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기스 아이트마토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기스 아이트마토프는 키르기스 출신의 소설가, 외교관, 정치인이다. 1928년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태어나, 1958년 소설 《자밀라》로 이름을 알렸다. 그의 작품은 신화, 전설, 민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특징을 보이며, 《백 년보다 긴 날》, 《해골의 장소》 등이 대표작이다. 문학 활동 외에도 소련 및 러시아의 벨기에 대사, 독립 키르기스스탄의 외교관으로 활동했다. 2008년 폐렴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르기스스탄의 작가 - 알리쿨 오스모노프
알리쿨 오스모노프는 1915년 키르기스스탄에서 태어나 고아원에서 성장하고 결핵으로 학업을 중단했지만, 1930년 시를 발표하며 문학 활동을 시작하여 내면의 감정과 민족주의를 다룬 작품을 썼으며, 유럽 작가의 작품을 키르기스어로 번역하고 키르기스스탄 국립 작가 동맹의 사무총장을 역임하다가 폐렴으로 사망했다. - 러시아어 문학 - 신세계 (러시아의 잡지)
노비 미르는 1925년 모스크바에서 창간된 러시아의 문학 잡지이며, 반체제 성향을 거쳐 자유주의적 성향을 유지하며 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싣는다.
친기스 아이트마토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친기스 토레쿨로비치 아이트마토프 |
출생 | 1928년 12월 12일 |
출생지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 셰케르 |
사망 | 2008년 6월 10일 |
사망지 | 독일 뉘른베르크 |
국적 | 키르기스스탄 |
직업 | 작가 |
장르 | 소설 단편 소설 |
대표 작품 | 자밀라 백년보다 긴 하루 |
수상 | 레닌상 (1963년) 오스트리아 국가상 (1993년) |
2. 생애
친기스 아이트마토프는 키르기스계 아버지와 타타르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31] 아이트마토프의 부모는 셰케르의 공무원이었다. 1937년 그의 아버지는 모스크바에서 "부르주아 민족주의" 혐의로 기소되어 체포되었고 1938년에 처형되었다.[1]
아이트마토프는 키르기스스탄이 러시아 제국의 가장 외딴 지역 중 하나에서 소련의 공화국으로 변모하는 시기에 살았다. 장래의 작가는 셰케르의 소련 학교에서 공부했다. 그는 또한 어릴 때부터 일을 했다. 14세에 그는 마을 소비에트의 서기 보조였다. 그는 나중에 세금 징수원, 하역원, 기술자 보조로 일했으며 다른 많은 유형의 일을 계속했다.
1946년, 그는 프룬제의 키르기스 농업 연구소의 축산 부서에서 공부하기 시작했지만, 나중에는 1956년부터 1958년까지 살았던 모스크바의 막심 고리키 문학 연구소에서 문학 연구로 전공을 바꿨다. 그 후 8년 동안 그는 프라우다에서 일했다.
1958년에 《자밀라》라는 소설을 냈다. 1980년에는 《The Day Lasts More than a Hundred Years》라는 소설을 처음 냈고, 이어서 1988년에는 《The Scaffold》라는 소설을 냈다. 여러 작품들이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1961년, 그는 제2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의 심사위원이었다.[5] 1971년, 그는 제7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의 심사위원이었다.[6] 1994년, 그는 제4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의 심사위원이었다.[7] 2002년에는 제24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의 심사위원장이었다.[8]
2008년 5월 16일, 아이트마토프는 독일 뉘른베르크의 병원에 신부전으로 입원했으며, 2008년 6월 10일 79세의 나이로 폐렴으로 사망했다.[1] 아이트마토프의 유해는 키르기스스탄으로 운구되어 그가 설립을 도왔고 그의 아버지가 묻혔을 가능성이 높은 아타-베이이트 묘지에 있는 코이-타시 마을, 알라무둔 구, 추이 주, 키르기스스탄에서 수많은 장례식을 거친 후 매장되었다.[9][10]
그의 뉴욕 타임스 부고 기사에서는 그를 "소련 붕괴 이전에 소설과 연극으로 키르기스라는 외딴 소련 공화국의 사람들에게 목소리를 준 공산주의 작가"로 묘사했으며, "나중에 외교관이 되었고 소련 지도자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친구이자 조언자가 되었다"고 덧붙였다.[11]
2. 1. 초기 생애
친기스 아이트마토프는 1928년 12월 12일 소비에트 연방 키르기스 공화국 타라스주 셰케르에서 키르기스계 아버지와 타타르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의 이름은 몽골 제국의 칭기스 칸에서 유래했다. 아이트마토프의 부모는 셰케르의 공무원이었다.[1] 1937년 그의 아버지는 모스크바에서 "부르주아 민족주의" 혐의로 체포되어 1938년에 처형되었다.[1]아이트마토프는 키르기스스탄이 러시아 제국의 가장 외딴 지역 중 하나에서 소련의 공화국으로 변모하는 시기에 살았다. 그는 셰케르의 소련 학교에서 공부했으며, 어린 시절에는 유목 생활을 했다. 14세에 마을 소비에트의 서기 보조로 일하기 시작했고, 이후 세금 징수원, 하역원, 기술자 보조 등 다양한 직업을 가졌다.
1946년, 프룬제의 키르기스 농업 연구소 축산 부서에서 공부를 시작했지만, 이후 모스크바의 막심 고리키 문학 연구소에서 문학 연구로 전공을 바꾸어 1956년부터 1958년까지 공부했다. 그 후 8년 동안 프라우다에서 일했다.
2. 2. 학업 및 초기 경력
친기스 아이트마토프는 키르기스계 아버지와 타타르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31] 1946년 프룬제(현재의 비슈케크)에 있는 키르기스 농업 대학교 축산학부에 입학하여 1953년에 졸업하고 축산 기술사가 되었다.[31]그러나 축산 기술사로 일하면서도 문학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았고, 1956년부터 1958년까지 고리키 문학 대학교에서 문학을 연구했다. 1958년에는 소련 공산당 기관지 프라우다 편집국에서 8년간 근무했다.[31] 이 기간 동안 1952년에는 최초의 2편인 "신문 소년 쥬이오("The Newspaper Boy Dziuio")"와 "아심("Ašym")"을 러시아어로 발표했다. 1958년에 자밀라라는 소설을 냈다.[31]
3. 문학 활동
친기스 아이트마토프는 전후 세대 작가에 속했다.[12] 1952년 러시아어로 출판된 "신문 배달부 듀이오"와 "아심"이 그의 첫 작품이며, 키르기스어로는 1954년 "백색 비"를 처음 출판했다.[1] 1956년에는 "어려운 통과", 1957년에는 "정면으로"를 발표했다. 1958년 발표한 ''자밀라''는 전쟁으로 남편과 헤어진 자밀라가 장애를 가진 전직 군인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작가로서의 명성을 얻게 해준 작품이다.[12] 프랑스 작가 루이 아라공은 이 작품을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라고 극찬했다.
1961년에 발표한 『사랑하는 타파리요크』(원제: 『붉은 스카프를 한, 나의 타파리요크』)가 레닌상을 수상하였다.[30] 『세이데의 탄식』, 『자밀라』, 『사랑하는 타파리요크』의 초기 3부작을 통해 아이트마토프는 작가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30] 1963년에는 ''산과 초원의 이야기'' (''자밀라'', ''첫 번째 선생님'', ''안녕, 굴사리!''를 포함하는 작품집)로 레닌상을 수상했고,[13] ''안녕, 굴사리!''로 소련 국가상을 받았다.
아이트마토프의 작품은 신화, 전설, 민담을 현대 생활에 접목시키는 특징을 보인다.[1] 1980년 첫 소설 ''백년보다 긴 날''을 발표했고, 1987년에는 ''해골의 장소''를 출판했다.[1] 그의 작품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안녕, 굴사리!''는 인간과 종마 사이의 우정을 다루면서도 소련 정부에 대한 비극적 알레고리를 담고 있다.[1]
3. 1. 초기 작품
친기스 아이트마토프는 전후 세대 작가에 속했다.[12] 1952년 러시아어로 출판된 "신문 배달부 듀이오"와 "아심"이 그의 첫 작품이며, 키르기스어로는 1954년 "백색 비"를 처음 출판했다.[1] 1956년에는 "어려운 통과", 1957년에는 "정면으로"를 발표했다. 1958년 발표한 ''자밀라''는 전쟁으로 남편과 헤어진 자밀라가 장애를 가진 전직 군인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작가로서의 명성을 얻게 해준 작품이다.[12] 프랑스 작가 루이 아라공은 이 작품을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라고 극찬했다.1961년에 발표한 『사랑하는 타파리요크』(원제: 『붉은 스카프를 한, 나의 타파리요크』)가 레닌상을 수상하였다.[30] 『세이데의 탄식』, 『자밀라』, 『사랑하는 타파리요크』의 초기 3부작을 통해 아이트마토프는 작가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30] 1963년에는 ''산과 초원의 이야기'' (''자밀라'', ''첫 번째 선생님'', ''안녕, 굴사리!''를 포함하는 작품집)로 레닌상을 수상했고,[13] ''안녕, 굴사리!''로 소련 국가상을 받았다.
아이트마토프의 작품은 신화, 전설, 민담을 현대 생활에 접목시키는 특징을 보인다.[1] 1980년 첫 소설 ''백년보다 긴 날''을 발표했고, 1987년에는 ''해골의 장소''를 출판했다.[1] 그의 작품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안녕, 굴사리!''는 인간과 종마 사이의 우정을 다루면서도 소련 정부에 대한 비극적 알레고리를 담고 있다.[1]
3. 2. 대표작

친기스 아이트마토프는 소련 및 키르기스스탄의 전후파 작가로, 그의 작품에는 신화, 전설, 민화에 대한 언급이 자주 등장한다.[30] 1954년 키르기스에서 「하얀 비(Ak Ğaan)」를 발표했고, 1957년 『세이데의 탄식』(원제: 『면과 마주하여』)으로 러시아 문단에 데뷔했다.[30]
1958년 발표한 중편 소설 ''자밀라'' («Джамиляru»)는 루이 아라공에게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라는 극찬을 받았으며, 1963년 레닌 문학상을 수상했다.[30] 프로그레스 출판사에서 출판된 ''산과 스텝의 이야기들'' (1969)에 수록되었다.[24]
1961년 발표한 『사랑하는 타파리요크』(원제: 『붉은 스카프를 한, 나의 타파리요크』)도 레닌 문학상을 수상했다.[30] 『세이데의 탄식』, 『자밀라』, 『사랑하는 타파리요크』 초기 3부작을 통해 작가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30]
''가지고 잃다'' («Тополек мой в красной косынкеru», 1961)는 프로그레스 출판사에서 출판된 ''단편 소설집'' (1965)에 수록되었다.[25] ''낙타의 눈'' / ''낙타의 눈'' («Верблюжий глазru», 1961)은 프로그레스 출판사에서 출판된 ''소비에트 단편 소설 선집'' 2권 (1976)과 파버 앤 파버에서 출판된 ''대지 어머니와 다른 이야기들'' (1989)에 수록되었다.[26]
''두이센'' / ''첫 번째 선생님'' («Первый учительru», 1962)은 프로그레스 출판사에서 출판된 ''단편 소설집'' (1965)과 파버 앤 파버에서 출판된 ''대지 어머니와 다른 이야기들'' (1989)에 수록되었다.[27] ''대지 어머니'' («Саманчынын жолуky» / «Материнское полеru», 1963)는 프로그레스 출판사에서 출판된 ''단편 소설집'' (1965)과 파버 앤 파버에서 출판된 ''대지 어머니와 다른 이야기들'' (1989)에 수록되었다.[28]
''산과 스텝의 이야기들'' («Повести гор и степейru», 1963)은 프로그레스 출판사에서 1969년에 출판되었다. ''안녕, 굴사리!'' («Прощай, Гульсарыru», 1966)는 프로그레스 출판사에서 출판된 ''산과 스텝의 이야기들'' (1969)에 수록되었고,[29] 소련 국가상을 수상했다.
''하얀 증기선'' / ''하얀 배'' («Белый пароходru», 1970)는 호더 앤 스토턴(1972)과 크라운 출판 그룹(1972)에서 출판되었다. ''후지산 등반'' («Восхождение на Фудзиямуru», 칼타이 무자메자노프와 공동 집필, 1973)은 파라, 스트라우스 앤 지루에서 1975년에 출판되었다.
''일찍 나는 학'' («Ранние журавлиru», 1975)은 라두가 출판사에서 1983년에 출판되었다. ''해변을 따라 달리는 얼룩개'' / ''해안을 따라 달리는 얼룩개'' («Деңиз Бойлой Жорткон Ала Дөбөтky» / «Пегий пес, бегущий краем моряru», 1977)는 라두가 출판사에서 출판된 ''해변을 따라 달리는 얼룩개와 다른 이야기들'' (1989)과 파버 앤 파버에서 출판된 ''대지 어머니와 다른 이야기들'' (1989)에 수록되었다.
1980년 첫 장편 소설 백 년보다 긴 날 («И дольше века длится деньru»)을 발표했고, 인디애나 대학교 출판부에서 1983년에 출판되었다. 1988년에는 장편 소설 ''해골의 자리'' («Плахаru»)를 발표했고, 그로브 프레스에서 1989년에 출판되었다. 몇몇 작품은 일본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1988년부터 1990년까지 잡지 「외국 문학」 편집장을 역임했다.
''[https://archive.org/details/timetospeakoutaitmatov 말해야 할 시간]'' («Час словаru», 1988)은 러시아 및 소비에트 문학 저널리즘 도서관, 프로그레스 출판사에서 1988년에 출판되었다. ''카산드라의 낙인'' («Тавро Кассандрыru», 1996), ''산이 무너질 때'' («Когда горы падаютru», 2006) 등의 작품도 발표했다.
3. 3. 작품의 특징
친기스 아이트마토프는 전후 세대 작가로 분류된다.[1] 1958년 발표한 ''자밀라''[12]는 루이 아라공에 의해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로 칭송받으며 그를 세계적인 작가 반열에 올려놓았다. ''자밀라''는 전쟁으로 남편과 헤어진 여인이 장애를 가진 전직 군인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다룬다.[12]1963년 ''산과 초원의 이야기''( ''자밀라'', ''첫 번째 선생님'', ''안녕, 굴사리!''를 포함)로 레닌상을 수상했고,[13] ''안녕, 굴사리!''로 국가상을 받았다.[13] ''안녕, 굴사리!''는 인간과 종마 사이의 우정을 다루면서, 동시에 소련 정부에 대한 비판적 알레고리를 담고 있다.
1980년에는 첫 장편 소설 ''백년보다 긴 날''을 발표했고,[1] 1988년에는 ''해골의 장소''를 발표했다. ''백년보다 긴 날''은 망쿠르트 전설을 통해 비극적 알레고리를 제시하며 철학적 상징성을 드러낸다.[1] 그의 작품들은 일본어를 포함,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아이트마토프의 작품은 민속, 신화, 전설을 현대적 맥락에서 재창조하는 특징을 보인다.[1] 거의 모든 이야기에서 신화나 전설을 언급하며, 이는 그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이다.[1] 또한, 동물과의 친밀함을 강조하며, 인간과 동물의 삶이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아이트마토프는 키르기스어와 러시아어에 모두 능통했으며,[15] 초기 작품은 주로 키르기스어로 작성 후 러시아어로 번역되었고, 1966년부터는 러시아어로 직접 작품을 썼다.[15] 1954년 키르기스어로 발표된 첫 작품은 "하얀 비"였다. 1957년 "세이데의 탄식"으로 러시아 문단에 데뷔했다.[30] 초기 3부작인 『세이데의 탄식』, 『자밀라』, 『사랑하는 타파리요크』를 통해 작가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30]
4. 정치 및 외교 활동
친기스 아이트마토프는 문학 활동 외에도 정치 및 외교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1990년부터 1993년까지 소련과 러시아의 벨기에 대사를 역임했으며,[1] 페레스트로이카 시기에는 문학가로서 개혁을 주장했다.[1] 1990년 키르기스에 대통령제가 도입되면서 민주·개혁파로부터 대통령 선거 출마 요청을 받았으나 고령을 이유로 거절하고 아스카르 아카예프를 추천했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에는 독립 키르기스스탄의 유럽 연합, NATO, 유네스코 및 베네룩스 국가 대사를 역임했다.[1] 그의 아들 아스카르 아이트마토프(Askar Aitmatov)는 아카예프 정권에서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5. 사망
아이티마토프는 키르기스인 아버지와 타타르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31] 1958년에 소설 《자밀라》를 발표했다.[31] 1980년에는 첫 소설 《The Day Lasts More than a Hundred Years》를, 1988년에는 소설 《The Scaffold》를 발표했다.[31] 그의 여러 작품들은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31]
2008년 신부전으로 고통받다가 2008년 5월 16일 독일 뉘른베르크의 한 병원에 입원했고, 2008년 6월 10일 79세의 나이로 폐렴으로 사망하였다.[31]
6. 수상 내역
사회주의 노동 영웅 (1978년 7월 31일)[16],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립상 (1976년)[17], 레닌상 (1963년)[17]을 수상했다. 소련 국가상은 1968년, 1977년,[18] 1983년에 수상했다. 레닌 훈장 2개 (1971년 7월 2일, 1978년 7월 31일)[16], 10월 혁명 훈장 (1988년 12월 12일)[19], 노동 적기 훈장 2개 (1962년 5월 4일[20] 및 1967년 10월 28일)[21]), 노동 훈장 (1958년 11월 1일)[17]을 받았다. 키르기스 공화국 영웅 (1997년 2월 4일), 기념 금제 훈장 "마나스-1000" 및 기념 금메달 (1995년 8월 15일), 마나스 훈장 (1999년 5월 24일)을 수여받았다. 러시아 우정 훈장 (1998년 12월 8일)[17], 우즈베키스탄 우정 훈장 (1995년 8월 30일)[22], 우즈베키스탄 탁월한 공로 훈장 (1998년 12월 11일)[23], 카자흐스탄 조국 훈장 (1999년 1월 23일), 아제르바이잔 우정 훈장 (2008년 2월 25일), 폴란드 미소 훈장을 받았다.
7. 주요 작품 목록
- ''자밀라'' («Джамиляru», 1958)
- * 프로그레스 출판사에서 출판된 ''산과 스텝의 이야기들'' (1969)에 수록.[24] ("자밀라", 번역: 파이냐 글라고레바)
- * 텔레그램 북스 (2007). ("자밀라", 번역: 제임스 리오던)
- ''가지고 잃다'' («Тополек мой в красной косынкеru», 1961) 프로그레스 출판사에서 출판된 ''단편 소설집'' (1965)에 수록.[25] (번역: 올가 샤르체)
- ''낙타의 눈'' / ''낙타의 눈'' («Верблюжий глазru», 1961)
- * 프로그레스 출판사에서 출판된 ''소비에트 단편 소설 선집'' 2권 (1976)에 수록.[26] ("낙타의 눈", 번역: 올가 샤르체)
- * 파버 앤 파버에서 출판된 ''대지 어머니와 다른 이야기들'' (1989) ("낙타의 눈", 번역: 제임스 리오던)
- ''두이센'' / ''첫 번째 선생님'' («Первый учительru», 1962)
- * 프로그레스 출판사에서 출판된 ''단편 소설집'' (1965)에 수록.[27] ("두이센", 번역: 올가 샤르체)
- * 파버 앤 파버에서 출판된 ''대지 어머니와 다른 이야기들'' (1989) ("첫 번째 선생님", 번역: 제임스 리오던)
- ''대지 어머니'' («Саманчынын жолуky» / «Материнское полеru», 1963)
- * 프로그레스 출판사에서 출판된 ''단편 소설집'' (1965)에 수록.[28] (번역: 파이냐 솔라스코)
- * 파버 앤 파버에서 출판된 ''대지 어머니와 다른 이야기들'' (1989) (번역: 제임스 리오던)
- ''산과 스텝의 이야기들'' («Повести гор и степейru», 1963), 프로그레스 출판사 (1969).
- ''안녕, 굴사리!'' («Прощай, Гульсарыru», 1966)
- * 프로그레스 출판사에서 출판된 ''산과 스텝의 이야기들'' (1969)에 수록.[29] (번역: 파이냐 글라고레바)
- * 호더 앤 스토턴 (1970). (번역: 존 프렌치)
- ''하얀 증기선'' / ''하얀 배'' («Белый пароходru», 1970)
- * 호더 앤 스토턴 (1972). ("하얀 증기선", 번역: 타티야나 & 조지 페이퍼)
- * 크라운 출판 그룹 (1972). ("하얀 배", 번역: 미라 긴즈버그)
- ''후지산 등반'' («Восхождение на Фудзиямуru», 칼타이 무자메자노프와 공동 집필, 1973), 파라, 스트라우스 앤 지루 (1975). (번역: 니콜라스 베델)
- ''일찍 나는 학'' («Ранние журавлиru», 1975). 라두가 출판사 (1983). (번역: 이브 매닝)
- ''해변을 따라 달리는 얼룩개'' / ''해안을 따라 달리는 얼룩개'' («Деңиз Бойлой Жорткон Ала Дөбөтky» / «Пегий пес, бегущий краем моряru», 1977)
- * 라두가 출판사에서 출판된 ''해변을 따라 달리는 얼룩개와 다른 이야기들'' (1989) ("해변을 따라 달리는 얼룩개", 번역: 알렉스 밀러)
- * 파버 앤 파버에서 출판된 ''대지 어머니와 다른 이야기들'' (1989) ("해안을 따라 달리는 얼룩개", 번역: 제임스 리오던)
- ''백 년보다 긴 날'' («И дольше века длится деньru», 1980). 인디애나 대학교 출판부 (1983). (번역: 존 프렌치)
- ''해골의 자리'' («Плахаru», 1987). 그로브 프레스 (1989). (번역: 나타샤 워드)
- ''[https://archive.org/details/timetospeakoutaitmatov 말해야 할 시간]'' («Час словаru», 1988) 러시아 및 소비에트 문학 저널리즘 도서관, 프로그레스 출판사 (1988). (번역: 파울라 가브)
- ''카산드라의 낙인'' («Тавро Кассандрыru», 1996)
- ''산이 무너질 때'' («Когда горы падаютru», 2006)
- ''대영혼에 대한 송가: 이케다 다이사쿠와의 대화'', I.B. 타우리스 (2009).
- 험난한 길 (A Difficult Passage, 1956년)
- 면대면 (Face to Face, Лицом к лицуru, 1957년) - 일본어 번역본: 『세이데의 탄식』
- 자밀라 (Jamilla, Джамиляru, 1958년) - 일본어 번역본: 『자밀랴』, 『그림 속의 두 사람』, 『이 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
- 사랑하는 타발료크
- 첫 번째 선생님 (The First Teacher, Первый учительru, 1962년)
- 산과 초원의 이야기 (Tales of the Mountains and Steppes, Повести гор и степейru, 1963년)
- 낙타의 눈 (1963년)
- 안녕, 굴사리! (Farewell, Gulsary! / Прощай, Гульсарыru, 1966년)
- 하얀 배 (The White Ship / Белый пароходru, 1970년)
- 후지산 등반 (The Ascent of Mt. Fuji, Восхождение на Фудзиямуru, 1973년)
- 병사의 아들 (1974년)
- 백 년보다 더 긴 하루 (The Day Lasts More Than a Hundred Years, И дольше века длится деньru, 1980년)
- 처형대 (The Scaffold, Плахаru, 1988년)
- 카산드라의 각인 (1994년)
- 산이 무너질 때 - 영원한 신부 (2006년) - 일본어 번역본: 『키르기스의 설표 영원한 신부』
7. 1. 한국어 번역본
- 오가사와라 토요키/小笠原豊樹일본어 역, 슈에이샤 『세계 문학 전집 20세기의 문학 30』 내 수록, 『그림 속의 두 사람』(1970년)
- 사노 아사코/佐野朝子일본어 역, 학습연구사 주니어 세계의 문학, 『초원의 노래』(1970년), 이후 『키르기스의 푸른 하늘』 동심사・포아 문고(1982년) ※ 「자밀랴」, 「첫 선생님」 수록.
- 오카바야시 큐미/岡林茱萸일본어 역, 이이즈카 서점, 『하얀 증기선』(1974년)
- 쿠로다 타츠오/黒田辰男일본어 역, 프로그레스 출판소, 『현대 소비에트 작가 3인집 초봄의 학』(1980년)
- 이이다 노리카즈/飯田規和일본어 역, 고단샤, 『세기보다 긴 하루』(1984년 7월)
- 오카바야시 큐미 역, 리론샤, 『하얀 증기선』(1984년 2월) ※ 동 타이틀 외 「병사의 아들」, 「낙타의 눈」 수록.
- 사토 쇼코/佐藤祥子일본어 역, 군조사・현대의 러시아 문학, 『처형대』(1988년)
- 세이쿄 신문사, 『페레스트로이카와 휴머니즘』(1990년)
- 아카누마 히로시 역, 다이산분메이샤, 『첫 교사・어머니 대지』(1990년)
- 이케다 다이사쿠 공저, 요미우리 신문사, 『위대한 영혼의 시』(1991년 - 1992년)
- 이이다 노리카즈・카메야마 이쿠오/亀山郁夫일본어 역, 시오 출판사, 『칭기즈 칸의 하얀 구름』(1991년) ※ 동 타이틀 외, 「세이데의 탄식(원제 『마주보고』)」을 수록.
- 이이다 노리카즈 역, 시오 출판사, 『카산드라의 낙인 20세기의 이단의 서』(1996년)
- 아사미 쇼고/浅見昇吾일본어 역, 하나카제사, 『이 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1999년)
- 아베 쇼키치/阿部笑吉일본어 역, 오쇼보, 『사랑하는 타파료크』(2000년)
- 아사미 쇼고 역, 하나카제사, 『눈물이 별로 변할 때』(2002년)
- 아베 쇼키치 역, 시오 출판사, 『키르기스의 눈표범―영원한 신부』(2008년)
참조
[1]
뉴스
Kyrgyz writer, perestroika ally Aitmatov dies
https://web.archive.[...]
Reuters UK
2008-06-10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Russian and Soviet Cinema
Rowman & Littlefield
[3]
웹사이트
Chingiz Aitmatov: Leading novelist of Central Asia
https://www.independ[...]
2020-02-22
[4]
웹사이트
AITMATOV, Chingiz (Torekulovich)
https://www.encyclop[...]
2020-02-22
[5]
웹사이트
2nd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961)
http://www.moscowfil[...]
2012-11-04
[6]
웹사이트
7th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971)
http://www.moscowfil[...]
2012-12-22
[7]
웹사이트
Berlinale: 1994 Juries
http://www.berlinale[...]
2011-06-09
[8]
웹사이트
24th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02)
http://www.moscowfil[...]
2013-03-30
[9]
웹사이트
KYRGYZSTAN: CHINGIZ AITMATOV, A MODERN HERO, DIES
http://www.eurasiane[...]
EurasiaNet
2009-07-26
[10]
웹사이트
Chingiz Aitmatov's Lifelong Journey Toward Eternity
http://www.rferl.org[...]
Radio Free Europe, Radio Liberty
2009-07-26
[11]
뉴스
Chingiz Aitmatov, Who Wrote of Life in U.S.S.R., Is Dead at 79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8-06-15
[12]
문서
Jamila
https://www.angelfir[...]
2002
[13]
웹사이트
The Art of Chingiz Aitmatov's Stories
https://www.angelfir[...]
[14]
문서
We were not silent
http://www.memo.ru/l[...]
1988-05-05
[15]
웹사이트
Ирина Мельникова: Работу над сборником Айтматова считаю подарком судьбы
http://www.vb.kg/doc[...]
2015-05-27
[16]
뉴스
Указ Президиума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О присвоении звания Геро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го Труда писателю Айтматову Ч.Т.
https://tert.nla.am/[...]
1978-08-09
[17]
웹사이트
Айтматов Чингиз Торекулович
https://warheroes.ru[...]
2024-10-02
[18]
뉴스
Постановление ЦК КПСС и Совета Министров СССР О присуждени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х премий СССР 1977 года в области литературы, искусства и архитектуры
https://portal-kultu[...]
1977-11-08
[19]
뉴스
Указ Президиума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О награждении тов. Айтматова Ч. Т. орденом Октябрьской Революции
https://tert.nla.am/[...]
1988-12-21
[20]
뉴스
Указ Президиума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О награждении орденами и медалями СССР работников печати, радио, телевидения, издательств и типографий
https://tert.nla.am/[...]
1962-05-12
[21]
뉴스
Указ Президиума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О награждении орденами и медалями СССР деятелей совет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https://tert.nla.am/[...]
1967-11-01
[22]
뉴스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еспублики Узбекистан О награждении Айтматова Чингиза Торекуловича орденом «Дустлик» Республики Узбекистан
1995-08-31
[23]
뉴스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еспублики Узбекистан О награждении Айтматова Чингиза Торекулович орденом "Буюк хизматлари учун"
http://press.natlib.[...]
1998-12-12
[24]
간행물
Tales of the Mountains and Steppes
1969
[25]
간행물
Short Novels
1965
[26]
간행물
Anthology of Soviet Short Stories
1976
[27]
간행물
Short Novels
1965
[28]
간행물
Short Novels
1965
[29]
간행물
Tales of the Mountains and Steppes
1969
[30]
문서
『いとしのタパリョータ』訳者あとがき
[31]
웹인용
Kyrgyz writer, perestroika ally Aitmatov dies
http://uk.reuters.co[...]
Reuters UK
2008-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