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미크로네시아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월레아이어, 캐롤라인어와 함께 추크어 하위 그룹을 구성한다. 어두에 겹자음이 오는 특징이 있으며,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추크어는 단어 첫머리에 자음이 겹쳐 사용되는 것을 허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크주 (미크로네시아 연방) - 웨노
웨노는 미크로네시아 연방 추크주 주도로, 추크 제도에 속하며 추크 국제공항이 위치하고, 열대 우림 기후를 띠며 다이빙 관광이 발달했고, 여러 학교와 미크로네시아 연방 칼리지가 있는 섬이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언어 - 카핑아마랑이어
카핑아마랑이어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카핑아마랑이 환초와 폰페이의 폰라키에드 마을에서 사용되는 폴리네시아어족 언어로, 다양한 어순과 중복 현상이 나타나며 학교와 교회에서 교육을 통해 세대 간 전승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언어 - 누쿠오로어
누쿠오로어는 미크로네시아 누쿠오로 환초에서 사용되는 폴리네시아어족 언어로, 카핑아마랑기어와 가장 가까우며, 족장 레카가 개발한 고유 표기 체계를 사용하고 주어-동사-목적어 또는 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가지며 중복을 통한 단/복수 구별 특징이 있다.
추크어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추크어 |
다른 이름 | 트루크어 |
사용 국가 | 미크로네시아 연방 |
사용 지역 | 추크주 |
사용자 수 | 51,330명 (2000년 census 기준) |
민족 | 추크족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 | 오세아니아어군 |
하위 어군 | 미크로네시아어군 |
세부 분류 | 핵 미크로네시아어군 |
언어 코드 | |
ISO 639-1 | 없음 |
ISO 639-2 | chk |
ISO 639-3 | chk |
Glottolog | chuu1238 |
Glottolog 참조 | 추크어 |
문자 체계 | |
문자 | 라틴 문자 |
기타 | |
국가 | [[File:Flag of Chuuk.svg|border|25px]] 추크주 |
2. 분류
추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미크로네시아어파 하위 분기에 속하는 언어이다. 월레아이어, 캐롤라인어와 같은 근접 언어들과 함께 미크로네시아어군의 추크어 하위 그룹을 구성하는 방언 중 하나이다.[2]
추크어는 어두에 겹자음(이중 자음)을 허용하는 특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서미크로네시아어군의 공통 조상 언어의 특징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현대의 후손 언어들은 대부분 이 특징을 잃었다.[8]
3. 음운론
Trukchk와 Chuukchk는 표기법의 차이로, 예전의 'tr'과 현재의 'ch'는 모두 소리를 나타낸다.
추크어의 자음군은 무성 자음이 있으면 겹자음이 된다. 일부 자음 조합은 겹자음이 되면 모음 사이에서 종종 탈비음화된다.[9]a á e é i o ó u ú f ff s ss k kk m mm mw mmw n ng nng p pp pw ppw r ch t tt w y IPA
3. 1. 자음
추크어에서는 특이하게도 어두에 겹자음(이중자음)이 올 수 있다. 서미크로네시아어군의 공통 조상 언어에도 이러한 특징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나, 현대의 후손 언어들은 대부분 이 특징을 잃었다.[8]
Trukchk과 Chuukchk은 정서법 체계의 차이로, 예전의 ‹tr›와 현행 ‹ch› 모두 /tʂ/ 소리를 적은 것이다.
colspan="2"| | 양순음 | 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파열음 | 유성/순음 | b bʷ | d | ɡ | |||
기본/순음 | p pʷ | t | k | ||||
파찰음 | tʂ | ||||||
마찰음 | 기본 | f | s | ||||
경음 | fː | sː | |||||
비음 | 기본/순음 | m mʷ | n | ŋ | |||
경음/순음 | mː mːʷ | ŋː | |||||
전동음 | r | ||||||
접근음 | w | j |
추크어의 자음군은 무성 자음이 있으면 겹자음이 된다. 일부 자음 조합은 겹자음이 되면 모음 사이에서 종종 탈비음화된다.[9]
3. 2. 모음
는 중설 또는 후설 로 들릴 수 있다.
- '''a'''
- '''á'''
- '''e'''
- '''é'''
- '''i'''
- '''o'''
- '''ó'''
- '''u'''
- '''ú'''
4. 문자 및 표기
추크어 철자 | |||||||||||||||||||||||||||||||
---|---|---|---|---|---|---|---|---|---|---|---|---|---|---|---|---|---|---|---|---|---|---|---|---|---|---|---|---|---|---|---|
a | á | e | é | i | o | ó | u | ú | f | ff | s | ss | k | kk | m | mm | mw | mmw | n | ng | nng | p | pp | pw | ppw | r | ch | t | tt | w | y |
IPA | |||||||||||||||||||||||||||||||
추크어는 단어의 첫머리에 자음이 겹쳐 사용되는 것을 허용하는 몇 안 되는 언어 중 하나이다.
참조
[1]
서적
The linguistic student's handbook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7
[2]
서적
The Oceanic languages
Curzon
[3]
웹사이트
Reflexes of initial gemination in Western Micronesian languages
http://www.linguisti[...]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05-09-08
[4]
서적
Trukese-English dictionary = Pwpwuken tettenin fóós, Chuuk-Ingenes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80
[5]
간행물
Linguistics, TESL, and language planning in Micronesi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0
[6]
서적
Gradual and Quantum Changes in the History of Chuukese (Trukese) Phonology
[7]
문서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8]
웹인용
Reflexes of initial gemination in Western Micronesian languages
http://www.linguisti[...]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2005-09-08
[9]
서적
Trukese-English Dictionary Pwpwuken Tettenin Fóós: Chuuk-Ingen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