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친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구는 과거 어린이들이 사용하던 '동무'라는 낱말을 대체하여 1972년 대한민국 정부 교육 지침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단어이다. 30대 이후에는 새로운 친구를 사귀기 어려워지는데, 바쁜 일상, 변화된 우선순위, 높아진 기준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사회학자들은 접근성, 지속적인 만남, 계획하지 않은 교류를 친한 친구를 만드는 조건으로 제시했으며, 이러한 조건들이 나이가 들면서 충족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정 - 플라토닉 러브
    플라토닉 러브는 성적 요소 없이 깊은 애정과 우정을 나누는 관계를 뜻하며, 플라톤의 에로스 개념에서 시작되었으나 르네상스 시대 이후 비성적 이성애적 사랑으로 재해석되어 현대에는 깊은 유대감, 특히 퀴어플라토닉 관계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사랑과 우정의 경계가 모호하고 한국 사회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개념이다.
  • 우정 - 국제 우정의 날
    국제 우정의 날은 1958년 파라과이에서 시작되어 2011년 유엔에서 공식 기념일로 지정되었으며, 인종, 피부색, 종교를 초월한 우정과 친목 증진을 목표로 전 세계적으로 기념하는 날이다.
  • 인간 관계 - 동성애
    동성애는 동성 간의 성적 매력, 행위, 애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LGBT와 같은 포괄적인 용어가 사용되며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동성애자 권리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인간 관계 - 연인
    연인은 서로 사랑하는 관계를 뜻하며, 일본어의 '이모세', '오모히비토', '애인'과 영어의 'boyfriend', 'girlfriend', 'steady' 등 다양한 표현이 존재하지만, '아베크'는 점차 사용되지 않는 추세이다.
친구
친구 관계
정의서로 친하여 매우 가까운 사람. 우정을 바탕으로 맺어지는 사회적 관계의 하나.
동의어벗, 동무, 악우, 심우, 지우, 친우, 절친, 단짝 등
관련 개념우정, 교우 관계
우정의 특징
상호성서로에게 호감을 느끼고, 상호 신뢰와 존중을 기반으로 한다.
자발성강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서로의 의사에 따라 맺어진다.
친밀성서로의 생각과 감정을 공유하며, 사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지속성오랜 시간 동안 관계가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친구의 역할
정서적 지지어려움을 나눌 수 있는 존재로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한다.
정보 공유서로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며, 발전에 도움을 준다.
사회적 유대 강화소속감을 느끼게 하고,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데 도움을 준다.
놀이와 여가함께 시간을 보내며 즐거움을 나눈다.
심리학적 관점
설리번의 대인관계 이론해리 스택 설리번은 청소년기에 친밀한 친구 관계가 중요한 발달 과업이라고 강조한다.
친밀한 관계의 중요성자아 정체성 형성, 사회성 발달,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친구의 종류
친한 친구 (親友)매우 가깝고 허물없는 친구. 서로를 깊이 이해하며,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변치 않는 우정을 나눈다.
오랜 친구오랜 시간 동안 함께해 온 친구. 함께한 추억이 많고 서로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동성 친구성별이 같은 친구. 공감대를 형성하기 쉽고, 편안하게 소통할 수 있다.
이성 친구성별이 다른 친구. 다양한 관점을 접할 수 있고, 넓은 시각을 갖도록 도움을 준다.
온라인 친구인터넷을 통해 알게 된 친구. 직접 만나지 않더라도 온라인에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관련 속담
친구따라 강남간다친한 친구와 함께라면 어디든 갈 수 있다는 의미.
친구가 좋으면 술이 달다좋은 친구와 함께라면 어떤 힘든 일도 즐겁게 할 수 있다는 의미.
친구가 많으면 세상이 넓어진다다양한 친구를 사귀는 것은 세상을 넓게 볼 수 있게 해준다는 의미.
좋은 친구는 보물과 같다좋은 친구는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존재라는 의미.
관련 문화
문학많은 소설, 시, 수필 등에서 친구 관계를 주요 소재로 다루고 있다.
영화다양한 종류의 친구 관계를 보여주는 영화가 많이 제작되고 있다.
음악우정을 주제로 한 다양한 노래들이 있다.

2. 어원

과거에 어린이들이 많이 쓰던 '동무'라는 낱말은 친구의 의미로 한국 전역에서 쓰던 낱말이었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혁명을 위하여 함께 싸우는 사람'[1][2]이라는 뜻으로 사용하였다. 이에 강한 반공주의 이념을 지지했던 남한 사회는 정부 교육 지침으로 1972년 동무를 "친구"로 대체하였다. 다만 대한민국에서 동무를 낱말 자체로 잘 쓰지 않으나, '어깨동무', '길동무', '말동무' 등 합성어로 여전히 사용한다.

3. 30대 이후 친구

30대 이후엔 친구를 만들기가 쉽지 않다. 각자 바쁘게 살기도 하고, 우선순위도 과거와 다르며, 친구 기준도 어렸을 때에 비해 높아지는 탓이다. 스탠포드 대학교 장수연구센터의 '로라 카스텐슨' 교수는 나이가 들면 새로운 친구를 만나기보다 자신과 가까운 사람들과 더 친하게 지내려는 경향을 보인다고 주장했다. 1950년대부터 사회학자들은 친한 친구를 만드는 조건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했다.[3]

# 접근성

# 지속적인 만남

# 계획하지 않은 교류

이 조건들은 나이가 들면 동시에 모두 발생하기 힘들며, 이 조건을 충족하는 친구는 거의 대부분 대학 시절 이전에 만든다. 직업, 소득의 차이로 친구가 되기 힘든 경우도 많다. 커플끼리 만나는 경우 자신이 상대 커플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확인하고, 자신의 애인, 상대 커플이 자신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도 잘 맞아야 관계가 형성된다. 그 탓에 서로 쉽게 친구가 되지 못한다. 자식 일로 만나는 부모들 역시 친구가 되기 힘들다. 사람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관계에 피로감을 겪고 이에 따라 친구를 만드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3]

참조

[1] 문서 네이버 국어사전의 '동무' 항목
[2] 간행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직급 호칭 2021-03-27
[3] 웹인용 왜 서른 살 이후에는 친구를 만들기 어려울까? http://1boon.daum.ne[...] 2017-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