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저온 왜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저온 왜성은 전파를 방출하는 M형 왜성 및 갈색 왜성을 지칭한다. 2001년 LP 944-20에서 전파 방출이 감지된 이후, 아레시보 천문대와 초대형 배열을 이용한 관측이 진행되었다. 현재까지 수백 개의 초저온 왜성이 관측되었으며, 이 중 약 5~10%가 전파를 방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2MASS J10475385+2124234는 800~900 K의 낮은 온도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전파를 방출하며, 지구 자기장보다 약 3000배 강한 1.7 kG 이상의 자기장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WISEPA J062309.94-045624.6과 같이 더 낮은 온도의 초저온 왜성에서도 전파 방출이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색왜성 - ULAS1335
  • 갈색왜성 - 카멜레온자리 110913-773444
    카멜레온자리 I 분자구름에 위치한 카멜레온자리 110913-773444는 목성 질량의 약 8배, 반지름은 약 1.8배인 천체로, 준갈색왜성이나 떠돌이 행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항성 주변 원반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 M형 주계열성 - 적색왜성
    적색왜성은 태양 질량의 8%~50% 정도의 작고 차가운 별로, 느린 핵융합 속도로 수명이 매우 길며 우주에서 가장 흔한 별이지만, 외계행성의 생명체 거주 가능성은 여러 요인으로 논란이 있다.
  • M형 주계열성 - 황새치자리 AB
    황새치자리 AB는 두 개의 쌍성계가 상호작용하며 공전하는 사중성계로, 주성 A는 강력한 자기장과 흑점 활동을 보이며, B와 C, 그리고 B는 Ba와 Bb로 나뉘는 반성을 가지고 황새치자리 AB 이동성군에 속한다.
초저온 왜성
초저온 왜성
유형M형 주계열성
분광형M7 이하
질량태양 질량의 0.08 ~ 0.09배 미만
표면 온도2,700 K (2,430 °C) 미만
특징매우 낮은 광도
행성 거주 가능성
추가 정보
관련 연구초저온 왜성의 행성 거주 가능성에 대한 연구 진행 중

2. 자기 속성

2001년 M9형 초저온 왜성 LP 944-20에서 전파 방출이 감지된 이후, 아레시보 천문대와 VLA 등을 이용한 관측이 활발히 진행되었다.[12][3][9] 현재까지 수백 개의 초저온 왜성이 관측되었으며, 이 중 약 5~10%가 전파를 방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2][3][9] 특히 2MASS J10475385+2124234는 온도가 800~900 K로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전파를 방출하는 T6.5형 갈색왜성으로, 1.7 kG 이상의 자기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지구 자기장보다 약 3000배 더 강한 수치이다.[13][4][10] 보다 최근에는 WISEPA J062309.94-045624.6 (T8)과 같이 약 740K의 더 낮은 온도를 가진 초저온 왜성에서도 전파 방출이 확인되었다.[5][6]

2. 1. 연구 사례

LP 944-20은 2001년 최초로 전파 방출이 감지된 M9형 초저온 왜성이다.[12][3][9] 이후 아레시보 천문대와 VLA 같은 전파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을 통해 수백 개의 초저온 왜성이 발견되었으며, 이 중 십여 개 이상이 전파를 방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2][3][9]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저온 왜성 중 약 5~10%가 전파를 방출한다.

2MASS J10475385+2124234는 2012년 기준으로 현재까지 발견된 전파 방출 갈색왜성 중 가장 차가운 천체로, 유효 온도는 800~900 K이다.[13][4][10] 이 왜성은 T6.5형 분광형을 가지며, 1.7 kG 이상의 자기장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지구 자기장보다 3000배 이상 강한 값이다.[13][4][10]

WISEPA J062309.94-045624.6는 약 740K의 온도로 전파를 방출하는 초저온 왜성(T8형)으로 확인되었다.[5][6]

참조

[1] 논문 The Solar Neighborhood Xxix: The Habitable Real Estate of Our Nearest Stellar Neighbors 2013-09-13
[2] 웹사이트 Ultra-Cool Dwarf Stars May Host Planets With Ultra-Cool Life https://www.vice.com[...] 2017-05-05
[3] 논문 The Second Arecibo Search for 5 GHz Radio Flares from Ultracool Dwarfs 2016-10-20
[4] 논문 The Arecibo Detection of the Coolest Radio-flaring Brown Dwarf 2012-03-10
[5] 논문 Periodic Radio Emission from the T8 Dwarf WISE J062309.94-045624.6 2023-07-01
[6] 논문 Uniform Forward-modeling Analysis of Ultracool Dwarfs. II. Atmospheric Properties of 55 Late-T Dwarfs 2021-11-01
[7] 웹사이트 Ultra-Cool Dwarf Stars May Host Planets With Ultra-Cool Life https://www.vice.com[...] 2017-05-05
[8] 논문 The Solar Neighborhood Xxix: The Habitable Real Estate of Our Nearest Stellar Neighbors 2013-09-13
[9] 논문 The Second Arecibo Search for 5 GHz Radio Flares from Ultracool Dwarfs 2016-10-20
[10] 논문 The Arecibo Detection of the Coolest Radio-flaring Brown Dwarf 2012-03-10
[11] 논문 THE SOLAR NEIGHBORHOOD XXIX: THE HABITABLE REAL ESTATE OF OUR NEAREST STELLAR NEIGHBORS 2013-09-13
[12] 논문 The Second Arecibo Search for 5 GHz Radio Flares from Ultracool Dwarfs 2016-10-20
[13] 논문 The Arecibo Detection of the Coolest Radio-flaring Brown Dwarf 2012-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