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밀감에 대한 공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밀감에 대한 공포는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것에 대한 불안감이나 두려움을 느끼는 심리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공포는 개인 정보를 공유하는 능력, 정서적 반응, 타인에 대한 취약성 등 세 가지 특징으로 정의되며, 안정형, 몰입형, 공포형, 무시형의 네 가지 성인 애착 유형과 관련이 있다. 유년기 경험, 특히 버림받거나 억압당한 경험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학대, 방임, 부모의 문제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징후로는 여러 관계를 동시에 맺거나, 완벽주의적인 성향, 감정 표현의 어려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우울증을 겪는 여성이나 학대 피해자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 극복을 위해서는 불확실성 수용, 자기 연민, 과거 돌아보기, 내면의 목소리에 주목하기, 목표 설정, 꾸준한 노력 등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안 장애 - 광장공포증
광장공포증은 공황 발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공포를 느끼고, 그러한 장소를 회피하는 불안 장애로, 심계항진, 맥박 가속, 발한 등의 신체적 증상과 통제력 상실에 대한 공포를 동반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있고, 인지행동치료나 약물 치료 등의 치료법이 존재하며, 여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 - 불안 장애 - 무대 공포증
무대 공포증은 대중 앞에서 극심한 두려움과 불안을 느끼는 현상으로, 심리적, 신체적 증상을 동반하며 학업, 직업, 사회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심리 치료, 약물 치료, 자가 치료법 등을 통해 극복 가능하며 사회적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친밀감에 대한 공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일반적인 이름 | 친밀감에 대한 공포 |
다른 이름 | 친밀감 회피 관계 공포증 |
로마자 표기 | philophobia |
특징 | |
유형 | 불안 장애 |
설명 | 다른 사람과 가깝거나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에 대한 비합리적인 두려움 |
증상 | 친밀한 관계에 대한 강한 두려움과 불안 친밀한 관계를 피하려는 경향 관계에 대한 불안 낮은 자존감 우울증 불안 외로움 |
원인 | |
원인 | 어린 시절의 외상 경험 애착 문제 거부에 대한 두려움 과거의 나쁜 관계 경험 문화적 요인 유전적 요인 |
진단 및 치료 | |
진단 | 임상 심리학자에 의한 정신적 평가 |
치료 | 정신 치료 인지 행동 치료 노출 치료 약물 치료 |
기타 | |
관련 질병 | 회피성 인격 장애, 불안 장애 |
2. 증상
이러한 공포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것에 대하여 불안이나 공포를 느낀다. 이들은 타인으로부터 사랑이나 지지를 받을 자격이 없다고 생각한다. 친밀감에 대한 공포를 정의하는 데에는 다음의 세 가지 특징이 있다.[16]
# 개인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에 해당하는 내용(content)
# 주고받는 개인 정보에 대한 감정을 의미하는 정서적 유의성(情緖的 誘意性, emotional valence)
# 친밀한 사람에 대한 존경을 표하는 것으로서 마음 열기(vulnerability)
바르톨로뮤(K.Bartholomew)와 호로비츠(L.M.Horowitz)는 이를 더욱 진전시켜서 네 가지 성인 애착 유형을 제시하였다.[17]
# 안정형(secure)은 자신이 가치있는 사람(worthiness)이고 사랑받을 수 있는 자격(lovability)이 있다는 느낌을 가지고 있으며, 친밀감과 자율성에 대하여 편안하다.
# 몰입형(preoccupied)은 자기가치성(self-worthiness)의 느낌이 결여되어 있지만 타인을 긍정적으로 보면서 자신의 사랑과 인정을 추구한다.
# 공포형(fearful)은 사랑받을 수 있는 자격이 있다는 느낌이 결여되어 있으며 타인이 거절할 것이라는 생각에 타인을 회피한다.
# 무심형(dismissing)은 사랑의 가치를 느끼지만 신뢰할 수 없다고 보는 타인들로부터 멀어진다.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은 로맨틱, 플라토닉, 혹은 친숙한 관계 등 어떤 유형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기저에 있는 두려움이 나타난다는 것은 타인과의 연결을 이루려는 것의 반대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친밀한 관계를 강하게 원하지만, 친밀감에 대한 공포는 이러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에 문제를 일으킬 행동을 하게 한다는 것이다.
역설적으로, 관계태업(relationship-sabotaging) 행동은 문제 있는 관계를 특별히 중시하는 경우에 가장 잘 드러난다.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사람과 알게 되면 잘 이해된다. 친밀감을 원하지 않는 한, 두려움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아래는 몇 가지 행동들이다.
- 한번에 여러 명과 데이트를 하면서도 한 사람에게 전념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 완벽주의자이다.
- 욕구 표현이 힘들다.
- 관계태업(sabotaging relationships)을 한다.
- 신체접촉에 대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20]
3. 원인
버림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과 함입에 대한 두려움은 모두 상실에 대한 두려움으로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핵심에 있다. 이 두려움은 보통 함께 존재하며,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파트너를 끌어들였다가 다시 밀쳐내는 행동을 유발한다는 공통점이 있다.[18]
이러한 두려움은 주로 어린 시절의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성인이 된 후의 대인 관계를 통해서도 촉발될 수 있다. 현재 상황만으로 관계를 파악하려 하면 혼란만 커질 수 있다.
유기공포를 가진 사람은 파트너가 자신을 떠날 것을 걱정한다. 이는 어린 시절 부모나 중요한 어른으로부터 정서적으로나 물리적으로 버림받았던 경험에서 비롯된다. 반면 함입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사람은 관계 속에서 통제당하거나, 지배당하거나, 자신을 잃어버릴 것을 두려워한다. 이러한 두려움은 주로 구성원 간의 사적인 경계가 무너진 밀착된 가족(enmeshed family) 환경에서 성장한 배경에서 유래한다.[18]
어린 시절 부모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애착(attachment)에 문제가 생긴 것이 주요 원인이다. 특히 낯선 사람을 무조건 불신하라는 부모의 가르침, 우울증이나 강간 피해 경험 등이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을 더 흔하게 만든다. 교사, 친척, 또래 친구 등 가정 밖의 관계에서도 트라우마를 겪을 수 있다. 청소년기와 성년기의 관계 경험은 친밀감에 대한 개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구체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언어 학대
- 신체 학대
- 성적 학대
- 신체적 방임(physical neglect) : 아이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신체적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것
- 정서적 방임(emotional neglect) : 아이를 정서적으로 돌보지 못하는 것
- 사망, 이혼 등으로 인한 부모 상실
- 부모의 질병 : 아픈 부모로 인해 자신만을 믿어야 한다고 생각하거나, 자녀가 부모를 돌보는 역할 역전(role reverse), 혹은 부모 역할을 대신하여 어린 형제를 돌봐야 하는 상황
- 부모의 정신적 문제 : 자기애적 인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를 가진 부모(부모화)
- 부모의 약물 남용
- 밀착 가족(enmeshed family) : 지지와 사랑이 있더라도, 밀착 가족은 부모와 자식 간의 경계(boundary)가 무너지고 역할이 뒤섞여 애착, 독립, 친밀감 등에 문제가 발생한다.[19] (밀착)
친밀감에 대한 공포증을 가진 사람들은 친밀한 관계에 대해 불안하거나 두려워하며,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서 사랑이나 지지를 받을 자격이 없다고 믿는다.[3] 친밀감에 대한 공포는 세 가지 특징을 갖는다. 개인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내용, 교환된 개인 정보에 대한 감정을 나타내는 정서적 가치, 그리고 친밀한 사람에 대한 생각을 나타내는 취약성이다.[1]
Bartholomew와 Horowitz는 성인 애착 유형을 네 가지로 제시했다.[4]
유형 | 특징 |
---|---|
안정형 | 자기 가치나 사랑받을 만한 가치를 느끼고 친밀감과 자율성에 편안함을 느낌 |
몰두형 | 자기 가치감은 부족하지만 다른 사람들을 긍정적으로 보고 그들의 사랑과 수용을 추구함 |
두려움형 | 사랑받을 만한 가치가 부족하고 거절을 예상하여 다른 사람들을 피함 |
무시형 | 사랑받을 만한 가치가 있다고 느끼지만 일반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고 여기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멀어짐 |
4. 징후
이러한 공포를 가진 사람들은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것에 대해 불안이나 공포를 느낀다. 이들은 타인으로부터 사랑이나 지지를 받을 자격이 없다고 생각한다.[16] 친밀감에 대한 공포는 다음 세 가지 특징으로 정의된다.[16]
- 개인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content)
- 주고받는 개인 정보에 대한 감정을 의미하는 정서적 유의성(emotional valence)
- 친밀한 사람에 대한 존경을 표하는 마음 열기(vulnerability)
바르톨로뮤(K. Bartholomew)와 호로비츠(L.M. Horowitz)는 이를 더 발전시켜 네 가지 성인 애착 유형을 제시했다.[17]
- 안정형(secure):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고 사랑받을 자격이 있다는 느낌을 가지며, 친밀감과 자율성에 편안함을 느낀다.
- 몰입형(preoccupied): 자기 가치감은 부족하지만 타인을 긍정적으로 보면서 자신의 사랑과 인정을 추구한다.
- 공포형(fearful): 사랑받을 자격이 없다는 느낌과 타인이 거절할 것이라는 생각에 타인을 회피한다.
- 무심형(dismissing): 사랑의 가치는 느끼지만 신뢰할 수 없다고 보는 타인으로부터 멀어진다.
유기공포와 함입에 대한 두려움은 모두 상실에 대한 두려움으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핵심에 있다. 이 두려움은 보통 함께 존재하며, 완전히 다른 성격이지만 파트너를 끌어들였다가 다시 밀쳐내는 행동을 일으킨다는 점은 같다.
이러한 두려움은 보통 유년기 경험에 기반을 두지만, 성인이 되어 경험하는 대인관계로 인해 촉발되기도 한다. 현재 상황만 가지고 관계를 살펴보면 혼란만 가중될 수 있다.
유기공포를 가진 사람은 파트너가 떠날 것을 걱정한다. 이는 어려서 부모나 중요한 어른으로부터 감정적, 물리적으로 버림받은 경험에서 비롯된다.
함입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사람은 관계 속에서 통제, 지배당하거나 자신을 잃어버릴 것을 두려워하며, 주로 구성원 간의 사적인 경계가 허물어진 밀착된 가족(enmeshed family) 내에서 성장한 배경에서 유래한다.[18]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은 로맨틱, 플라토닉, 친숙한 관계 등 어떤 유형의 관계에서도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기저에 있는 두려움이 나타난다는 것은 타인과의 연결을 이루려는 것과 반대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밀한 관계를 강하게 원하지만, 친밀감에 대한 공포는 이러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문제를 일으키는 행동을 유발한다.
역설적으로, 관계 태업(relationship-sabotaging) 행동은 문제가 있는 관계를 특별히 중시할 때 가장 잘 드러난다.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사람을 알게 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친밀감을 원하지 않으면 두려움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다음은 몇 가지 행동들이다.
- 한 번에 여러 명과 데이트를 하면서도 한 사람에게 전념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 완벽주의자이다.
- 욕구 표현이 힘들다.
- 관계 태업(sabotaging relationships)을 한다.
- 신체 접촉에 어려움을 겪는다.[20]
5. 대처 행동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은 연애, 플라토닉, 가족 관계 등 다양한 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두려움은 역설적이게도 타인과의 관계를 강하게 원할수록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하는 행동으로 이어진다.
관계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행동은 다음과 같다.
- 한 번에 여러 명과 데이트를 하면서도 한 사람에게 전념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 완벽주의적인 성향을 보인다.
-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 관계를 망치는 행동(sabotaging relationships)을 한다.
- 신체 접촉에 어려움을 느낀다.[20]
전문가의 도움 외에도, 이러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스스로 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다. 부정적인 자아상을 직면하고 극복하며, 불확실성을 수용하고 자신을 성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불확실성 수용하기: 삶과 관계의 불확실성을 인정하고, 좋은 결과만을 바라기보다 하루하루에 집중하며 살아간다.
- 자기 연민: 자신을 편안하게 대하고 자신의 가치를 인식하며, 타인과의 경계를 명확히 한다.
- 과거 돌아보기: 부모와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돌아보고, 부정적인 경험(무시, 방임, 학대, 통제 등)이 있었다면, 그러한 관계가 인간관계의 유일한 모델이 아님을 인지한다.
- 내면의 소리에 주목하기: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을 유발하는 자기 비판적인 목소리를 인식하고, 이러한 판단을 멈추고 그 근원을 찾아 고치려고 노력한다.
- 목표 설정하기: 지속적인 친밀한 관계를 원한다면, 과거에 사람들을 어떻게 밀쳐냈는지, 현재와 과거에 자신이 원하는 것과 목표는 무엇인지, 어떤 행동이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지 살펴본다.
- 꾸준히 노력하고 기다리기: 변화는 하루아침에 일어나지 않으므로, 중간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자신을 용서하고, 천천히 나아가면 언젠가 나아질 것이라고 믿는다.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21]
6. 관련 대상자
친밀감에 대한 공포를 가진 사람들은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것에 대해 불안이나 공포를 느낀다. 이들은 타인으로부터 사랑이나 지지를 받을 자격이 없다고 생각한다.[16] 친밀감에 대한 공포는 다음 세 가지 특징으로 정의된다.[1]
- 개인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 (내용)
- 주고받는 개인 정보에 대한 감정 (정서적 유의성)
- 친밀한 사람에 대한 존경을 표하는 것 (마음 열기)
바르톨로뮤(K.Bartholomew)와 호로비츠(L.M.Horowitz)는 네 가지 성인 애착 유형을 제시하였다.[17]
유기공포와 함입에 대한 두려움은 상실에 대한 두려움으로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핵심에 있다. 양자는 보통 공존하며, 파트너를 끌어들였다가 다시 밀쳐내는 행동을 일으킨다.
이러한 두려움은 보통 유년기 경험에 기반을 두지만, 성인이 되어 경험하는 대인관계를 통해 촉발되기도 한다. 현재 상황만 가지고 관계를 살펴보면 혼란만 가중될 수 있다. 유기공포를 가진 사람은 파트너가 떠날 것을 걱정하며, 이는 어려서 부모나 중요한 어른으로부터 감정적 혹은 물리적으로 버림받은 경험에서 비롯된다. 함입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사람은 관계 속에서 통제, 지배당하거나 스스로를 잃어버릴 것을 두려워하며, 주로 밀착된 가족 내에서 성장한 배경에서 유래한다.[18]
6. 1. 여성
레이스와 그레나이어(Grenyer)의 연구에 따르면, 우울증을 겪는 여성들은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 다른 연구에서는 여성의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 원하는 친밀감이 아닌 실제 친밀감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7] 이 연구는 또한 여성의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수준이 커플 관계의 지속 기간을 잘 나타내는 지표임을 밝혔다.[8]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친밀감을 두려워하는 여성들은 파트너가 이러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데이트 관계에서 친밀감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8] 이 연구는 또한 여성의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 관계의 친밀도와 관계의 지속 가능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8]
또한, "낯선 사람을 믿지 않도록 가르침을 받은 여성들은 낯선 사람을 불신하도록 훈련받지 않은 여성들보다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과 외로움을 더 많이 경험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9]
6. 2. 학대 피해 여성
애착(attachment)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특히 낯선 사람을 무조건 불신하라는 부모의 가르침, 우울증이나 강간 피해를 당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 더 흔하다. 교사, 친척, 괴롭히는 친구 등 가정 바깥 관계에서도 트라우마적 관계를 맺었을 수 있다. 청소년기와 성년기 관계 경험이 친밀감에 대한 개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언어 학대
- 신체 학대
- 성적 학대
- 신체적 방임(physical neglect)
- 정서적 방임(emotional neglect)
- 사망, 이혼 등으로 부모를 잃음
- 부모의 질병
- 부모의 정신적 문제
- 부모의 약물 남용
- 밀착 가족(enmeshed family)[19] (밀착)
1998년, 마크 텔렌(Mark H. Thelen), 미셸 셔먼(Michelle D. Sherman), 티파니 보스트(Tiffany S. Borst)는 강간 피해자들이 애착과 친밀감에 대한 공포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3] 이들은 FIS와 다른 방식을 이용하여 강간 피해자들과 학대받은 적 없는 대조군들을 비교하였다. 특성불안(trait anxiety) 환자는 제외되었다. 그 결과, 친밀감에 대한 공포, 타인을 믿을 수 있는 것에 대한 신뢰 정도, 친밀함에 대한 편안한 느낌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고 밝혀졌다.[5] 이 연구 결과는 타인을 믿을 수 있는 것에 대한 신뢰 정도와 친밀함에 대한 편안한 느낌은 FIS와 부정적으로 연관이 있으나, 유기공포(fear of abandonment)는 FIS와는 연관이 없음을 보여준다. 애착 범위와 FIS는 특성불안에 있어서 예상되는 방향과 중요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연구 결과는 강간 피해자는 친밀감에 대한 공포가 더 높다는 점에서 대조군과는 차이를 보이며, 이는 강간 피해 여성이 친밀한 관계에 있어서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을 말한다.[4] 강간 피해 사실을 드러낸 여성은 친밀감에 대한 공포나 애착 측정에 있어서 강간 피해 사실을 드러내지 않은 여성과는 중대한 차이점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 차이는 이미 예견된 방향이었다.[6]
또 다른 연구는 학대받은 경험이 없는 여성에 비하여 학대받은 여성은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자기희생(self-sacrifice)의 외면화, 침묵, 친밀한 관계의 단절을 보여주었다.[8] 또한 대인관계에서 경험한 신뢰의 배신(betrayal of trust)으로 인하여 폭행 피해 여성과 함께 작업할 때, 이러한 여성을 도우려는 것의 어려움은 커지게 된다는 것도 밝혔다.[10]
6. 3. 유년기 성적 학대 피해자
어렸을 적 부모가 신뢰할 수 없는 대상이어서 애착(attachment)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특히 낯선 사람을 무조건 불신하라는 부모의 가르침, 우울증이나 강간 피해를 당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 더 흔하다. 교사, 친척, 괴롭히는 친구 등 가정 바깥 관계에서도 트라우마적 관계를 맺었을 수 있다. 청소년기와 성년기 관계 경험이 친밀감에 대한 개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유년기 성적 학대 피해자는 타인이 자신의 본모습을 보는 것을 극도로 두려워한다. 이들은 그럴만한 자격 있는 사람을 신뢰하고 이들에게 자신을 개방하는 것을 다시 피해를 입는 것으로 여기고 두려워한다.[10] 이들의 경험으로 인하여, 친밀감은 유년기 성적 학대 피해자 대부분에게 매우 두려운 것으로 느껴질 것이다. 타인과 다시 친밀감을 느낀다는 것은 이런 상황이 매우 위험하며 이용당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상기하는 것이다.[11]
6. 4. 아동 성추행자 및 아동 학대자
애착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 주요 원인이며, 어렸을 적 부모가 신뢰할 수 없는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낯선 사람을 무조건 불신하라는 부모의 가르침, 우울증이나 강간 피해를 당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 더 흔하다. 교사, 친척, 괴롭히는 친구 등 가정 바깥 관계에서도 트라우마적 관계를 맺었을 수 있다. 청소년기와 성년기 관계 경험이 친밀감에 대한 개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19]- 언어 학대
- 신체 학대
- 성적 학대
- 신체적 방임 : 아이의 신체 발달에 필요한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함
- 정서적 방임 : 아이를 정서적으로 돌보지 못함
- 사망, 이혼 등으로 부모를 잃음
- 부모의 질병 : 아픈 부모로 인해 자기 자신만을 믿을 수 있다고 생각함, 자녀가 부모를 돌봐야 하는 역할 역전, 혹은 부모 역할을 대신하여 어린 형제를 돌봐야 하는 상황이 됨
- 부모의 정신적 문제 : 자기애적 인격장애를 가진 부모(부모화)
- 부모의 약물 남용
- 밀착 가족 : 설령 지지와 사랑이 있다해도, 밀착 가족은 부모와 자식의 경계가 무너지고 역할이 뒤죽박죽되어, 애착, 독립, 친밀감 등에 문제가 발생함 (밀착)
최근 연구에서는, 충분한 친밀감을 경험하지 못하거나 외로움을 느끼는 이들은 성폭력행위를 드러내기 쉽다는 것이 드러났다.[12] 아동성추행자는 강간범, 성적학대와는 무관한 재소자, 일반인들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수준의 친밀감에 대한 공포를 보였다고 한다.[13] 또한 애착 불안 남성은 갈등 상황에서 다른 목표를 보이는데, 즉 연결된 상태로 있는 것이다. 이는 심각하지만 가볍지 않은 폭력과 심리적 학대를 사용하는 것을 완화시킬 것이라고 하였다.[14]
7. 친밀감에 대한 공포 측정 등급
바르톨로뮤(K. Bartholomew)와 호로비츠(L.M. Horowitz)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성인 애착 유형을 제시하였다.[17]
유형 | 설명 |
---|---|
안정형(secure) |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고 사랑받을 수 있는 자격이 있다는 느낌을 가지고 있으며, 친밀감과 자율성에 대하여 편안하다. |
몰입형(preoccupied) | 자기 가치성의 느낌이 결여되어 있지만, 타인을 긍정적으로 보면서 자신의 사랑과 인정을 추구한다. |
공포형(fearful) | 사랑받을 수 있는 자격이 있다는 느낌이 결여되어 있으며, 타인이 거절할 것이라는 생각에 타인을 회피한다. |
무심형(dismissing) | 사랑의 가치를 느끼지만, 신뢰할 수 없다고 보는 타인들로부터 멀어진다. |
친밀감에 대한 공포 측정 등급(The Fear of Intimacy Scale, FIS)은 35가지 자기 평가로서 개인의 친밀감에 대한 공포 수준을 측정한다. 이 테스트는 개인이 어떤 관계에 있지 않더라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 도이(Doi)와 텔렌(Thelen)은 FIS가 타인을 신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을 때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지만, 버림받을 수 있다는 두려움이 있을 때는 편안함과 친밀함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5] 높은 점수는 친밀감에 대한 공포 수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8. 친밀감 불안 장애
친밀감불안장애는 한 명 이상의 친밀/성적 상호관계, 파트너-사교성 상호관계에서 불안이나 공포를 강렬하게 느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당한 고통을 불러일으키면서 동시에 일상생활을 원활하게 보내는 능력을 저해한다.[15]
성적 상호관계에서는 무능, 실수, 성적 상호관계를 수행하는 방식에 대한 평가에 대하여 강렬한 불안을 가지며, 성관계 동안 피해를 주거나 입을 수 있다.[15] 파트너-사교성 상호관계에서는 실수, 무능, 실패, 관계 수행에 대한 평가에 강렬한 불안을 갖는다.[15] 친밀감불안장애 판단기준에 부합하려면, 파트너-사교성 상호관계나 성적 상호관계에서 높은 불안감이 나타나야 한다.[15]
성적 상호 작용의 예로는 키스, 성적 접촉 및 성교가 있다. 강렬한 불안감의 배경에는 성적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 방식에 대한 무능력, 실수, 판단, 해를 끼치거나 해를 입을까 봐 두려워하는 등의 생각이 있다.[15]
파트너와의 사회적 상호 작용의 예로는 연애 대상과의 대화, 데이트 신청/함께 저녁 식사하기, 포옹, 손잡기, 키스 등이 있다. 불안감의 배경에는 파트너와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 방식에 대한 실수, 무능력, 실패 또는 판단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15]
참조
[1]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ear-of-Intimacy Scale
[2]
서적
Fear of Intimacy
[3]
논문
Avoidance of Intimacy: An Attachment Perspective.
[4]
논문
Attachment style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5]
논문
Barriers to Intimacy: An Object Relations Perspective
[6]
논문
Fear of Intimacy and Attachment among Rape Survivors.
[7]
논문
Intimacy Deficits, Fear of Intimacy, and Loneliness Among Sexual Offenders.
[8]
논문
Fear of Intimacy among Dating Couples.
[9]
논문
Loneliness and Fear of Intimacy Among Adolescents Who Were Taught Not to Trust Strangers During Childhood
[10]
논문
Normative Beliefs Regarding the Maintenance of Intimate Relationships Among Abused and Nonabused Women
[11]
논문
The Benefits and Risks of Patient Self-Disclosure in the Psychotherapy of Women with a History of Childhood Sexual Abuse.
[12]
논문
Intimacy deficits, the fear of intimacy, and loneliness among child molesters, rapists, non-sexually offending inmates, and a community sample: A comparative analysis.
https://digitalcommo[...]
The University of Nebraska - Lincoln
[13]
논문
Fear of Intimacy in Women: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tyles and Depressive Symptoms
[14]
논문
Fear of Intimacy and Attachment among Rape Survivors.
[15]
논문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timacy Anxiety Disorder.
[16]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ear-of-Intimacy Scale
[17]
논문
Attachment style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18]
웹사이트
Fear of Intimacy: Signs, Causes, and Coping Strategies
https://www.verywell[...]
2019-12-04
[19]
웹사이트
Fear of Intimacy: Signs, Causes, and Coping Strategies
https://www.verywell[...]
2019-12-04
[20]
웹사이트
Fear of Intimacy: Signs, Causes, and Coping Strategies
https://www.verywell[...]
2019-12-04
[21]
웹사이트
Fear of Intimacy: Signs, Causes, and Coping Strategies
https://www.verywell[...]
2019-1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