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유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유나는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로, 1983년 KBS 《신인탄생》에서 우승하며 데뷔했다. 1992년 《흔적》으로 전성기를 맞이하여 서울가요대상, 골든 디스크 등 다수의 가요 시상식에서 수상했으며, 1990년대 후반에는 《미움인지 그리움인지》로 큰 인기를 얻었다. 2000년 발표한 《와인 글라스》는 칸 영화제에서 사용되기도 했다. 1985년 데뷔 이후 19개의 정규 앨범을 발표하며 꾸준히 활동하고 있으며, 2009년 한국농업박람회 홍보대사, 파주소방서 홍보대사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라남도 출신 가수 - 하춘화
1961년 만 6세에 데뷔한 가수 하춘화는 《물새 한 마리》, 《잘했군 잘했어》, 《영암 아리랑》, 《알고 계세요》 등 수많은 히트곡과 8,500회 이상의 공연, 2,400여 곡의 취입곡, 박사 학위 취득, 꾸준한 기부 활동으로 유명하다. - 전라남도 출신 가수 - 선율 (가수)
선율은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방송연예과에 재학 중인 대한민국 가수로, 여러 예능 프로그램 출연 및 뮤지컬, 음반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과거 그룹 업텐션 멤버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 - 대한민국의 무종교 - 샘 해밍턴
뉴질랜드 태생의 오스트레일리아 국적 희극 배우이자 방송인인 샘 해밍턴은 1998년 한국에 교환학생으로 온 후 2002년부터 방송 활동을 시작, 《진짜 사나이》와 《슈퍼맨이 돌아왔다》 등의 프로그램으로 인기를 얻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무종교 - 박수아
박수아는 2010년 애프터스쿨의 멤버 '리지'로 데뷔하여 오렌지캬라멜 유닛 활동과 솔로 가수 활동을 거쳐 배우로 전향했으나, 2021년 음주운전 사고를 일으켰다. - 호남대학교 동문 - 김승현 (축구 선수)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김승현은 전남 드래곤즈에서 프로 데뷔 후 광주 상무, 부산 아이파크, 대구 FC를 거쳤으며,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예선에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출전한 경력이 있다. - 호남대학교 동문 - 김민준 (1996년)
1996년생 김민준은 2017년 FC 서울에 입단하여 경남 FC 임대 후 FC 서울로 복귀했으나, K리그2에서 7경기 출전, 득점 없이 팀을 떠난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최유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최효중 |
출생일 | 1964년 10월 18일 |
출생지 | 전라남도 목포시 |
종교 | 무종교 |
직업 | 가수 |
활동 시기 | 1984년 ~ 현재 |
장르 | 트로트 |
소속사 | C&C 엔터테인먼트 |
가족 | 남편, 자녀 없음 |
웹사이트 |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 다음 팬카페 |
2. 생애
전라남도 목포 출신 트로트 가수이다.
1983년 KBS 《신인탄생》에서 5주 연속 우승하고, 제7회 MBC 《서울 국제 가요제》에서 방미 등과 함께 한국 대표로 참가하여 본선 인기상을 수상하며 실력을 인정받았다.[1] 1985년 데뷔하였으나, 드라마 조기 종영 등으로 무명 시절을 겪었다.
1992년 《흔적》으로 각종 상을 휩쓸며 전성기를 맞이했고, 이후 《밀회》, 《미움인지 그리움인지》 등 히트곡을 발표하며 1990년대를 대표하는 트로트 가수로 자리매김했다.
2010년에는 〈와인 글라스〉가 칸 영화제에서 소개되며 화제를 모았고, 2012년에는 11집 앨범을 발표하는 등 꾸준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데뷔 때부터 주로 서정성이 짙은 노래를 불렀으며, 장년층들에게 인기가 많은 가수이다.[1]
2. 1. 초기 활동 및 무명 시절 (1983년 ~ 1991년)
1983년 KBS 《신인탄생》에 출연하여 5주 연속 우승을 하였고, 제7회 MBC 《서울 국제 가요제》에서 방미 등과 함께 한국 대표로 참가하여 본선 인기상을 수상하며 실력파 가수로 주목받았다.[1] 1985년 1집 앨범 《첫정》을 발표하며 가수로 데뷔하였으나, 노래를 바꾸면서 공백기를 가졌다.[1] 1987년 KBS 주말연속극 《애정의 조건》의 주제가였던 《애정의 조건》을 불렀지만, 드라마가 조기에 종영되면서 무명 시절을 겪었다.[1]2. 2. 전성기 (1992년 ~ 2000년대)
1992년에 발표한 《흔적》으로 《제4회 서울가요대상》 본상을 수상하였고, 《1993 노랫말 대상》에서 전통가요 노랫말상에 선정되어 《한국 노랫말 가요대상》, 《고복수가요제》 최고가수상, 《제8회 골든 디스크》 SKC 장려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상을 거머쥐며 전성기를 맞이하였다.[1] 1994년에는 《밀회》를 발표하여 《제9회 골든디스크》 본상, 《제5회 서울가요대상》 본상, 《MBC 연말가요제전》 올해의 트로트상을 수상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1996년, 1997년에는 《숨겨진 소설》, 《슬픈 그림자》를 불러 《서울가요대상》 전통가요 발전상을 수상하였다.1999년에는 빠른 템포의 트로트 《미움인지 그리움인지》를 발표하였다. 이 곡은 나미가 불렀을 때는 주목받지 못했지만, 최유나가 불러 《제14회 골든 디스크》 본상, 《한국예술체육대상》 가수부문 대상을 수상하는 등 1990년대 가요계를 대표할 만큼 상당한 인기를 얻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도 《밤차로 가지 말아요》, 《반지》, 《별난 사람》, 《초대》, 《와인 글라스》 등 여러 히트곡을 발표하며 꾸준히 사랑받았다.
2. 3. 칸 영화제 진출과 이후 활동 (2010년대 ~ 현재)
2010년 제63회 칸 영화제 뤼미에르 극장에서 열린 경쟁 부문 진출작 영화 《시》 갈라 스크리닝에서, 배우 윤정희와 이창동 감독이 레드카펫에 들어설 때 배경 음악으로 〈와인 글라스〉가 사용되어 화제가 되었다.[1] 영화제 집행위원회는 영화와 관련된 음악을 레드카펫 배경음악으로 선정하는데, 공식 상영에 맞춰 〈와인 글라스〉를 선정했다. 2012년에는 3년 만에 신곡이 포함된 11집 앨범 《미워도 미워도》를 발표하였다.3. 학력
4. 경력
5. 음반 목록
최유나는 1984년 1집 "첫정"을 시작으로 2023년 19집 "남이다"까지 정규 앨범을 발표하며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
5. 1. 정규 앨범
발매 연도 | 음반명 |
---|---|
1985년 | 첫정 |
1989년 | 사할린에 보낸 편지 |
1991년 | 대답없는 미소 |
1992년 | 흔적, 애정의 조건 |
1993년 | 밀회, 상심 |
1995년 | 숨겨진 소설 |
1997년 | 슬픈 그림자 |
1999년 | 미움인지 그리움인지 |
2000년 | 와인글라스 |
2001년 | 밤차로 가지 말아요 |
2002년 | 반지 |
2005년 | 느낌 |
2006년 | 별난 사람 |
2009년 | 초대 |
2012년 | 미워도 미워도, 인생 노래방 |
2018년 | 기로 |
2019년 | 목포의 사랑 |
2022년 | 옛날사람 |
2023년 | 남이다 |
6.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
1984년 | MBC 서울 국제가요제 인기상 |
1993년 | 고복수가요제 최고가수상, 한국 노랫말 가요대상, 제8회 골든 디스크 SKC 장려상, 제4회 서울가요대상 본상 |
1994년 | 제9회 골든디스크 본상, 제5회 서울가요대상 본상 |
1998년 | 제9회 서울가요대상 전통가요 발전상 |
1999년 | 제10회 서울가요대상 전통가요 발전상, 제14회 골든디스크 본상, 한국예술체육대상 가수부문 대상 |
2001년 | 문화관광부 장관 표창장 |
2002년 | 한국 최고 인기 연예대상 최고여자가수상, 한국충효대상 봉사상 |
2003년 | 제14회 서울가요대상 전통가요 발전상, SBS 가요대전 올해의 트로트상, iTV 성인가요대상 여자가수상 |
2004년 | KBS 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
2006년 | SBS 가요대전 올해의 트로트상, WBS 원음방송 2006 트로트가요대상 본상 |
2007년 | 제15회 한국 최고 인기 연예대상 전통가요가수상 |
2008년 | 제16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성인가요 10대 가수상 |
2009년 | 제17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성인가요 10대 가수상 |
2010년 | 제17회 대한민국 연예예술상 성인가요가수상 |
2011년 | 제6회 대한민국 나눔대상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