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색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칠색조는 무지개빛 또는 황금빛으로 빛나는 봉황을 모티브로 한 전설의 포켓몬이다. 성도지방 인주시티의 방울탑을 둥지로 삼았으며, 루기아가 서식하던 종탑이 불타자 라이코, 앤테이, 스이쿤에게 새 생명을 주고 모습을 감췄다고 전해진다. 무지개색 날개로 전 세계 하늘을 날아다니며, 칠색조를 본 사람은 영원한 행복을 얻는다는 전설이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지우가 처음 여행을 시작할 때 등장하며, 극장판 시리즈에도 출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꽃 포켓몬 - 파이어 (포켓몬)
파이어는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전설적인 불꽃 타입 포켓몬으로, 게임,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매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불꽃 포켓몬 - 리자몽
리자몽은 닌텐도에서 발매한 포켓몬스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파이리의 최종 진화형 가상 생물로, 거대한 날개와 꼬리 끝의 불꽃을 지닌 용과 같은 외형을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미디어믹스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 환상의 포켓몬 - 아르세우스
아르세우스는 포켓몬스터에 등장하는 환상의 포켓몬으로, 18가지 타입으로 변화가 가능하며 세계를 창조한 존재로 알려져 있고, 특별한 배포 이벤트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 환상의 포켓몬 - 쉐이미
쉐이미는 고슴도치를 모티브로 한 포켓몬으로, 두 가지 모습을 가지며,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고 강력한 고유 기술을 사용한다. - 제2세대 포켓몬 - 리아코
리아코는 악어를 닮은 풀 타입 포켓몬으로, 포켓몬스터 금·은·크리스탈의 스타팅 포켓몬 중 하나이며, 귀여운 외모와 달리 진화형은 강력하고 사나운 모습을 지니고, 애니메이션에서는 지우의 포켓몬으로 등장하여 활약한다. - 제2세대 포켓몬 - 치코리타
치코리타는 포켓몬스터에 등장하는 풀 타입 포켓몬으로, 머리의 잎사귀로 주변 환경을 감지하며, 《포켓몬스터 금·은》에서 처음으로 선택할 수 있는 포켓몬 중 하나이다.
칠색조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칠색조 |
일본어 이름 | 호우오우 (ホウオウ) |
영어 이름 | Ho-Oh |
포켓몬 정보 | |
전국 도감 번호 | 250 |
타입 | 불꽃 / 비행 |
진화 | 진화 전: 없음 진화 후: 없음 |
세대 | 제2세대 |
분류 | 무지개색포켓몬 |
특성 | 프레셔 / 재생력 |
키 | 3.8m |
몸무게 | 199.0kg |
2. 특징
칠색조는 무지개빛 또는 황금빛으로 빛나는 신성한 위엄을 지닌 봉황을 모티브로 한 전설의 포켓몬이다. 성도지방 인주시티의 방울탑과 관련된 전설을 가지고 있으며, 무지개색 날개로 전 세계 하늘을 날며 날아간 자리에 무지개를 만들고, 칠색조를 본 사람에게는 영원한 행복이 약속된다고 전해진다.
13번째 포켓몬스터 극장판이 개봉하기 전까지 유일하게 극장판에 나오지 않은 전설의 포켓몬이었으나,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의 발매와 함께 13번째 영화에 출연했다. 이후 《극장판 포켓몬스터: 너로 정했다!》에서는 메인 전설의 포켓몬으로 등장했다.
2. 1. 생김새 및 능력
무지개빛 또는 황금빛으로 빛나는 신성한 봉황을 모티브로 한 전설의 포켓몬이다. 무지개색 날개를 가지고 전 세계 하늘을 날아다니며, 칠색조가 날아간 자리에는 무지개가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칠색조를 본 사람은 영원한 행복이 약속된다는 전설도 전해진다.과거 성도지방 인주시티의 방울탑을 둥지로 삼았으나, 근처 루기아가 살던 종탑이 불타는 사건이 발생했을 때 그곳에서 죽은 포켓몬들(라이코, 앤테이, 스이쿤)에게 새 생명을 불어넣어 주었다고 전해진다.
게임 내에서는 강력한 불꽃 타입 전용 기술인 '''성스러운불꽃'''을 처음부터 배우고 있다. 이 기술에 맞은 상대는 50%의 높은 확률로 화상 상태 이상에 걸린다.
2. 2. 전설 및 상징
무지개빛 또는 황금빛으로 빛나는 신성한 위엄을 지닌 봉황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전설의 포켓몬이다. 성도지방 인주시티의 방울탑을 둥지로 삼았다고 전해진다. 과거 근처에 있던, 루기아가 살던 종탑이 불타는 사건이 발생했을 때, 그곳에서 죽은 세 마리의 포켓몬에게 새 생명을 불어넣어 각각 라이코, 앤테이, 스이쿤으로 부활시킨 뒤 오랜 시간 모습을 감추었다고 한다.모습을 감춘 후에는 무지개색 날개로 전 세계 하늘을 날아다니며, 칠색조가 지나간 자리에는 무지개가 생긴다는 신화가 전해진다. 또한, 칠색조를 본 사람은 영원한 행복을 얻게 된다는 전설도 있다.
칠색조의 영어 이름 'Ho-Oh'는 봉황의 일본어 명칭(鳳凰|호오jpn)에서 유래했으며, 거꾸로 읽어도 'Ho-Oh'가 되는 회문 구조이다.
3. 애니메이션에서의 칠색조
칠색조는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주인공 지우의 여정과 관련된 중요한 상징으로 등장한다. 1화에서 지우가 여행을 시작할 때 처음 목격되었으며, 당시 포켓몬 도감에도 정보가 없어 신비로운 존재로 그려졌다.[1] 이후 지우가 호연 지방이나 신오 지방으로 새로운 여행을 떠날 때 나타나거나, 배틀 피라미드에서 기선에게 패배했을 때 다시 등장하는 등, 지우의 길잡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모습으로 여러 차례 묘사되었다.
3. 1. 지우와의 만남
《포켓몬스터》 1화에서 지우가 처음 여행을 시작할 때 마지막 부분에 하늘 너머로 날아가는 포켓몬이 칠색조이다. 지우는 포켓몬 도감으로 칠색조를 조사하려고 했지만, 당시 도감에는 칠색조에 대한 데이터가 없었다. 이 때문에 칠색조는 《포켓몬스터 금·은》이 나오기 전에 등장한 첫 번째 2세대 포켓몬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포켓몬스터》 2화에서 지우는 포켓몬 센터에서 본 석판에 새겨진 파이어, 썬더, 프리져, 윈디의 모습 중 프리져를 칠색조로 착각하기도 했다. 이후 183화에서 지우는 인주시티의 불탄 탑에서 칠색조의 석판을 보고 제대로 알아보게 된다.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유빈은 칠색조를 만났던 사람들의 후손으로 설정되어 있다.
229화에서는 직접 등장하지 않았지만, 포켓몬들의 난동으로 엉망이 된 마을을 원래대로 되돌려 놓는 신비한 힘을 보여주었다.
이후 275화에서 지우가 호연 지방 쪽으로 날아가는 칠색조를 목격하고, 배틀 피라미드에서 기선에게 패배한 뒤에도 다시 한번 칠색조를 보는 등, 칠색조는 여러 차례 지우 앞에 나타나 마치 길잡이처럼 그의 여정을 인도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지우가 호연 지방이나 신오 지방으로 떠날 때에도 칠색조가 나타나 지우가 나아갈 길을 알려주고 사라졌다는 언급도 있다.
3. 2. 기타 등장
《포켓몬스터》 1화에서 지우가 처음 여행을 시작할 때 마지막 부분에서 하늘 너머로 날아가는 모습으로 처음 등장했다. 지우는 포켓몬 도감으로 칠색조를 조사하려 했지만, 당시 도감에는 데이터가 없었다. 이 때문에 《포켓몬스터 금·은》이 나오기 전에 등장한 첫 번째 2세대 포켓몬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2화에서는 지우가 포켓몬 센터에서 본 석판에 새겨진 프리져를 칠색조로 착각하는 장면이 나온다. 해당 석판에는 파이어, 썬더, 프리져, 윈디의 모습이 새겨져 있었다. 이후 183화에서 지우는 인주시티의 불탄 탑에서 칠색조가 그려진 진짜 석판을 보고 알아본다. 이때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는 유빈은 과거 칠색조를 만났던 사람들의 후손이라는 설정이다.
229화에서는 직접 모습을 드러내지는 않았지만, 포켓몬들의 난동으로 엉망이 된 마을을 원래대로 되돌려 놓는 신비한 힘을 보여주었다.
이후에도 칠색조는 지우의 여정에 중요한 순간마다 나타나 길잡이 역할을 해준다. 지우가 호연지방과 신오지방으로 여행을 떠날 때 다시 나타났으며, 275화에서는 지우가 호연지방 쪽으로 날아가는 칠색조를 목격했다. 또한 배틀 피라미드에서 기선에게 패배한 뒤에도 다시 나타나 지우가 나아갈 길을 암시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4. 다른 매체에서의 칠색조
칠색조는 주로 극장판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예고편이나 본편에서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거나 언급되었다.
4. 1. 극장판 시리즈
- 극장판 《세레비 시간을 초월한 만남》의 최초 장편 예고편에 칠색조가 등장하는 장면이 있었으나, 본편에는 나오지 않았다.
- 극장판 《뮤와 파동의 용사 루카리오》에서는 뮤가 칠색조로 변신한 모습으로 등장했다.
- 2010년 극장판 포켓몬스터 영화 예고편에 루기아와 함께 등장했다.
- 2020년 개봉한 《극장판 포켓몬스터 뮤츠의 역습 EVOLUTION》에서는 초반에 하늘을 나는 포켓몬을 칠색조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실제로는 깨비드릴조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