에 랑다르마의 통치하에 성지가 파괴되고 제국이 분열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17] 티베트의 전통에 따르면 송짼감뽀 사후 중국 군대가 라싸를 점령했다고 전해지나,[18][19] 중국 및 티베트 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기록이 없다고 지적한다.[20][19] 9세기 왕정 몰락 이후 라싸는 정치 권력의 중심지는 아니었지만, 종교적 장소로서의 중요성은 점차 커졌다.[21] 파드마삼바바조캉 사원의 기초를 세운 티베트의 중심으로 알려졌으며,[22] 11세기부터는 티베트 무슬림 공동체도 존재했다.[23]

15세기에 이르러 라싸는 쫑카빠와 그의 제자들이 간덴 사원, 세라 사원, 드레풍 사원 등 세 개의 큰 겔룩파 사원을 건설하면서 다시금 중요성을 띠게 되었다.[24][25] 이들 사원은 티베트 불교 부흥의 중심지가 되었고, 겔룩파의 학문적 성과와 정치적 영향력은 라싸를 다시 티베트의 중심 무대로 만들었다.[26]

5대 달라이 라마, 롭상 갸초 (1617–1682)는 호쇼트의 구시 칸의 도움을 받아 1642년에 티베트를 통일하고 행정 중심지를 라싸로 옮겼다. 이로써 간덴 포드랑 정부가 수립되었고, 라싸는 다시 티베트의 종교적, 정치적 수도가 되었다.[27] 1645년에는 포탈라 궁전의 재건이 시작되었고,[28] 1648년에 백궁이 완공되어 달라이 라마의 겨울 궁전으로 사용되었다.[29] 적궁은 1690년에서 1694년 사이에 추가되었다. 포탈라라는 이름은 관세음보살의 신화적인 거처인 포탈라카 산에서 유래했다.[30] 조캉 사원 또한 이 시기에 크게 확장되었다. 17세기 말, 라싸의 바르코르 지역은 다양한 국적의 상인들이 모이는 국제적인 시장으로 번성했다.[31]

262x262px


청나라 군대가 1720년에 라싸에 들어왔고, 청 정부는 암반이라고 불리는 상주 대표를 파견했다. 1750년 11월 11일, 암반에 의한 섭정 살해 사건은 1750년 라싸 폭동을 촉발시켰다. 폭동을 진압한 후 청나라 건륭제는 티베트 정부를 재편하고 1751년에 라싸에 카샤그라는 통치 위원회를 설립했다. 1792년에는 구르카 군대의 침략을 격퇴한 것을 기념하여 포탈라 남쪽 3km 지점에 관제묘(게사르 라칸)가 세워졌다.[41]

라싸의 서쪽 문 파르고 칼링(1904년). 영국 원정 당시 모습이다.


1904년, 영국의 티베트 원정 당시 프랜시스 영허스밴드 경이 이끄는 영국군이 라싸를 침략하여 점령했다. 당시 13대 달라이 라마는 피신한 상태였고, 남은 티베트 관리들과 라싸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이후 1906년 영중 조약으로 대체되었다. 신해혁명 이후 1912년, 모든 청나라 군대가 라싸를 떠났다.[32]

1951년 라싸로 진군하는 중국 인민해방군


1949년 11월, 티베트 정부는 마오쩌둥에게 회담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으나[33]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1950년 10월 7일, 중국 인민해방군은 참도 전투를 시작했다. 전투 후, 중국 중앙 정부의 초청으로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 정부 대표단은 베이징으로 가서 평화 회담을 가졌고, 1951년 4월 응아포 응왕 지그메가 이끄는 대표단이 17조 협정에 서명했다.[34][35][36]

1959년, 실패한 봉기 이후, 14대 달라이 라마와 그의 측근들은 티베트를 떠나 인도로 망명했다. 라싸는 티베트의 정치, 경제, 문화, 종교의 중심지로 남았다. 1960년 1월 라싸시가 설립되었고,[37] 1964년에는 도시 기반 시설 확충을 위한 건설이 이루어졌다.[38] 1965년 9월 티베트 자치구가 설립되면서 라싸는 자치구의 수도가 되었다.[39]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라싸의 많은 공원(''링카'')과 문화 유산이 파괴되거나 용도가 변경되는 피해를 입었다.[25][40] 라싸로 들어가는 주요 관문이었던 파르고 칼링 도 이 시기를 거치며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42]

2000년 기준으로 도시화된 지역의 면적은 53km2에 달했으며, 인구는 약 17만 명이었다. 당시 인구 구성에 대한 공식 통계(티베트인 70%, 한족 24.3%, 기타 2.7%)와 외부 관측(비티베트인 50~70%) 사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2010년 제6차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싸 전체 인구 중 티베트인은 429,104명(76.70%), 한족은 121,065명(21.64%)으로, 이 두 민족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했다.[43]

4. 지리

라싸는 평평한 강 계곡에 위치해 있다


파봉카 사원에서 바라본 라싸. 포탈라 궁전이 구시가지 위에 솟아 있다.


라싸를 포함한 지도(DMA, 1973)


라싸는 티베트 고원 중심부에 위치하며, 해발고도는 약 3600m에 달한다.[44] 주변 산들은 5500m까지 솟아 있으며, 공기 중 산소 함량은 해수면의 68% 수준이다.[45] 도시 남쪽으로는 얄룽창포강(브라마푸트라강)의 지류인 라싸강(키강 또는 키추)이 흐른다. 이 강은 녠칭탕구라산맥에서 발원하여 315km를 흘러 취쉬현에서 얄룽창포강과 합류한다. 티베트인들은 이 강을 "즐거운 푸른 물결"이라고 부른다. 도시 북쪽에는 대부분 사람이 살지 않는 습지가 있으며,[46] 주요 도로는 동서 방향으로 발달해 있고 북쪽으로는 도로 기반 시설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46]

라싸는 고도가 매우 높아 쾨펜의 기후 구분상 냉대 건조 기후(BSk)에 속하며, 몬순의 영향을 받는 아열대 고산 기후(Cwb)와 습윤 대륙성 기후(Dwb)의 경계에 있다. 계곡 지형 덕분에 극심한 추위나 더위, 강한 바람은 적은 편이다. 연간 일조 시간은 약 3,000시간에 달해 "햇볕 쨍한 도시"라는 별칭이 있다. 월별 일조율은 7월(53%)에 가장 낮고 11월(84%)에 가장 높다. 가장 추운 달은 1월(평균 0.6°C)이며, 가장 따뜻한 달은 6월과 7월(일평균 17.5°C)이다.[52] 연평균 기온은 8.8°C이고, 기록된 최저 기온은 -16.5°C(1968년 1월 17일), 최고 기온은 30.8°C(2019년 6월 24일)이다.[1] 연 강수량은 458mm이며, 주로 7월부터 9월 사이에 집중된다. 강수는 주로 밤에 내리기 때문에 여름 낮에는 여전히 맑은 날씨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가장 건조한 달은 12월(0.7mm), 가장 습한 달은 7월(140.5mm)이다.

라싸의 기후 (해발 3649m, 1991–2020년 평균, 1951년~현재 극값)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연간 합계
평균 최고 기온 (°C)8.310.413.416.520.523.923.322.321.117.913.39.716.7
일평균 기온 (°C)0.63.16.59.813.817.517.516.715.210.85.41.79.9
평균 최저 기온 (°C)-7.1-4.2-0.53.17.111.111.711.19.33.7-2.5-6.33.1
역대 최고 기온 (°C)20.521.325.125.929.430.830.427.226.524.822.820.130.8
역대 최저 기온 (°C)-16.5-15.4-13.6-8.1-2.72.04.53.30.3-7.2-11.2-16.1-16.5
강수량 (mm)0.91.93.58.331.184.0140.5129.864.86.50.90.7472.9
평균 강수일수 (≥ 0.1 mm)0.61.22.45.29.514.419.819.113.53.50.60.590.3
평균 상대 습도 (%)25242736414859615743322740
월평균 일조 시간250.0234.4256.0254.3279.8260.4227.5223.5238.4280.6266.2256.53027.6
일조율 (%)77746865666254556580848168
평균 강설일수1.32.25.55.60.90000.11.11.30.718.7
출처: 중화인민공화국 기상국[53][54][55], 역대 극값 기온[56][57]


4. 1. 행정 구역

청관구 (노란색) 내 도시화 구역(분홍색)


"청관구"라는 용어는 행정 용어로, 이 경우에는 라싸 시의 구도심 또는 도시 중심부를 의미한다. 도시 지역 외 청관구의 대부분은 산악 지형이며, 농촌 인구는 거의 없다. 청관구는 과 동일한 행정 수준이다. 라싸의 청관구는 1961년 4월 23일에 설립되었다. 현재 12개의 가도(街道)를 관할하고 있다.[50]

이름티베트어티베트어 병음중국어한어 병음인구 (2010)[51]
바르코르 가도བར་སྒོར་ཁྲོམ་གཞུང་།bo八廓街道중국어Bākuò Jiēdào92,107
지라이 가도སྐྱིད་རས་ཁྲོམ་གཞུང་།bo吉日街道중국어Jírì Jiēdào21,022
지붕강 가도རྗེ་འབུམ་སྒང་ཁྲོམ་གཞུང་།bo吉崩岗街道중국어Jíbēnggǎng Jiēdào29,984
자시 가도གྲ་བཞི་ཁྲོམ་གཞུང་།bo扎细街道중국어Zāxì Jiēdào30,820
군델링 가도ཀུན་བདེ་གླིང་ཁྲོམ་གཞུང་།bo公德林街道중국어Gōngdélín Jiēdào55,404
가마공상 가도ཀརྨ་མ་ཀུན་བཟང་ཁྲོམ་གཞུང་།bo嘎玛贡桑街道중국어Gámǎgòngsāng Jiēdào19,472
량다오 가도གླིང་ཕྲན་གཉིས་ཀྱི་ཁྲོམ་གཞུང་།bo两岛街道중국어Liǎngdǎo Jiēdào14,055
진주서로 가도བཅིངས་འགྲོལ་ནུབ་ལམ་ཁྲོམ་གཞུང་།bo金珠西路街道중국어Jīnzhū Xīlù Jiēdào2013년 설립
나진 가도སྣ་ཆེན་ཁྲོམ་གཞུང་།bo纳金街道중국어Nàjīn Jiēdào29,575
토그데 가도དོག་སྡེ་ཁྲོམ་གཞུང་།bo夺底街道중국어Duóde Jiēdào15,186
차이궁탕 가도ཚལ་གུང་ཐང་ཁྲོམ་གཞུང་།bo蔡公堂街道중국어Càigōngtáng Jiēdào8,800
냥렌 가도ཉང་བྲན་ཁྲོམ་གཞུང་།bo娘热街道중국어Niángrè Jiēdào26,354


5. 인구

청관구(라싸시) 거리에서 마니차를 들고 있는 나이든 티베트 여성


청관구(라싸시)의 탁발승


1993년 청관구(라싸시)에서 아들과 함께 길거리 공연을 하는 여성


1854년 인구 조사에서는 라싸의 인구가 42,000명으로 나타났으나, 이후 크게 감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10년에서 1911년 사이에 출판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은 라싸 시와 주변 라마를 포함한 총 인구를 약 30,000명으로 기록했다.[58] 당시 라싸 내에는 약 1,500명의 티베트인 평신도와 약 5,500명의 티베트 여성이 거주했으며, 정규 거주 인구에는 중국인 가족 약 2,000명도 포함되었다.[58] 또한 네팔라다크 출신 상인 약 800명, 부탄, 몽골 등지에서 온 소수의 사람들도 거주했다.[58] 《브리태니커》는 중국인들이 라싸에 독자적인 방식으로 관리되는 매장지를 가지고 있었고, 네팔인들이 기계공과 금속 노동자를 공급했다고 언급했다.[58]

20세기 전반기 라싸는 티베트 불교의 중심지였으며, 인구의 거의 절반이 승려였다.[59] 이 시기 윌리엄 몽고메리 맥거번, 프랜시스 영허스밴드, 알렉산드라 다비드-네엘, 하인리히 하러와 같은 서구 탐험가들이 라싸를 방문했다. 당시 인구 수치에는 축하 행사를 위해 라싸를 방문한 주변 사원의 승려들이 포함되었을 수 있다.

1950년 이전 라싸의 중국인 인구는 주로 상인과 관리들이었다. 라싸의 루부 지역 주민 중 일부는 1840년대에서 1860년대 사이 중국 관리가 안반 직책에 임명된 후 라싸에 정착한 중국 채소 재배 농부의 후손으로, 이들 중 일부는 티베트인 아내와 결혼했다.[60]

1959년 당시 도시 인구는 약 10,000명이었고, 드레풍 사원세라 사원에 약 10,000명의 승려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61] 반면, 휴 리처드슨은 1952년 라싸의 인구를 약 25,000명에서 30,000명으로 추산했으며, 주변 대규모 사원 인구를 포함하면 약 45,000명에서 50,000명에 달할 것으로 보았다.[62]

현대 라싸시의 총 인구는 521,500명(이주 인구 포함, 군 주둔지 제외)이다. 이 중 257,400명이 도시 지역에 거주하며(이주 인구 100,700명 포함), 264,100명은 도시 외곽에 거주한다.[63] 라싸시 인구의 거의 절반이 라싸의 실제 도시 지역을 포함하는 행정 구역인 청관구에 거주한다.

청관구의 도시 지역에는 티베트족, 한족, 후이족 및 기타 민족이 거주한다. 2000년 공식 인구 조사에 따르면 총 인구는 223,001명이었으며, 이 중 171,719명은 시 가두 사무소와 시 동네 위원회에서 관리하는 지역에 거주했다. 133,603명은 도시 등록을, 86,395명은 출생지를 기준으로 농촌 등록을 했다. 이 조사는 11월에 실시되었는데, 당시 건설 등 계절 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한족 노동자들이 티베트를 떠나는 시기였으며 군인은 포함되지 않았다. 2011년 한 자료는 도시 주민의 최대 3분의 2가 비티베트인일 것으로 추정했지만, 정부는 청관구 전체의 63%가 여전히 티베트족이라고 밝혔다. 2014년 기준으로 티베트 한족 인구의 절반이 이 구역에 거주했으며, 학교에서는 이중 언어 또는 완전한 중국어 교육이 일반적이었다.

6. 경제

경쟁 산업과 특색 있는 경제는 라싸시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인구 증가와 환경 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관광 및 서비스 산업이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강조되고 있다.

라싸의 많은 농촌 주민들은 전통적인 농업과 축산업을 실천하고 있다. 라싸는 또한 티베트 무역 네트워크의 전통적인 중심지이다. 과거에는 화학 및 자동차 공장이 이 지역에서 운영되어 상당한 오염을 유발했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상황이 변화하고 있다. 구리, , 아연이 근처에서 채굴되며, 광물 채굴 및 지열 추출의 새로운 방법에 대한 실험이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다.

라싸의 농업과 축산업은 높은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주민들은 주로 고랭 보리와 겨울 을 재배한다. 수자원 보존, 지열 난방, 태양 에너지 활용이 활발하며 다양한 광물 자원이 풍부하다. 기계와 전통적인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섬유, 가죽, 플라스틱, 성냥 및 자수와 같은 제품을 생산하며, 국가 수공예품의 생산도 크게 발전했다.

관광 및 서비스 부문이 성장하면서, 심각한 오염을 유발했던 산업들은 건강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점차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토양 침식, 산성화, 초목 손실과 같은 환경 문제 해결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관광 산업은 포탈라 궁전, 조캉 사원, 노르부링카 여름 궁전과 주변의 대형 수도원, 그리고 히말라야의 장관과 중앙 아시아 고산지대의 동식물을 바탕으로 지역 경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08년 시위 이후 관광객이 급감했으나, 2009년부터 회복세를 보였다.[64] 중국 당국은 2020년까지 천만 명의 방문객 유치를 목표로 관광 산업 성장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들은 주로 중국 국내 방문객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포탈라 궁전과 같은 역사 유적지 주변 개발과 관련하여 유네스코는 "라싸의 전통적인 도시 경관 악화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65]

바나크 숄 호텔


라싸에는 여러 호텔이 있다. 라싸 호텔은 시 서부 교외 노르부링카 북동쪽에 위치한 4성급 호텔로, 1985년 9월에 완공되었다. 약 1,000명의 손님을 수용할 수 있으며 450개 이상의 객실에는 에어컨, 미니바 등이 갖춰져 있다. 일부 객실은 전통 티베트 스타일로 꾸며져 있다. 이 호텔은 1986년부터 1997년까지 홀리데이 인에서 운영했다.[66] 또 다른 주목할 만한 호텔은 역사적인 바나크 숄 호텔로, 독특한 나무 베란다로 유명하다.[67]

라싸에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사업체도 있다. 라싸 카펫 공장은 티베트 대학교 근처에 위치한 공장으로, 전통적인 티베트 양탄자를 생산하여 전 세계로 수출한다. 티베트에서 가장 큰 러그 제조업체이며 약 300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티베트 여성들이 직조를 담당했지만, 현재는 남녀 모두 러그 제작에 참여한다.

라싸 양조 회사는 1988년 라싸 북부 외곽, 세라 사원 남쪽에 설립되었다. 해발 약 3649.98m에 위치하여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상업 양조장 중 하나이며, 티베트 맥주 생산량의 85%를 차지한다.[68] 5층 건물로 지어진 이 양조장은 건설에 약 2000만달러에서 2500만달러가 소요되었으며, 1994년에는 하루 3만 병을 생산하고 약 200명의 직원을 고용했다.[69] 2000년대 이후 칼스버그는 중국 시장 공략을 강화하며 라싸 양조 회사에 투자하여 양조 시설과 작업 환경을 크게 개선했다. 또한 건물을 개조하고 확장하여 현재 부지 면적은 62240m2에 달한다.[70][71]

7. 건축 및 도시 경관

라싸는 포탈라 궁, 조캉 사원, 세라 사원, 노르부링카를 포함하여 역사적으로 중요한 많은 유적지를 가지고 있다. 이 중 포탈라 궁, 조캉 사원, 노르부링카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72] 그러나 많은 중요 유적지가 1960년대 중국의 문화 대혁명 시기에 심각하게 훼손되거나 파괴되었다.[73][74][75] 다행히 1980년대 이후 많은 유적지가 복원되었다.

포탈라 궁

포탈라 궁관세음보살(첸레지)의 신화 속 거처인 포탈라카 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76] 역대 달라이 라마의 주요 거처였다. 637년 송첸감포 왕이 문성공주를 맞이하기 위해 이곳에 처음 궁전을 지었으며,[13] 현재의 모습은 5대 달라이 라마 롭상 갸초가 그의 영적 고문 중 한 명인 곤초 초펠의 조언에 따라 1645년에 건설을 시작한 것이다.[29] 14대 달라이 라마가 1959년 티베트 봉기 이후 인도로 망명한 뒤에는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199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포탈라 궁 아래에는 서기 764년경에 세워진 라싸 졸 기둥이 있는데[77], 여기에는 티베트 문자의 가장 오래된 예시가 새겨져 있으며[78], 763년 중국 수도 장안(현재의 시안)을 잠시 점령했던 유명한 티베트 장군의 공적 등이 기록되어 있다.[79][81]
초포리('철산'이라는 뜻)는 포탈라 궁 남쪽에 있는 신성한 언덕으로, 티베트 중부의 4대 성산 중 하나이자 라싸의 세 수호자 중 하나인 바즈라파니(금강수보살)를 상징한다.[82] 이곳에는 1413년에 설립되어 5대 달라이 라마의 섭정 상계 갸초가 1697년경 완공한 티베트의 유명한 의과대학인 멘식캉(티베트 의학 대학)이 있었다.

노르부링카

노르부링카는 라싸 서쪽에 위치한 궁전과 공원으로, 면적은 약 36ha에 달해 티베트에서 가장 큰 인공 정원으로 여겨진다.[84][85] 1755년부터 건설되었고,[86] 역대 달라이 라마의 전통적인 여름 별장으로 사용되었다. 매년 여름 쇼둔 축제(요구르트 축제)가 열리는 장소이기도 하다. 1988년 중국 국무원에 의해 '국가 중요 문화 유물'로 지정되었고, 2001년 복원 결정이 내려졌다.

옛 바코르 거리, 1993년.

바코르조캉 사원 주변의 좁은 거리와 광장으로 이루어진 구시가지 지역이다. 길이 약 1km의 이 길은 순례자와 지역 주민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순례 코스였다.[87] 길을 따라 조캉 사원, 라싸의 네충 신탁의 전 거처였던 무루 닝바 수도원, 귀족의 집이었던 트롬지캉과 잠캉 등 여러 중요한 건물이 있으며, 네 방향에는 조캉을 보호하는 신들을 기쁘게 하기 위해 향을 피우는 향로(''상강'')가 있다. 최근에는 현대화 과정에서 많은 오래된 거리와 건물이 철거되고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었으며, 2008년 소요 사태 당시 일부 건물이 피해를 입기도 했다.[88]
조캉 사원은 바코르 광장에 위치하며, 티베트인들에게 가장 신성하고 중요한 사원으로 꼽힌다. 현재는 겔룩파에서 관리하고 있고, 포탈라 궁과 함께 라싸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포탈라 궁 역사 지구'의 일부이다. 수세기 동안 불교 순례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순례길("코라")은 사원 모서리의 네 개의 큰 돌 향로로 표시된다. 4층 건물에 금빛 청동 타일 지붕을 얹은 모습이다. 건축 양식은 인도 비하라 양식을 기반으로 네팔과 당나라 양식이 혼합되었다. 내부에는 첸레지, 파드마삼바바, 송첸감포 왕과 그의 두 외국인 부인인 문성공주(당 태종의 조카)와 네팔의 브리쿠티 공주 등의 조각상이 있다.[89]

라모체 사원

라모체 사원은 조캉 사원 다음으로 중요한 사원으로 여겨지며,[90] 도시 북서쪽에 위치한다. 총면적은 약 4000m2이다. 1960년대에 파괴되었으나 유명한 청동상은 1983년 라싸 쓰레기장과 베이징에서 각각 발견되어 합쳐졌고, 1986년에 부분적으로 복원되었다.[91]

티베트 박물관


현대적인 건축물로는 티베트 박물관이 대표적이다. 1999년 10월 5일에 개관한 티베트 자치구 최초의 대규모 현대 박물관으로, 티베트 예술 작품부터 건축 부재까지 약 1,000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92][93] 포탈라 궁 서쪽 노르부링카 로드 모퉁이에 위치한다.

티베트 평화적 해방 기념비, 포탈라 광장


포탈라 광장에는 티베트 평화적 해방 기념비가 있다. 이는 티베트 평화적 해방을 위한 17개 조항 협정 51주년과 이후 자치구 개발 노력을 기념하기 위해 2002년 5월 포탈라 광장에 공개되었다. 높이 37m의 콘크리트 기념비는 추상화된 에베레스트 산 모양이며, 기념비에는 전 중국 공산당 총서기이자 국가 주석이었던 장쩌민의 서예로 이름이 새겨져 있으며, 지난 50년간 티베트에서 이루어진 사회 경제적 발전에 대한 설명이 담긴 비문이 있다.[94]
링코르는 라싸의 바깥쪽 순례길로, 길이가 약 8km에 달하며 라싸 구시가지, 포탈라 궁, 초포리 언덕을 둘러쌌다. 과거에는 순례자들로 붐볐으나, 도시 개발로 대부분 사라지고 현재는 초포리 서쪽에 일부 구간만 남아 있다.

또한 라싸 시내와 외곽에는 4개의 이슬람교 모스크(사원)가 있다. 가장 오래된 것은 1650년에 세워진 카체 링카이며, 1700년대 초에 지어진 라싸 대모스크, 1716년에 지어진 도크데 모스크(인접 묘지 포함), 1900년대 초에 지어진 작은 모스크(바코르 또는 랩셀 앨리 모스크라고도 불림)가 있다.[95]

8. 문화

라싸의 티베트


라싸시에는 공연자들이 중국어, 표준 티베트어, 영어로 노래하는 카바레 공연을 하는 몇몇 유흥업소가 있다. 댄서들은 팔에서 길게 늘어지는 천을 늘어뜨린 전통 티베트 의상을 입는다. 라이브 음악을 연주하는 작은 바들이 많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음료 메뉴가 제한적이며 주로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곳이다.

སྟོད་གཞས་|두이환bod은 티베트의 지역 음악 및 춤의 한 형태이다.[96] 티베트의 전통적인 두이환은 단 하나의 악기만 사용하지만, 라싸의 두이환은 네 개의 악기를 사용한다. 자인녠친과 양금 외에도, 징후, 대나무 피리, 리듬을 연주하기 위해 특별히 사용되는 현악기인 종이 있다. 그들은 노래와 함께 연주하고, 당기고, 튕기고, 노래한다.[97][98]

티베트 대학교 캠퍼스 (2016)

9. 교육

라싸시에는 티베트 대학교와 티베트 티베트 의학 대학교 2개의 대학교와 라싸 사범학교, 티베트 경찰대학교, 티베트 직업기술대학 3개의 전문대학이 있다.[99]

티베트 대학교( བོད་ལྗོངས་སློབ་གྲྭ་ཆེན་མོ་|티베트어bod )는 티베트 자치구의 주요 대학교이다. 캠퍼스는 라싸 시내 동쪽에 위치한 청관구에 있다. 1952년에 전신이 설립되었으며, 1985년에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정식으로 설립되었다. 약 8,000명의 학생들이 재학 중이며, 티베트 자치구에서 가장 높은 학문 수준을 가진 종합대학교로 평가받는다. 이 대학은 명망 높은 211 공정의 회원이며, 쌍일류 대학 건설 계획의 지원을 받고 있다.[100]

10. 교통

2019년의 라싸 기차역


라싸 쿵가 공항


라싸 시내 주요 도로


=== 철도 ===

라싸는 2006년 칭짱철도(칭하이-티베트 철도)가 개통되면서 철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해발 최고 5072m에 달하는 이 철도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건설된 철도로 알려져 있다. 칭짱철도는 라싸와 약 2000km 떨어진 칭하이성의 성도 시닝을 연결하며, 이를 통해 중국의 광범위한 철도망과 연결된다.[101] 매일 5편의 열차가 라싸 기차역을 오간다. 예를 들어, 베이징 서역에서 출발하는 Z21 열차는 약 40시간 53분이 소요되어 매일 13시 03분에 라싸에 도착한다. 반대로 라싸에서 베이징 서역으로 가는 Z22 열차는 15시 30분에 출발하여 약 40시간 50분 후 베이징에 도착한다. 이 외에도 청두, 충칭, 란저우, 시닝, 광저우, 상하이 등 주요 도시와 라싸를 잇는 열차가 운행된다.[102] 고도가 높은 지역을 운행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고산병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열차 내에는 환기 시스템을 통해 추가 산소가 공급되며, 각 침대 칸에는 개인용 산소 공급 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필요시 개인용 산소 마스크도 제공된다.[103] 연수 침대칸(Soft Sleeper)은 열차당 64석이 있으며, 전자 기기 사용을 위한 전기 콘센트도 갖추어져 있다.[104]

2014년에는 티베트 제2의 도시인 시가체와 라싸를 연결하는 라싸-시가체 철도가 개통되었다.[105][106] 또한, 라싸와 닝치시를 잇고 최종적으로 청두까지 연결될 예정인 쓰촨-티베트 철도는 2015년 6월에 착공되었다.[107]

남아시아 방면으로는 인도 웨스트벵골주 실리구리의 뉴잘파이구리역이 가장 가까운 주요 역이지만, 현재 직접 연결되지는 않는다. 향후 시킴주까지 인도 철도망이 확장되면 연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라싸와 네팔 카트만두를 철도로 연결하는 계획도 논의된 바 있다.[108] 2015년 중국 측 발표에 따르면, 에베레스트산 아래 터널을 통해 카트만두까지 철도를 연장하는 계획이 2020년까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109], 구체적인 진척 상황은 확인이 필요하다.

=== 항공 ===

라싸 쿵가 공항(IATA: '''LXA''')은 1965년에 건설된 티베트의 주요 항공 관문이다.[110] 공항은 라싸 시내 남쪽에 위치하며, 2011년 라싸 공항 고속도로가 완공되면서 차량으로 약 30분 만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고속도로 개통 이전에는 1시간 이상 소요되었다. 2014년 기준으로, 베이징, 청두, 광저우, 상하이 등 중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정기 항공편이 매일 운항하며, 네팔 카트만두행 국제선도 운항한다. 라싸 쿵가 공항은 티베트 항공의 허브 공항으로, 닝치, 응아리 지구, 시가체, 창두 등 티베트 내 다른 지역으로 가는 노선도 제공한다.[111]

=== 도로 ===

라싸는 여러 중요한 국도를 통해 중국 내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 칭하이-티베트 고속도로(G109): 북동쪽으로 시닝을 거쳐 베이징까지 이어진다. 티베트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도로 중 하나이다.
  • 쓰촨-티베트 고속도로(G318): 동쪽으로 청두를 거쳐 상하이까지 연결되며, 서쪽으로는 네팔 국경의 장무까지 이어진다.
  • 신장-티베트 고속도로(G219): 라싸 북쪽에서 시작하여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예청까지 연결되지만, 편의 시설과 주유소가 부족하여 이용률은 낮은 편이다.


라싸 시내와 쿵가 공항을 연결하는 37.68km 길이의 4차선 고속도로는 티베트 교통부가 약 15억위안를 투자하여 건설했다. 이 도로는 중국 국도 318호선의 일부이며, 라싸 기차역에서 시작하여 취수이현의 차이나향을 지나 갈라산 터널 북쪽 입구와 라싸강 다리 남쪽 교차점에서 끝난다. 라싸 최초의 고가도로인 류우 고가차도가 이 도로 구간에 포함되어 있다.[112]

해상 운송을 위한 가장 가까운 항구는 인도 서벵골주콜카타와 할디아이다. 나투라 고개를 통해 중국 기업들은 라싸에서 약 1100km 떨어진 콜카타 항구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

국도 목록
국도 번호명칭주요 경유지
G109칭하이-티베트 고속도로시닝, 베이징 (북동 방향)
G318쓰촨-티베트 고속도로청두, 상하이 (동쪽 방향) / 장무(네팔 국경) (서쪽 방향)
G219신장-티베트 고속도로예청(신장 위구르 자치구) (북쪽 방향)


참조

[1] 웹사이트 Lhasa City Master Plan http://www.gov.cn/zh[...] gov.cn 2017-08-07
[2] 서적 Demographia World Urban Areas. 14th Annual Edition http://www.demograph[...] Demographia
[3] 간행물 Lhasa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Illuminating China's Provinces, Municipalities and Autonomous Regions http://www.china.org[...] China.org.cn 2014-05-17
[5] 웹사이트 Lhasa and the Soul of Tibet https://www.stephenb[...] 2018-10-09
[6] 서적 古城拉萨市区历史地名考 https://books.google[...] Social Sciences Literature Press 2024-03-13
[7] 서적 長江文藝 https://books.google[...] 《长江文艺》 编辑部 2024-03-13
[8] 문서 Anne-Marie Blondeau and Yonten Gyatso, 'Lhasa, Legend and History,' in Françoise Pommaret-Imaeda (ed.)Lhasa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capital of the Dalai Lamas, ''BRILL'', 2003, pp.15–38, pp.21–22.
[9] 문서 John Powers, ''Introduction to Tibetan Buddhism'', Snow Lion Publications, 2007, p.144.
[10] 문서 Anne-Marie Blondeau and Yonten Gyatso, 'Lhasa, Legend and History,' pp.21–22.
[11] 서적 The Bukharans: A Dynastic, Diplomatic and Commercial History 1550-1702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4-03-13
[12] 문서 Stein, R. A. ''Tibetan Civilization'' 1962. Revised English edition, 1972, Faber & Faber, London. Reprint, 1972. Stanford University Press, p. 62.
[13] 문서 Dorje (1999), p. 201.
[14] 문서 Snellgrove, David. 1987. ''Indo-Tibetan Buddhism: Indian Buddhists and Their Tibetan Successors''. 2 Vols. Shambhala, Boston, Vol. II, p. 416.
[15] 문서 Anne-Marie Blondeau, Yonten Gyatso, 'Lhasa, Legend and History,' in Françoise Pommaret(ed.) ''Lhasa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capital of the Dalai Lamas,'' Brill Tibetan Studies Library, 3, Brill 2003, pp.15-38, pp15ff.
[16] 문서 Amund Sinding-Larsen, ''The Lhasa atlas: : traditional Tibetan architecture and townscape,'' Serindia Publications, Inc., 2001 p.14
[17] 문서 Dorje (1999), pp. 68–9.
[18] 서적 Tibet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19] 서적 One hundred thousand moons, Volume 1 https://books.google[...] BRILL
[20] 서적 The historical status of Tibet King's Crown Press, Columbia University
[21] 문서 Bloudeau, Anne-Mari & Gyatso, Yonten. 'Lhasa, Legend and History' in Lhasa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Capital of the Dalai Lamas, 2003, pp. 24-25.
[22] 문서 Bloudeau, Anne-Mari & Gyatso, Yonten. "Lhasa, Legend and History." In: ''Lhasa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Capital of the Dalai Lamas''. Françoise Pommaret-Imaeda, Françoise Pommaret 2003, p. 38. Brill, Netherlands.
[23] 문서 The Ornaments of Lhasa, Islam in Tibet, Produced by Gray Henry
[24] 서적 Hundreds of Deities of Tusita: Commentary on Lama Tsongkhapa Guru Yoga, Translated from Tibetan. Dga' Lha Rgyas Pa'i Bshad Byin Rlabs Kyi Sgo 'byed Ces Bya Ba Bzhugs So/ Commentary on Pabongkha Rinpoché's Zab Lam Dga' Ldan Brgya Ma'i Rnal 'byor Nyams Su Len Tshul Snyan Brgyud Zhal https://books.google[...] Awakening Vajra Publications 2024-03-13
[25] 문서 Dorje (1999), p. 69.
[26] 서적 The Magician of Lhasa: A Matt Lester Spiritual Thriller https://books.google[...] Hay House 2024-03-13
[2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Early Period of Buddhism and Bon in Tibet http://studybuddhism[...] Study Buddhism 2016-06-20
[28] 문서 Laird, Thomas. (2006). ''The Story of Tibet: Conversations with the Dalai Lama'', pp. 175. Grove Press, New York.
[29] 문서 Karmay, Samten C. (2005). "The Great Fifth", p. 1. Downloaded as a pdf file on 16 December 2007 from: http://www.iias.nl/n[...] 2007-12-16
[30] 문서 Rolf Stein|Stein, R. A. ''Tibetan Civilization'' (1962). Translated into English with minor revisions by the author. 1st English edition by Faber & Faber, London (1972). Reprin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2), p. 84
[31] 문서 Emily T. Yeh,'Living Together in Lhasa: Ethnic Relations, Coercive Amity, and Subaltern Cosmopolitanism,' in Shail Mayaram (ed.) ''The other global city,'' Taylor & Francis US. 2009, pp.54-85, pp.58-7.
[32] 서적 Nepal and the Geo-Strategic Rivalry between China and In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4-03-13
[33] 서적 共和国相册, 1949-1998 https://books.google[...] 红旗出版社 2024-03-13
[34] 서적 西藏历代的边事边政与边吏 https://books.google[...] Social Sciences Literature Press 2024-03-13
[35] 서적 China's Tibet Polic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4-03-13
[36]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Kingdom Guge: History of Ngari Rosary of White Pearl, A Youngster's Ornament https://books.google[...] Library of Tibetan Works & Archives 2024-03-13
[37] 서적 拉萨史话 https://books.google[...] Social Sciences Literature Press 2024-03-13
[38] 서적 中国城市年鉴 1994 中国城市年鉴社 1994
[39] 서적 和平解放以来民族政策西藏实践绩效研究 https://books.google[...] Social Sciences Literature Press 2024-03-13
[40] 서적 Lhasa: Streets with Memories Columbia University Press
[41] 서적 'Living Together in Lhasa: Ethnic Relations, Coercive Amity, and Subaltern Cosmopolitanism'
[42] 서적
[43] 서적 西藏藏族人口相关数据分析研究 https://books.google[...] Social Sciences Literature Press 2024-03-13
[44] 서적 National Geographic Atlas of China National Geographic, Washington D.C.
[45] 서적
[46] 서적 Lhasa: streets with memories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47] 서적 拉萨史话 https://books.google[...] Social Sciences Literature Press 2024-03-13
[48] 서적 西藏园林植物生态环境效益定量研究 https://books.google[...] Social Sciences Literature Press 2024-03-13
[49] 서적 西藏园林植物生态环境效益定量研究 https://books.google[...] Social Sciences Literature Press 2024-03-13
[50]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5-04-06
[51] 서적 China Statistics Print 2012
[52] 웹사이트 http://old-cdc.cma.g[...]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05-04
[53]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0-04-15
[54]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4-11
[55] 웹사이트 http://old-cdc.cma.g[...]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05-25
[56] 웹사이트 Extreme Temperatures Around the World http://www.mherrera.[...] 2013-02-21
[57] 웹사이트 55591: Lhasa (China) https://ogimet.com/c[...] OGIMET 2022-03-28
[58] 웹사이트 Lhasa - Encyclopedia https://theodora.com[...]
[59] 서적 Lhasa: Streets with Memories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
[60] 서적 The other global cit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US 2010-06-28
[61] 서적
[62] 서적
[63] 웹사이트 拉萨市人民政府 http://www.lasa.gov.[...]
[64] 뉴스 Tibet tourism warms as spring comes http://news.xinhuane[...] Xinhua 2009-02-13
[65] 뉴스 Tourism drive 'is destroying Tibet' https://www.telegrap[...] Telegraph 2005-04-08
[66] 웹사이트 Lhasa Hotel in Lhasa, China - Lonely Planet http://hotels.lonely[...] Hotels.lonelyplanet.com 2013-03-26
[67] 웹사이트 Lonely Planet http://hotels.lonely[...]
[68] 웹사이트 Lhasa beer from Tibet makes US debut http://www.tibetsun.[...] Tibet Sun 2009-08-12
[69] 서적 Brewing at the Top of the World http://www.gluckman.[...] Asia, Inc.
[70] 웹사이트 Carlsberg China http://www.carlsberg[...] Carlsberg Group 2009-09-27
[71] 웹사이트 The Beer http://www.lhasabeer[...] Lhasa Beer USA 2009-09-27
[72] 웹사이트 Historic Ensemble of the Potala Palace, Lhasa https://whc.unesco.o[...] unesco 2008-02-10
[73] 서적 Tibet Lonely Planet
[74] 서적 The Power-Places of Central Tibet: The Pilgrim's Guide Routledge & Kegan Paul, Ltd., London and New York
[75] 서적 The Story of Tibet: Conversations with the Dalai Lama Grove Press, New York
[76] 서적 Tibetan Civilization Faber & Faber, London (1972). Reprin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2)
[77] 문서 Richardson (1985), p. 2
[78] 웹사이트 Tibetan writing http://www.blackwell[...] Blackwell Reference Online 2009-10-20
[79] 문서 Snellgrove and Richardson (1995), p. 91.
[80] 문서 Richardson (1984), p. 30.
[81] 문서 Beckwith (1987), p. 148.
[82] 서적 Tibetan Civiliz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Stanford, California
[83] 서적 The Power-Places of Central Tibet: The Pilgrim's Guide Routledge & Kegan Paul Ltd., London
[84] 웹사이트 Norbulingka Palace http://www.tibetctri[...] Tibet Tours 2010-05-18
[85] 웹사이트 Norbulingka http://www.cultural-[...] Cultural China 2010-05-23
[86] 문서 Tibet (1986), p.71
[87] 서적 The Power-Places of Central Tibet: The Pilgrim's Guide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and New York
[88] 뉴스 Trashing the Beijing road http://www.economist[...] 2010-02-03
[89] 서적 Tibetan Folktal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4-03-13
[90] 서적 Goddesses Who Rul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3-13
[91] 서적 The Power-Places of Central Tibet: The Pilgrim's Guide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92] 웹사이트 The Tibet Museum http://zt.tibet.cn/e[...] China Tibet Information Center 2010-05-18
[93] 웹사이트 Tibet Museum http://www.chinamuse[...] China Museums 2010-05-18
[94] 웹사이트 Monument to Tibet Peaceful Liberation Unveiled http://www.xzta.gov.[...] China Tibet Tourism Bureau 2010-10-26
[95] 서적 Islamic Shangri-La:Inter-Asian Relations and Lhasa's Muslim Communities, 1600 to 196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6] 서적 中国民间歌舞音乐(修订版) https://books.google[...] 人民音乐出版社 2024-03-13
[97] 뉴스 中国西藏 http://www.ctibet.or[...] 2024-03-13
[98] 서적 寻找锅庄舞-藏地锅庄的历史、社会、体育考察 https://books.google[...] Social Sciences Literature Press 2024-03-13
[99] 웹사이트 全国高等学校名单 -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政府门户网站 http://www.moe.gov.c[...] 2022-06-18
[100] 웹사이트 教育部 财政部 国家发展改革委关于公布世界一流大学和一流学科建设高校及建设学科名单的通知 -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政府门户网站 http://www.moe.gov.c[...]
[101] 웹사이트 World's highest railway Qinghai-Tibet Railway to be extended to Xigaze from Lhasa - Apple Travel http://www.appletrav[...]
[102] 웹사이트 How to Get to Lhasa http://chinatour.net[...] 2015-03-23
[103] 뉴스 Train 27, Now Arriving Tibet, in a 'Great Leap West' https://www.washingt[...] 2010-05-07
[104] 웹사이트 The train to Lhasa, Tibet - What You Can Expect https://www.onceinal[...] 2017-06-07
[105] 서적 IIRF Strategic Yearbook 2022-23 https://books.google[...] Notion Press 2024-03-13
[106] 서적 Handbook of Research on Special Economic Zones as Regional Development Enablers https://books.google[...] IGI Global 2024-03-13
[107] 뉴스 http://www.chinatibe[...] China Tibet News 2014-01-15
[108] 뉴스 Extend Tibet railway line to Kathmandu, Nepal tells China http://archive.india[...] The Indian Express 2009-10-12
[109] 뉴스 China may build rail tunnel under Mount Everest, state media reports http://www.theguardi[...] 2015-04-09
[110] 서적 The Evolution and Preservation of the Old City of Lhasa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Singapore 2024-03-13
[111] 서적 IIRF Strategic Yearbook 2022-23 https://books.google[...] Notion Press 2024-03-13
[112] 웹사이트 New highway linking Lhasa to Gonggar Airport to be built http://english.china[...]
[113] 뉴스 拉萨市规模最大群众文化体育中心开建-西藏自治区体育局 http://sport.xizang.[...]
[114] 뉴스 西藏:规模最大的群众文化体育中心近日竣工并验收_藏人文化网 https://www.tibetcul[...] 2024-03-13
[115] 서적 The Geoeconomics and Geopolitics of Chinese Development and Investment in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4-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