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규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규동은 1891년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출생하여, 평양의 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중동고등학교를 설립하여 초대 교장을 역임했다. 1934년 진단학회 찬조위원, 1949년 제4대 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 중에 사망했으며,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을 지냈다. 식민지 시대에 창씨개명을 하지 않았으나, 친일 관련 혐의로 시민 단체에 고발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대학교 총장 - 박봉식 (정치학자)
    박봉식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교육자로, 서울대학교 교수 및 총장, 부산외국어대학교와 금강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국가보위입법회의 위원 활동, 총선 무소속 출마, 토지매입 알선 사기 사건 연루, 서울대학교 본부 점거 사태 관련 발언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 서울대학교 총장 - 신태환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관료인 신태환은 경성고등상업학교와 도쿄상과대학을 졸업하고 연희전문학교, 서울대학교 교수를 지냈으며, 한국경제학회 설립에 기여했고 건설부 장관, 서울대학교 총장, 초대 국토통일원 장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 발전과 국토 통일에 힘썼다.
  • 1950년 사망 - 김영랑
    김영랑은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후까지 활동한 시인으로, '모란이 피기까지는'과 같은 서정시와 민족주의적 저항 의식을 담은 시를 동시에 선보였으며, 1935년에 시집 『영랑시집』을 발간했다.
  • 1950년 사망 - 정지용
    정지용은 충청북도 옥천 출생으로 모더니즘 문학을 선도했으며, 시문학 동인과 구인회 활동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행방불명되었다.
  • 1891년 출생 - 김성수 (언론인)
    김성수는 인촌이라는 호를 사용한 언론인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경성방직 설립, 동아일보 창간, 보성전문학교 인수 및 발전에 기여했으며 제2대 부통령을 역임했으나 친일 논란이 있다.
  • 1891년 출생 - 제임스 버스비
    제임스 버스비는 뉴사우스웨일즈의 포도 재배 기술자이자 뉴질랜드 영국 거주민으로 임명되어 와이탕이 조약 체결, 뉴질랜드 초기 국기 디자인 선정, 독립 선언 작성 등 뉴질랜드 초기 역사에 기여했으며, 그의 와인 제조 관련 저술은 호주 와인 산업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다.
최규동
기본 정보
이름최규동
출생일1891년 1월 1일
출생지경상북도 성주군
사망일1950년 1월 1일 (향년 58-59세)
주요 관심 분야수학
교육학
모교경성제국대학
직장경성제국대학
활동 기간(정보 없음)
배우자(정보 없음)
자녀(정보 없음)

2. 생애

1891년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태어났다. 평양의 대성학교, 휘문의숙, 오성학교에서 수학 강의를 담당했으며, 중동학교(현 중동고등학교)를 설립하고 잠시 교장을 역임했다.

해방 후에는 경성제국대학의 후신인 서울대학교 초대 총장, 한국교총의 전신인 조선교육연합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활동 (1906년 ~ 1945년)

1906년 중동고등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교장을 역임하였다.[1] 1934년 진단학회 찬조위원이었다. 평양의 대성학교, 휘문의숙, 오성학교에서 수학 강의를 담당하기도 했다.

2. 2. 해방 이후 활동과 친일 논란 (1945년 ~ 1950년)

1947년 11월 23일부터 1949년 1월 3일까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을, 1949년 1월 4일부터 1950년 10월 5일까지 제4대 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하였다.[1] 한국 전쟁 중에 사망했다.[1][2][3]

식민지 시대에는 창씨개명을 하지 않고 학생들에게 한국어로 훈화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그러나 교육 전문지 『문교의 조선』 1942년 6월호에 "죽음으로써 천황의 은혜에 보답한다"라는 제목의 일본어 기고문을 게재한 혐의로 시민 단체 역사정의실천연대에 고발당했다.[4]

2. 3. 한국 전쟁 중 사망 (1950년)

한국 전쟁 중에 사망했다.[1][2][3]

3. 학력


  • 광신상업학교 수학연구과 졸업

4. 비판 및 평가

식민지 시대에 창씨개명을 하지 않고 학생들에게 한국어로 훈화를 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4] 그러나 교육 전문지 『문교의 조선』 1942년 6월호에 "죽음으로써 천황의 은혜에 보답한다"라는 제목의 일본어 기고문을 게재한 혐의로 시민 단체 역사정의실천연대에 고발당했다.[4]

5. 역대 역임

참조

[1] 서적 帝国日本と植民地大学 ゆまに書房 2014
[2] 서적 日帝支配期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05
[3] 서적 경성제국대학 연구 韓国語 2002
[4] 뉴스 韓国教育部選定「今月の先生」に親日疑惑 朝鮮日報 2015-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