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흥덕사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주 흥덕사지는 충청북도 청주시에 있었던 사찰 터이다. 1984년 택지 조성 중 발견되었으며, 1985년 청주대학교의 발굴 조사를 통해 '서원부 흥덕사'임을 확인하는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9세기 경에 지어져 15세기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되며, 1377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인 직지를 인쇄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북도의 사적 - 보은 삼년산성
보은 삼년산성은 신라 시대에 축조되어 삼국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한 돌로 쌓은 산성으로, 축성에 3년이 걸렸다는 기록에서 유래되었으며, 성 내부 유적과 출토 유물은 당시 신라의 건축 기술과 사회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충청북도의 사적 - 청주 상당산성
청주 상당산성은 청주시 시가지에 인접한 산 정상에 축조된 둘레 약 4.2km의 산성으로, 통일신라 시대에 축성되었으며 조선 시대 수축과 개축을 거쳐 현재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 청주시의 문화유산 - 청주 상당산성
청주 상당산성은 청주시 시가지에 인접한 산 정상에 축조된 둘레 약 4.2km의 산성으로, 통일신라 시대에 축성되었으며 조선 시대 수축과 개축을 거쳐 현재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 청주시의 문화유산 -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청주 흥덕사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청주 흥덕사지 |
원어 이름 | 청주 흥덕사지 (淸州 興德寺址) |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운천동) |
발견 | 1985년 |
문화 | 불교 |
지정 번호 | 사적 제315호 |
지정일 | 1986년 5월 7일 |
면적 | 34,337m² |
관련 박물관 | 청주고인쇄박물관 |
역사 | |
건립 시기 | 848년 이전 |
추가 정보 | |
웹사이트 | 청주시 직지월드 |
참고 | 문화재청 |
2. 역사
1377년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을 인쇄한 곳으로, 이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이다. 1985년 발굴 당시 주춧돌만 남아있던 금당은 1991년에 80.05m2 규모로 복원되었다.[10] 현재 부지 안에는 청주고인쇄박물관과 근현대인쇄전시관이 있다.
2. 1. 사찰의 창건과 폐사
흥덕사는 그동안 문헌상으로만 ‘청주목외(淸州牧外) 흥덕사’라고 전해져 왔고, 그 위치는 확인되지 않았다. 1984년 한국토지개발공사가 운천동에 택지를 조성하면서 이름 없는 절터가 발견되었다. 1985년 청주대학교 주관하에 발굴조사가 시작되었다. 조사 결과 금당터·서회랑터·강당터·부속건물들이 있던 건물터가 확인되었고, ‘서원부 흥덕사(西原府興德寺)’라고 새겨진 금구(禁口) 조각과 ‘황통 10년(皇統十年)… 흥덕사(興德寺)’라고 새겨진 청동불발(靑銅佛鉢) 뚜껑이 나와 흥덕사임이 확인되었다. ‘대중 3년명(大中 3年銘)’이라고 새겨진 기와가 출토되어 849년(문성왕 11)에 이미 이곳에서 불사가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출토된 유물로는 기와·전(塡)·치미편(鴟尾片)·방추차(紡錘車)·민무늬토기편[無文土器片] 등의 토제품과 금구(禁口)·소종(小鐘)·금강저(金剛杵)·향로(香爐)·수반(水盤) 등의 청동제품이 있다. 유물들로 보아 늦어도 9세기에 지어져서 15세기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8][9]3. 발굴 조사
1984년 한국토지개발공사가 운천동에 택지를 조성하면서 이름없는 절터가 발견되었다. 1985년 청주대학교 주관으로 발굴조사가 시작되었다. 조사 결과 금당터, 서회랑터, 강당터, 부속 건물터 등이 확인되었고, ‘서원부 흥덕사(西原府興德寺)’라고 새겨진 금구(禁口) 조각과 ‘황통 10년(皇統十年)… 흥덕사(興德寺)’라고 새겨진 청동불발(靑銅佛鉢) 뚜껑이 나와 흥덕사 터임이 확인되었다. ‘대중 3년명(大中 3年銘)’이 새겨진 기와가 출토되어 849년(문성왕 11)에 이미 이곳에서 불사가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8][9] 유물로는 기와, 전(塡), 치미편(鴟尾片), 방추차(紡錘車), 민무늬토기편[無文土器片] 등 토제품과 금구(禁口), 소종(小鐘), 금강저(金剛杵), 향로(香爐), 수반(水盤) 등 청동제품이 출토되었다.
4. 현재
1985년 발굴 당시 주춧돌만 남아있던 금당은 1991년에 80.05m2 규모로 복원되었다.[10] 부지 안에는 청주고인쇄박물관과 근현대인쇄전시관이 건립되어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의 가치와 한국 인쇄 문화의 역사를 널리 알리고 있다.
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Heungdeoksa Temple Site
https://artsandcultu[...]
Google Arts and Culture
2020-07-03
[2]
웹사이트
Heungdeoksa Temple Site, Cheongju (Historic Site No. 315)
http://english.cha.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0-07-03
[3]
웹사이트
Info
https://cheongju.go.[...]
2020-07-03
[4]
웹사이트
청주 흥덕사지
https://terms.naver.[...]
[5]
웹사이트
우리가 바로 한국문화유산 홍보대사
http://jikji.prkorea[...]
[6]
웹사이트
Info
https://cheongju.go.[...]
2020-07-03
[7]
웹사이트
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
https://artsandcultu[...]
Google Arts and Culture
2020-07-03
[8]
두산백과
청주 흥덕사지
https://terms.naver.[...]
[9]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청주 흥덕사지
https://terms.naver.[...]
[10]
뉴스
청주 흥덕사지 금당, 단청 벗겨진 채 '방치'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