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스 타이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스 타이틀은 체스 선수들의 실력을 평가하고 인정하는 칭호로, 국제 체스 연맹(FIDE)과 각 국가의 체스 연맹에서 수여한다. FIDE는 그랜드마스터(GM)를 최고 등급으로, 인터네셔널 마스터(IM), FIDE 마스터(FM), 캔디데이트 마스터(CM) 등의 오픈 타이틀과 여성 전용 타이틀을 포함한 다양한 타이틀을 수여하며, 온라인 아레나 타이틀과 체스 심판 및 트레이너를 위한 타이틀도 운영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내셔널 마스터(NM) 타이틀을 자체적으로 수여하기도 한다. 국제 서신 체스 연맹(ICCF)은 통신 체스 선수들을 위한 타이틀을 수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스 칭호 - 그랜드마스터 (체스)
그랜드마스터는 체스에서 뛰어난 기량을 가진 선수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1950년 국제 체스 연맹(FIDE)에 의해 공식 칭호로 제정되었으며, 최근에는 타이틀 인플레이션 논의와 함께 2700점 이상의 최정상급 그랜드마스터를 "슈퍼 그랜드마스터"라고 부르기도 한다. - 체스 - 아티피셜 캐슬링
- 체스 - 대국 시계
대국 시계는 체스, 장기, 바둑 등 시간제한 경기에서 사용되는 도구로, 모래시계에서 디지털 시계로 발전해 왔으며 다양한 시간 측정 방식과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공정한 경기 진행을 위한 규칙과 게임별 사용 방식의 차이가 있다.
체스 타이틀 | |
---|---|
체스 타이틀 | |
![]() | |
개요 | |
종류 | 그랜드마스터 (GM) 인터내셔널 마스터 (IM) FIDE 마스터 (FM) 캔디데이트 마스터 (CM) |
관리 기관 | FIDE |
자격 요건 | 레이팅 점수 및 규정 준수 |
2. 일반 체스
일반적으로 "체스 마스터"는 대부분의 아마추어 선수를 이길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을 갖춘 선수를 의미하며, 체스 선수 사이에서는 그냥 '마스터'라고 불리기도 한다.
국제 체스 연맹(FIDE)이 설립되면서 특정 국가 내에 한정되는 "내셔널 마스터" 칭호보다 상위의 칭호가 만들어졌다. 1950년 FIDE는 그랜드마스터(GM)와 인터네셔널 마스터(IM)라는 칭호를 처음으로 만들었고, 타이틀 자격 요건은 수 년이 지나면서 점점 정교화되었다. 1978년에는 FIDE 마스터(FM)라는 그보다 더 낮은 등급의 칭호가 추가되었다.[2]
2. 1. 마스터 타이틀의 초기 사용
국제 체스 연맹(FIDE)이 설립되기 전, '마스터' 칭호는 대중의 호평에 따라 비공식적으로 주어졌다. 실력이 뛰어난 선수들은 체스 경기에서 자신의 실력을 과시하며 "체스 마스터"라는 명성을 얻었다.[2]19세기 후반, 세계적으로 체스가 보급되면서 이 용어는 조직 차원에서 부여되기 시작했다. 당시 권위 있는 체스 대회 중 하나는 1876년 독일 체스 연맹이 처음으로 주최한 DSB 대회였다. DSB의 마스터 칭호 기준은 마이스테르드리텔(Meisterdrittel)이었다. 즉, DSB 대회 프리미어 토너먼트에서 1/3 이상의 게임에 승리해야 했다. 하우프투르니어(Hauptturnier) 또는 '예비' 종목 우승자는 다음 대회 프리미어 토너먼트에 출전해 마이스테르드리텔를 취득할 기회를 얻었다.[3][4]
2. 2. FIDE 타이틀
국제 체스 연맹(FIDE)은 특정 국가 내에 한정되는 "내셔널 마스터" 칭호보다 상위의 칭호를 만들기 위해 1950년에 그랜드마스터(GM)와 인터네셔널 마스터(International Master, IM) 칭호를 처음으로 만들었다. 타이틀 자격 요건은 수 년에 걸쳐 점점 정교화되었으며, 1978년에는 FIDE 마스터(FIDE Master, FM)라는 더 낮은 등급의 칭호가 추가되었다.[2]2024년 기준 FIDE가 유지, 수여하는 칭호는 다음과 같다.[5]
- 그랜드마스터(Grandmaster, GM): 체스 선수가 얻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칭호이다. 그랜드마스터가 되려면 FIDE 레이팅 2500 이상을 한 번이라도 달성하고, 다른 그랜드마스터가 참여하는 토너먼트(노름(Norm))에서 최소 3회 이상 좋은 성적을 거두어야 한다.
- 인터네셔널 마스터(International Master, IM): 최소 레이팅 2400 이상과 노름 3개가 필요하다. 노름 취득 요건은 GM 타이틀보다 낮다.
- FIDE 마스터(FIDE Master, FM): 최소 레이팅 2300 이상이 필요하며, 노름은 필요하지 않다.
- 캔디데이트 마스터(Candidate Master, CM): 최소 레이팅 2200 이상이 필요하며, 노름은 필요하지 않다.
위 타이틀은 '오픈 타이틀'로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열려 있다. 여성 체스 선수만을 위한 별도의 타이틀도 있다.[6]
- 여성 그랜드마스터(Woman Grand Master, WGM): 최소 레이팅 2300 이상과 노름 3개가 필요하다.
- 여성 인터네셔널 마스터(Woman International Master, WIM): 최소 레이팅 2200 이상과 노름 3개가 필요하며, 노름 취득 요건은 WGM 타이틀보다 낮다.
- 여성 FIDE 마스터(Woman FIDE Master, WFM): 최소 레이팅 2100 이상이 필요하며, 노름은 필요하지 않다.
- 여성 캔디데이트 마스터(Woman Candidate Master, WCM): 최소 레이팅 2000 이상이 필요하며, 노름은 필요하지 않다.
1978년 노나 가프린다슈빌리를 시작으로 2024년 9월 기준 총 42명의 여성이 GM 타이틀을 획득했다.[7]
위의 모든 타이틀은 특정 상위 레벨 토너먼트에서 상위권 또는 그에 근접한 성적을 거두어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GM 타이틀은 월드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자에게 수여된다.[8]
FIDE는 FIDE 온라인 아레나를 통해 온라인 체스 선수에게 다음과 같은 아레나 타이틀을 수여한다(성별 무관).[9]
- 아레나 그랜드마스터(Arena Grandmaster, AGM): 최소 온라인 FIDE 레이팅 2000 이상.
- 아레나 인터네셔널 마스터(Arena International Master, AIM): 최소 온라인 FIDE 레이팅 1700 이상.
- 아레나 FIDE 마스터(Arena FIDE Master, AFM): 최소 온라인 FIDE 레이팅 1400 이상.
- 아레나 캔디데이트 마스터(Arena Candidate Master, ACM): 최소 온라인 FIDE 레이팅 1100 이상.
아레나 타이틀은 노름이 필요 없지만, 최소 불릿 게임 150회, 블리츠 게임 100회, 또는 레피드 게임 50회를 연속으로 플레이하고 필요한 최소 온라인 FIDE 레이팅을 유지해야 한다.
FIDE는 체스 심판과 트레이너에게도 별도의 타이틀을 부여한다.
2. 3. 내셔널 마스터
일부 국가의 체스 연맹은 자체적으로 내셔널 마스터(National Master, NM)를 수여한다. 각국의 체스 연맹은 이러한 NM 타이틀을 원하는 기준을 자유롭게 설정하여 부여할 수 있으며, FIDE에서는 공식적으로 이 타이틀을 인정하지 않는다. 각국마다 마스터의 기준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특정한 레이팅 달성, 특정 수준에서 필요한 토너먼트 경기 수(노름) 달성, 해당 국가의 선수권 대회에서 두드러진 활약 등을 기준으로 선정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저명한 체스 행정가나 기업 후원자, 정치인 등에게 수여하는 명예 칭호로 활약하기도 한다. 다만 1978년 FIDE가 마스터 타이틀을 제정한 이후 아일랜드나 독일 같은 일부 체스 연맹은 NM 타이틀이 의미가 없다고 판단해 수여를 중단했다.3. 서신 체스
국제 서신 체스 연맹(ICCF)은 인터내셔널 마스터, 시니어 인터네셔널 마스터, 국제 서신 체스 그랜드마스터 타이틀을 수여하며, 이는 FIDE가 일반 보드 체스에서 수여하는 타이틀과 유사하다.[10] ICCF는 세계 통신 체스 선수권 대회도 개최한다. 통신 체스 대회는 오랜 기간 지속될 수 있어 대회 기간이 중복되기도 한다. 2005년 2월에야 2003년 6월에 시작된 제18회 통신 체스 선수권 대회 우승자로 요프 판오스테롬이 선언되었고, 당시 2002년 3월에 시작된 제17회 선수권 대회는 우승자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였다.
참조
[1]
웹사이트
FIDE Handbook: Chess Rules. 1.0. Requirements for the titles designated in 0.31.
http://www.fide.com/[...]
World Chess Federation
2006-12-09
[2]
웹사이트
Deutschen Schachkongresse
http://www.endgame.n[...]
[3]
웹인용
DSB 1. Teil
http://www.ballo.de/[...]
2008-02-03
[4]
웹인용
DSB 2. Teil
http://www.ballo.de/[...]
2008-02-03
[5]
웹인용
B. Permanent Commissions / 01. International Title Regulations (Qualification Commission) / FIDE Title Regulations effective from 1 July 2017
https://handbook.fid[...]
Fide.com
2020-08-09
[6]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hess
Oxford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Current FIDE lists of top players with their titles
http://www.fide.com/[...]
2006-12-11
[8]
웹인용
B. Permanent Commissions / 01. International Title Regulations (Qualification Commission) / FIDE Title Regulations effective from 1 January 2023 / FIDE Handbook
https://handbook.fid[...]
2023-05-03
[9]
웹인용
What is the FOA Title? {{!}} FIDE Online Arena Help Center
https://support.ches[...]
2024-02-04
[10]
웹인용
ICCF Rules
https://webfiles.icc[...]
ICCF
2024-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