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여자 월드컵, 올림픽 축구,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 기록이 없다.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2007년 A그룹 2조 2위를 기록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2024년에는 UEFA 여자 유로 2025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포르투갈에 패배하여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의 축구 -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은 체코를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후 1994년 창단되었으며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1976년 우승(체코슬로바키아), 1996년 준우승, FIFA 월드컵 2006년 1회 출전 기록을 가지고 있고, 이반 하셰크 감독이 이끌며 에덴 아레나와 레트나 스타디온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체코의 축구 - 체코 축구 협회
체코 축구 협회는 체코의 축구를 관할하는 기관으로, 1901년 보헤미안 축구 연합으로 설립되어 체코슬로바키아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을 운영하고, 포르투나 리가와 같은 리그 및 컵 대회를 관리 및 주관한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를 대표하는 팀으로,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등의 초기 성적 이후 침체기를 겪었으나, SAFF 여자 챔피언십 4연패 등으로 부활했으나, FIFA 여자 월드컵과 올림픽 본선 진출은 아직 이루지 못했으며, 현재 주장은 Loitongbam Ashalata Devi이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0년 아라비아컵으로 국제 무대에 데뷔했으나, 국제 대회 성적은 저조하고 AFC 여자 아시안컵 및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으며, 정보 부족으로 선수 명단이나 코칭 스태프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접근이 제한적이다.
체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없음) |
협회 | 체코 축구 협회 (FAČR) |
대륙 | 유럽 축구 연맹 (UEFA) |
감독 | TBA (미정) |
주장 | TBA (미정) |
최다 출장 선수 | 루치에 마르틴코바 (125) |
최다 득점 선수 | 가브리엘라 흘루메츠카 (52) |
홈 경기장 | 다양 |
FIFA 코드 | CZE |
FIFA 최고 랭킹 | 19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06년 9월 – 2007년 12월 |
FIFA 최저 랭킹 | 37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17년 9월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cze22H pattern_b1: _cze22H pattern_ra1: _cze22H pattern_sh1: _cze22H pattern_so1: _cze22H leftarm1: E00000 body1: E00000 rightarm1: E00000 shorts1: FFFFFF socks1: 0042FF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cze22a pattern_b2: _cze22a pattern_ra2: _cze22a pattern_sh2: _cze22a pattern_so2: _cze22a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0042FF socks2: FFFFFF |
경기 정보 | |
첫 경기 | 6–0 (체코; 1993년 6월 21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0–12 (빌뉴스, 리투아니아; 1997년 10월 10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0–9 (프라하, 체코; 1994년 9월 24일) |
감독 정보 (일본어 문서 기반) | |
감독 | 카렐 라다 |
주장 정보 (일본어 문서 기반) | |
주장 | 페트라 베르톨도바 |
2. 국제 대회 경력
FIFA 여자 월드컵, 올림픽 축구,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 기록은 현재까지 없다.
2. 1. FIFA 여자 월드컵
남자 대표팀이 FIFA 월드컵 본선에 9번 출전한 것과는 달리, 여자 대표팀은 현재까지 월드컵 본선 진출 기록이 없다. 그나마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A그룹 2조에서 5승 1무 2패, 조 2위를 기록하며 체코 여자 축구 역사상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FIFA 여자 월드컵 기록 | rowspan=15| | 예선 기록 | ||||||||||||||
---|---|---|---|---|---|---|---|---|---|---|---|---|---|---|---|---|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
로 참가 | colspan=7| | |||||||||||||||
1991 | 진출 실패 | UEFA 유로 1991 | ||||||||||||||
로 참가 | colspan=7| | |||||||||||||||
1995 | 진출 실패 | UEFA 유로 1995 | ||||||||||||||
1999 | 6 | 4 | 2 | 0 | 37 | 2 | +35 | |||||||||
2003 | 6 | 0 | 0 | 6 | 6 | 23 | -17 | |||||||||
2007 | 8 | 5 | 1 | 2 | 20 | 8 | +12 | |||||||||
2011 | 8 | 4 | 1 | 3 | 19 | 6 | +13 | |||||||||
2015 | 10 | 4 | 2 | 4 | 21 | 18 | +3 | |||||||||
2019 | 8 | 4 | 2 | 2 | 20 | 8 | +12 | |||||||||
2023 | 8 | 3 | 2 | 3 | 25 | 10 | +15 | |||||||||
2027 | 미정 | 미정 | ||||||||||||||
합계 | - | - | - | - | - | - | - | - | 54 | 24 | 10 | 20 | 148 | 75 | +73 |
:'*무승부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를 포함합니다.'
2. 2. 올림픽 축구
2. 3.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여자 유로 대회 본선 기록은 현재 없다. 다만 UEFA 여자 유로 2022 예선에서 5승 1무 2패, D조 2위로 사상 첫 여자 유로 대회 예선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뤄냈다.[6][7][8][9]UEFA 여자 선수권 대회 기록 | |||||||
---|---|---|---|---|---|---|---|
연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로 | |||||||
1984 | 불참 | ||||||
1987 | 불참 | ||||||
1989 | 예선 탈락 | 10 | 4 | 5 | 1 | 11 | 6 |
1991 | 예선 탈락 | 6 | 3 | 0 | 3 | 8 | 10 |
1993 | 예선 탈락 | 4 | 2 | 1 | 1 | 7 | 6 |
로 | |||||||
1995 | 예선 탈락 | 6 | 0 | 3 | 3 | 5 | 23 |
1997 | 예선 탈락 | 8 | 6 | 0 | 2 | 32 | 7 |
2001 | 예선 탈락 | 8 | 6 | 1 | 1 | 22 | 7 |
2005 | 예선 탈락 | 10 | 4 | 1 | 5 | 16 | 20 |
2009 | 예선 탈락 | 10 | 4 | 2 | 4 | 19 | 7 |
2013 | 예선 탈락 | 8 | 4 | 1 | 3 | 16 | 9 |
2017 | 예선 탈락 | 8 | 3 | 1 | 4 | 13 | 18 |
2022 | 예선 탈락 | 10 | 5 | 3 | 2 | 26 | 11 |
2025 | 예선 탈락 | 10 | 2 | 3 | 5 | 16 | 16 |
총합 | - | 98 | 43 | 21 | 34 | 191 | 140 |
- 승부차기로 결정된 녹아웃 경기의 무승부 포함
3. 최근 경기 결과 및 일정
다음은 지난 12개월 동안 체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치른 경기 결과와 앞으로 예정된 경기 목록이다.
승리 | 무승부 | 패배 | 경기 일정 |
2024년에 치러진 경기들의 상세 정보는 하위 섹션 '2024년'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2024년
2024년에 체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경기를 치렀다.경기 종류 | 날짜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체코 득점 선수 | 경기 장소 | 관중 수 | 비고 |
---|---|---|---|---|---|---|---|---|
친선 경기 | 2024년 2월 21일 | 포르투갈 | 3–1 | 체코 | 키로바 (83') | 안토니오 코임브라 다 모타 스타디움, 에스토릴, 포르투갈 | 1,000 | |
친선 경기 | 2024년 2월 24일 | 체코 | 1–2 | 대한민국 | 바르토노바 (53') | 포르투갈 | ||
유로 2025 예선 | 2024년 4월 5일 | 체코 | 1–3 | 덴마크 | 스타슈코바 (42') | 미로슬라바 발렌티 스타디움, 우헤르스케 흐라디슈테, 체코 | ||
유로 2025 예선 | 2024년 4월 9일 | 스페인 | 3–1 | 체코 | 손탁고바 (56') | 엘 플란티오 스타디움, 부르고스, 스페인 | ||
유로 2025 예선 | 2024년 5월 31일 | 체코 | 1–2 | 벨기에 | 두브초바 K. (86' 페널티킥) | 포르투나 아레나, 프라하, 체코 | 5,892 | |
유로 2025 예선 | 2024년 6월 4일 | 벨기에 | 1–1 | 체코 | 두브초바 (19') | 스테이엔, 신트트라위던, 벨기에 | ||
유로 2025 예선 | 2024년 7월 12일 | 체코 | 2–1 | 스페인 | 스비트코바 (44), 바르토노바 (51 페널티킥) | 레트니 스타디온, 호무토프, 체코 | ||
유로 2025 예선 | 2024년 7월 16일 | 덴마크 | 2–0 | 체코 | 베일레 스타디움, 베일레, 덴마크 | 3,303 | ||
유로 2025 예선 플레이오프 | 2024년 10월 25일 | 벨라루스 | 1–8 | 체코 | 키로바 (2), 스비트코바 (6, 20), 두브초바 K. (34, 38), 스타슈코바 (48), 바르토노바 (52), 체르나 (75) | 그라드스키 스타디온 벨리카 고리차, 벨리카 고리차, 크로아티아 | 10[1] | |
유로 2025 예선 플레이오프 | 2024년 10월 29일 | 체코 | 0–0 | 벨라루스 | 그라드스키 스타디온 벨리카 고리차, 벨리카 고리차, 크로아티아 | 18[2] | ||
유로 2025 예선 플레이오프 | 2024년 11월 29일 | 포르투갈 | 1–1 | 체코 | 스비트코바 (33') | 에스타디오 두 드라강, 포르투, 포르투갈 | 40,189[3] | |
유로 2025 예선 플레이오프 | 2024년 12월 3일 | 체코 | 1–2 | 포르투갈 | 스비트코바 (35' 페널티킥) | 나 스틴라들레흐, 테플리체, 체코 | 5,203[4] |
2024년 11월 29일과 12월 3일에 포르투갈을 상대로 치러지는 UEFA 여자 유로 2025 예선 경기를 위해 23명의 선수가 소집되었다.[10]
- 출장 횟수와 골 기록은 벨기에와의 경기가 끝난 2024년 6월 4일을 기준으로 한다.
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 출장 횟수 | 골 | 소속 클럽 |
---|---|---|---|---|---|
GK | 보티코바 | 1996년 9월 13일 | 42 | 0 | 슬라비아 프라하 |
GK | 라도바 | 1998년 4월 30일 | 1 | 0 | 빅토리아 플젠 |
GK | 일코바 | 2005년 8월 23일 | 0 | 0 | SK 슬라비아 프라하 |
DF | 벤도바 | 2005년 4월 3일 | 0 | 0 | 슬라비아 프라하 |
DF | 베르톨도바 | 1984년 11월 24일 | 118 | 4 | 스파르타 프라하 |
DF | 데디노바 | 1994년 3월 9일 | 35 | 1 | 스파르타 프라하 |
DF | 페치코바 | 2001년 3월 30일 | 16 | 1 | 슬로바츠코 |
DF | 스타로바 | 1998년 10월 12일 | 30 | 1 | 스파르타 프라하 |
DF | 슬라이소바 | 2000년 4월 7일 | 38 | 0 | 슬라비아 프라하 |
MF | 바르토노바 | 1993년 10월 17일 | 76 | 4 | 스파르타 프라하 |
MF | 차히노바 | 1993년 12월 20일 | 107 | 10 | 레알 소시에다드 |
MF | 체르나 | 1997년 7월 22일 | 33 | 2 | 스파르타 프라하 |
MF | 두브초바 | 1999년 1월 17일 | 49 | 15 | 장크트푈텐 |
MF | 키로바 | 2000년 2월 3일 | 30 | 5 | 스파르타 프라하 |
MF | 코트르초바 | 2000년 4월 27일 | 13 | 1 | 스파르타 프라하 |
MF | 크레이치리코바 | 1996년 6월 21일 | 50 | 5 | 슬라비아 프라하 |
MF | 폴차로바 | 2002년 7월 24일 | 1 | 0 | 슬라비아 프라하 |
MF | 흘로우호바 | 2004년 1월 25일 | 0 | 0 | 슬로반 리베레츠 |
MF | 스비트코바 | 1996년 3월 20일 | 58 | 25 | 슬라비아 프라하 |
MF | 손타코바 | 2001년 7월 26일 | 31 | 2 | 스파르타 프라하 |
FW | 폴라슈코바 | 2 | 0 | 슬라비아 프라하 | |
FW | 루지치코바 | 2002년 11월 5일 | 14 | 0 | 슬라비아 프라하 |
FW | 스타슈코바 | 2000년 5월 12일 | 49 | 17 | 갈라타사라이 |
4. 코칭 스태프
주어진 자료에는 체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코칭 스태프에 대한 정보가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현재 코칭 스태프에 대한 내용은 작성할 수 없다.
4. 1. 현재 코칭 스태프
주어진 자료에는 체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현재 코칭 스태프에 대한 정보가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주어진 자료만으로는 이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4. 2. 역대 감독
주어진 소스에는 체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역대 감독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주어진 소스만으로는 '역대 감독'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 따라서 이전 결과물은 변경할 내용이 없다.5. 선수
순위 | 선수 | 활동 기간 | 출장 횟수 |
---|---|---|---|
1 | 루치에 마르틴코바 | 2003년–2023년 | 125 |
2 | 페트라 베르톨도바 | 2002년–2024년 | 124 |
3 | 클라라 카히노바 | 2011년– | 113 |
4 | 페트라 비슈테이노바 | 2008년– | 82 |
5 | 에바 바르토뇨바 | 2010년– | 81 |
6 | 이레나 마르틴코바 | 2003년–2022년 | 76 |
7 | 에바 슈메랄로바 | 1993년–2008년 | 75 |
8 | 루치에 보뇨코바 | 2009년–2021년 | 72 |
9 | 가브리엘라 클루메츠카 | 1993년–2007년 | 66 |
10 | 카테르지나 도슈코바 | 1999년–2010년 | 66 |
현재 선수 명단과 과거 선수 명단은 각각 === 현재 선수 명단 ===, === 과거 선수 명단 ===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5.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1월 29일과 12월 3일에 포르투갈을 상대로 치러지는 UEFA 여자 유로 2025 예선 경기를 위해 23명의 선수가 소집되었다.[10] 출장 횟수와 골 기록은 벨기에와의 경기가 끝난 2024년 6월 4일을 기준으로 한다.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소속팀 |
---|---|---|---|---|---|---|
GK | 1 | 바르보라 보티코바 Barbora Votíková|바르보라 보티코바cs | 1996년 9월 13일 | 42 | 0 | 슬라비아 프라하 |
GK | 23 | 미하엘라 라도바 Michaela Radová|미하엘라 라도바cs | 1998년 4월 30일 | 1 | 0 | 빅토리아 플젠 |
GK | 16 | 바네사 일코바 Vanesa Jílková|바네사 일코바cs | 2005년 8월 23일 | 0 | 0 | 슬라비아 프라하 |
DF | 2 | 루치에 벤도바 Lucie Bendová|루치에 벤도바cs | 2005년 4월 3일 | 0 | 0 | 슬라비아 프라하 |
DF | 4 | 페트라 베르톨도바 Petra Bertholdová|페트라 베르톨도바cs | 1984년 11월 24일 | 118 | 4 | 스파르타 프라하 |
DF | 19 | 아네타 데디노바 Aneta Dědinová|아네타 데디노바cs | 1994년 3월 9일 | 35 | 1 | 스파르타 프라하 |
DF | 20 | 알레나 페치코바 Alena Pěčková|알레나 페치코바cs | 2001년 3월 30일 | 16 | 1 | 슬로바츠코 |
DF | 13 | 안토니에 스타로바 Antonie Stárová|안토니에 스타로바cs | 1998년 10월 12일 | 30 | 1 | 스파르타 프라하 |
DF | 5 | 가브리엘라 슬라이소바 Gabriela Šlajsová|가브리엘라 슬라이소바cs | 2000년 4월 7일 | 38 | 0 | 슬라비아 프라하 |
MF | 6 | 에바 바르토뇨바 Eva Bartoňová|에바 바르토뇨바cs | 1993년 10월 17일 | 76 | 4 | 스파르타 프라하 |
MF | 12 | 클라라 차히노바 Klára Cahynová|클라라 차히노바cs | 1993년 12월 20일 | 107 | 10 | 레알 소시에다드 |
MF | 22 | 프라니 체르나 Franny Černá|프라니 체르나cs | 1997년 7월 22일 | 33 | 2 | 스파르타 프라하 |
MF | 18 | 카밀라 두브초바 Kamila Dubcová|카밀라 두브초바cs | 1999년 1월 17일 | 49 | 15 | 장크트푈텐 |
MF | 14 | 미하엘라 키로바 Michaela Khýrová|미하엘라 키로바cs | 2000년 2월 3일 | 30 | 5 | 스파르타 프라하 |
MF | 15 | 카테르지나 코트르초바 Kateřina Kotrčová|카테르지나 코트르초바cs | 2000년 4월 27일 | 13 | 1 | 스파르타 프라하 |
MF | 11 | 테레자 크레이치리코바 Tereza Krejčiříková|테레자 크레이치리코바cs | 1996년 6월 21일 | 50 | 5 | 슬라비아 프라하 |
MF | 8 | 바르보라 폴차로바 Barbora Polcarová|바르보라 폴차로바cs | 2002년 7월 24일 | 1 | 0 | 슬라비아 프라하 |
MF | 라드카 흘로우호바 Radka Hlouchová|라드카 흘로우호바cs | 2004년 1월 25일 | 0 | 0 | 슬로반 리베레츠 | |
MF | 10 | 카테르지나 스비트코바 Kateřina Svitková|카테르지나 스비트코바cs | 1996년 3월 20일 | 58 | 25 | 슬라비아 프라하 |
MF | 3 | 엘리슈카 손타코바 Eliška Sonntagová|엘리슈카 손타코바cs | 2001년 7월 26일 | 31 | 2 | 스파르타 프라하 |
FW | 아네타 폴라슈코바 Aneta Polášková|아네타 폴라슈코바cs | 미상 | 2 | 0 | 슬라비아 프라하 | |
FW | 21 | 크리스티나 루지치코바 Kristýna Růžičková|크리스티나 루지치코바cs | 2002년 11월 5일 | 14 | 0 | 슬라비아 프라하 |
FW | 9 | 안드레아 스타슈코바 Andrea Stašková|안드레아 스타슈코바cs | 2000년 5월 12일 | 49 | 17 | 갈라타사라이 |
5. 2. 최근 소집된 선수
2024년 11월 29일과 12월 3일에 포르투갈을 상대로 치러지는 UEFA 여자 유로 2025 예선 경기를 위해 23명의 선수가 소집되었다.[10] 출장 횟수와 골 기록은 벨기에와의 경기가 끝난 2024년 6월 4일을 기준으로 한다.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팀 |
---|---|---|---|---|---|
GK | Barbora Votíková|바르보라 보티코바cs | 42 | 0 | SK Slavia Praha|슬라비아 프라하cs | |
GK | Michaela Radová|미하엘라 라도바cs | 1 | 0 | FC Viktoria Plzeň|빅토리아 플젠cs | |
GK | Vanesa Jílková|바네사 일코바cs | 0 | 0 | SK Slavia Praha|슬라비아 프라하cs | |
DF | Lucie Bendová|루치에 벤도바cs | 0 | 0 | SK Slavia Praha|슬라비아 프라하cs | |
DF | Petra Bertholdová|페트라 베르톨도바cs | 118 | 4 | AC Sparta Praha|스파르타 프라하cs | |
DF | Aneta Dědinová|아네타 데디노바cs | 35 | 1 | AC Sparta Praha|스파르타 프라하cs | |
DF | Alena Pěčková|알레나 페치코바cs | 16 | 1 | 1. FC Slovácko|슬로바츠코cs | |
DF | Antonie Stárová|안토니에 스타로바cs | 30 | 1 | AC Sparta Praha|스파르타 프라하cs | |
DF | Gabriela Šlajsová|가브리엘라 슬라이소바cs | 38 | 0 | SK Slavia Praha|슬라비아 프라하cs | |
MF | Eva Bartoňová|에바 바르토뇨바cs | 76 | 4 | AC Sparta Praha|스파르타 프라하cs | |
MF | Klára Cahynová|클라라 차히노바cs | 107 | 10 | Real Sociedad Femenino|레알 소시에다드es | |
MF | Franny Černá|프라니 체르나cs | 33 | 2 | AC Sparta Praha|스파르타 프라하cs | |
MF | Kamila Dubcová|카밀라 둡초바cs | 49 | 15 | SKN St. Pölten|장크트푈텐de | |
MF | Michaela Khýrová|미하엘라 키로바cs | 30 | 5 | AC Sparta Praha|스파르타 프라하cs | |
MF | Kateřina Kotrčová|카테르지나 코트르초바cs | 13 | 1 | AC Sparta Praha|스파르타 프라하cs | |
MF | Tereza Krejčiříková|테레자 크레이치르지코바cs | 50 | 5 | SK Slavia Praha|슬라비아 프라하cs | |
MF | Barbora Polcarová|바르보라 폴차로바cs | 1 | 0 | SK Slavia Praha|슬라비아 프라하cs | |
MF | Radka Hlouchová|라드카 흘로우호바cs | 0 | 0 | FC Slovan Liberec|슬로반 리베레츠cs | |
MF | Kateřina Svitková|카테르지나 스빗코바cs | 58 | 25 | SK Slavia Praha|슬라비아 프라하cs | |
MF | Eliška Sonntagová|엘리슈카 손타코바cs | 31 | 2 | AC Sparta Praha|스파르타 프라하cs | |
FW | Aneta Polášková|아네타 폴라슈코바cs | 2 | 0 | SK Slavia Praha|슬라비아 프라하cs | |
FW | Kristýna Růžičková|크리스티나 루지치코바cs | 14 | 0 | SK Slavia Praha|슬라비아 프라하cs | |
FW | Andrea Stašková|안드레아 스타슈코바cs | 49 | 17 | Galatasaray SK|갈라타사라이tr |
5. 3. 과거 선수 명단
이 섹션은 과거 체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했던 선수들의 명단을 다룬다.다음 표는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기록을 나타낸다.
FIFA 여자 월드컵 기록 | 예선 기록 | ||||||||||||||
---|---|---|---|---|---|---|---|---|---|---|---|---|---|---|---|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로 참가 | colspan=7| | ||||||||||||||
1991 | 진출 실패 | UEFA 유로 1991 | |||||||||||||
로 참가 | colspan=7| | ||||||||||||||
1995 | 진출 실패 | UEFA 유로 1995 | |||||||||||||
1999 | 6 | 4 | 2 | 0 | 37 | 2 | +35 | ||||||||
2003 | 6 | 0 | 0 | 6 | 6 | 23 | -17 | ||||||||
2007 | 8 | 5 | 1 | 2 | 20 | 8 | +12 | ||||||||
2011 | 8 | 4 | 1 | 3 | 19 | 6 | +13 | ||||||||
2015 | 10 | 4 | 2 | 4 | 21 | 18 | +3 | ||||||||
2019 | 8 | 4 | 2 | 2 | 20 | 8 | +12 | ||||||||
2023 | 8 | 3 | 2 | 3 | 25 | 10 | +15 | ||||||||
2027 | 미정 | 미정 | |||||||||||||
합계 | - | - | - | - | - | - | - | - | 54 | 24 | 10 | 20 | 148 | 75 | +73 |
:''*무승부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를 포함합니다.''
6. 선수 기록
체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체코슬로바키아가 분리되기 전까지 체코슬로바키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국제 경기에 참가했다.
UEFA 여자 선수권 대회 기록 | |||||||||||||||
---|---|---|---|---|---|---|---|---|---|---|---|---|---|---|---|
연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체코슬로바키아로 | colspan=8| | ||||||||||||||
1984 | 불참 | 불참 | |||||||||||||
1987 | 불참 | 불참 | |||||||||||||
1989 | 예선 탈락 | 10 | 4 | 5 | 1 | 11 | 6 | colspan=2| | |||||||
1991 | 예선 탈락 | 6 | 3 | 0 | 3 | 8 | 10 | colspan=2| | |||||||
1993 | 예선 탈락 | 4 | 2 | 1 | 1 | 7 | 6 | colspan=2| | |||||||
체코로 | colspan=8| | ||||||||||||||
1995 | 예선 탈락 | 6 | 0 | 3 | 3 | 5 | 23 | colspan=2| | |||||||
1997 | 예선 탈락 | 8 | 6 | 0 | 2 | 32 | 7 | colspan=2| | |||||||
2001 | 예선 탈락 | 8 | 6 | 1 | 1 | 22 | 7 | colspan=2| | |||||||
2005 | 예선 탈락 | 10 | 4 | 1 | 5 | 16 | 20 | colspan=2| | |||||||
2009 | 예선 탈락 | 10 | 4 | 2 | 4 | 19 | 7 | colspan=2| | |||||||
2013 | 예선 탈락 | 8 | 4 | 1 | 3 | 16 | 9 | colspan=2| | |||||||
2017 | 예선 탈락 | 8 | 3 | 1 | 4 | 13 | 18 | colspan=2| | |||||||
2022 | 예선 탈락 | 10 | 5 | 3 | 2 | 26 | 11 | colspan=2| | |||||||
2025 | 예선 탈락 | 10 | 2 | 3 | 5 | 16 | 16 | 14위 | |||||||
총합 | |||||||||||||||
98 | 43 | 21 | 34 | 191 | 140 | 14위 |
:''*승부차기로 결정된 녹아웃 경기의 무승부 포함''
6. 1. 최다 출장 선수
# | 선수 | 연도 | 출장 |
---|---|---|---|
1 | 루치에 마르틴코바 | 2003–2023 | 125[12] |
2 | 페트라 베르톨도바 | 2002–2024 | 124 |
3 | 클라라 카히노바 | 2011– | 113 |
4 | 페트라 비슈테이노바 | 2008– | 82 |
5 | 에바 바르토뇨바 | 2010– | 81 |
6 | 이레나 마르틴코바 | 2003–2022 | 76 |
7 | 에바 슈메랄로바 | 1993–2008 | 75 |
8 | 루치에 보뇨코바 | 2009–2021 | 72 |
9 | 가브리엘라 클루메츠카 | 1993–2007 | 66 |
10 | 카테르지나 도슈코바 | 1999–2010 | 66 |
6. 2. 최다 득점 선수
# | 선수 | 연도 | 출장 | 득점 |
---|---|---|---|---|
1 | 카테르지나 스비트코바 | 2014– | 62 | 26[3] |
2 | 카밀라 두브초바 | 2016– | 60 | 15 |
3 | 미하엘라 키로바 | 2023– | 7 | 10[1] |
4 | 안드레아 스타슈코바 | 2018– | 40 | 7 |
5 | 에바 바르토노바 | 2010– | 81 | 6 |
6 | 프라니 체르나 | 2024– | 2 | 1 |
7 | 엘리슈카 손탁고바 | 2022– | 12 | 1 |
7. FIFA 여자 랭킹
2003년부터 FIFA 여자 랭킹이 공개되었으며, 현재는 원칙적으로 3개월마다 발표된다.[1]
발표일 | 순위 | 변동 | UEFA 내 랭킹 | 변동 |
---|---|---|---|---|
2003년 7월 16일 | 24위 | -- | 14위 | -- |
2003년 8월 29일 | 24위 | → | 14위 | → |
2003년 10월 24일 | 23위 | ↑ | 14위 | → |
2003년 12월 15일 | 22위 | ↑ | 14위 | → |
2004년 3월 15일 | 22위 | → | 14위 | → |
2004년 6월 7일 | 20위 | ↑ | 13위 | ↑ |
2004년 8월 30일 | 20위 | → | 13위 | → |
2004년 12월 20일 | 22위 | ↓ | 14위 | ↓ |
2005년 3월 25일 | 22위 | → | 14위 | → |
2005년 6월 24일 | 22위 | → | 14위 | → |
2005년 9월 16일 | 23위 | ↓ | 14위 | → |
2005년 12월 21일 | 21위 | ↑ | 14위 | → |
2006년 3월 17일 | 21위 | → | 14위 | → |
2006년 5월 19일 | 21위 | → | 14위 | → |
2006년 9월 15일 | 19위 | ↑ | 12위 | ↑ |
2006년 12월 22일 | 19위 | → | 12위 | → |
2007년 3월 16일 | 19위 | → | 12위 | → |
2007년 6월 15일 | 19위 | → | 12위 | → |
2007년 10월 5일 | 19위 | → | 12위 | → |
2007년 12월 21일 | 19위 | → | 12위 | → |
2008년 3월 21일 | 20위 | ↓ | 13위 | ↓ |
2008년 6월 6일 | 21위 | ↓ | 14위 | ↓ |
2008년 9월 5일 | 21위 | → | 14위 | → |
2008년 12월 19일 | 21위 | → | 14위 | → |
2009년 3월 27일 | 22위 | ↓ | 14위 | → |
2009년 6월 26일 | 23위 | ↓ | 14위 | → |
2009년 9월 25일 | 23위 | → | 14위 | → |
2009년 12월 18일 | 23위 | → | 15위 | ↓ |
참조
[1]
간행물
Belarus v Czech Republic
2024-10-25
[2]
간행물
Czech Republic v Belarus
2024-10-29
[3]
간행물
Portugal v Czech Republic
2024-11-29
[4]
간행물
Czech Republic v Portugal
2024-12-03
[5]
뉴스
Realizační tým
https://zeny.fotbal.[...]
FAČR
[6]
뉴스
Trenéři v historii
https://www.fotbal.c[...]
2023-09-24
[7]
뉴스
Trenér Krejčík u ženské reprezentace skončil
https://zeny.fotbal.[...]
2016-11-01
[8]
뉴스
Viktorián Karel Rada povede českou ženskou reprezentaci
https://www.fcviktor[...]
2017-02-27
[9]
뉴스
Zase ne. Fotbalistky podlehly Portugalsku a Euro si nezahrají. Kouč Rada končí
https://www.idnes.cz[...]
Mafra
2024-12-03
[10]
웹사이트
Nominace reprezentace žen na baráž s Portugalskem
https://www.fotbal.c[...]
[11]
웹사이트
Česká republika ženy A - Historické statistiky
https://zeny.fotbal.[...]
[12]
웹사이트
Lucie Martínková si připsala 100. start za národní tým
https://zeny.fotbal.[...]
2020-12-02
[13]
뉴스
FIVE THINGS TO KNOW: CZECH REPUBLIC
https://www.ussoccer[...]
United States Soccer Federation
2022-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