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라어는 14개의 자음과 10개의 모음을 가진 언어로, 강세가 독특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따르며 반복법을 사용하여 문장을 구성한다. 또한, 신체 부위나 친족 용어는 소유 주체를 명시해야 하며, 분리 불가 소유 접미사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아일랜드주 - 캐비엥
카비엥은 파푸아뉴기니 뉴아일랜드주에 위치한 지역으로, 과거 호주 통치와 일본군 점령을 겪었으며 현재는 전쟁의 흔적과 열대 우림 기후를 가진 다채로운 관광 명소이다. - 뉴아일랜드주 - 뉴아일랜드섬
뉴아일랜드섬은 비스마르크 제도에 속하며 소총 모양을 한 섬으로, 열대우림이 우거져 있고 파푸아뉴기니에서 온 사람들이 처음 정착했으며, 독일령과 일본군 점령을 거쳐 현재는 파푸아뉴기니의 일부이다. - 파푸아뉴기니의 언어 - 히리 모투
히리 모투는 파푸아뉴기니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모투족의 전통 무역 방식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 공용어로 사용되다 현재는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고령층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 파푸아뉴기니의 언어 - 모투어
모투어는 파푸아뉴기니에서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모음 중심의 음운 체계를 가지며 음절이 항상 모음으로 끝나고, 다섯 개의 단모음과 이중모음을 가지며, /r/과 /l/이 하나의 음소로 취급되고 /f/는 사용되지 않는다.
카라어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카라어 |
사용 지역 | 뉴아일랜드주, 파푸아뉴기니 |
사용자 수 | 5,000명 (1998년) |
언어 코드 | |
ISO 639-3 | leu |
Glottolog | kara1486 |
언어 계통 |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 | 오세아니아어군 |
하위 어군 | 서부 오세아니아어군 |
분기군 | 메소멜라네시아어군 (뉴아일랜드) |
어계 | 퉁앙-날리크어군 |
문자 체계 | |
문자 | 라틴 문자 |
2. 음운론
카라어는 자음 14개와 모음 10개를 가지고 있다.[1][2]
카라어의 강세는 음절의 상대적 강조로 나타나며, 단어의 모든 음절에서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2음절 이상인 단어에서 강세 위치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결정된다. 강세는 모음의 질, 음절의 종결, 단어 내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모음의 질이 가장 중요하다.[3]
핵이 /a/|/a/leu인 음절은 단어 내 위치와 관계없이 제1강세를 받는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qʰa.pʰɪs|′qʰa.pʰɪsleu (식물)
- ′qʰaq.sa.,ɤɘ|′qʰaq.sa.,ɤɘleu (외다리)
- nɛ.′tʰa.ɾɘ|nɛ.′tʰa.ɾɘleu (우리)
둘 이상의 음절을 가지고 있으며 핵이 /a/|/a/leu인 단어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온다. (예: ,ɾʊɾu.βeəq|,ɾʊɾu.βeəqleu 진흙투성이) /a/|/a/leu를 핵으로 하는 음절도 없고 폐쇄 음절도 없는 단어는 첫 음절에 강세가 온다. (예: ′ja.mu|′ja.muleu 도끼)[3]
2. 1. 자음
카라어는 14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다.[1] 단일 자음은 단어의 두음(초성), 두 모음 사이의 모음 간 자음, 종성(받침), 그리고 두 단어 미만의 음절에서 음절 중간에서 발견된다.[1] 무성 자음 는 두 번째 자음에 자음군을 형성한다.[1] 유성 자음 는 처음과 모음 사이에서 나타난다.[1] 이들은 자음군의 두 번째 자음으로 나타난다.[1] 예를 들어 βalβal|나무 수액leu이 있다.[1] 다른 방언들이 자음의 사용을 변경한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1] 서부 카라어는 모음이 앞에 오면 를 로 대체하고, 모음 앞에서는 를 로 보간하며 단어의 끝에서는 로 보간한다.[1]
자음 | 두음(초성) | 모음 간 | 종성(받침) |
---|---|---|---|
p | pʰabʊŋ|씨족leu | ipʰʊl|놀람leu | lɛp|파도leu |
t | tʰuɸ|사탕수수leu | xutʰat|가재leu | ɸat|돌leu |
q | qʰɔɾ|까마귀leu | xɔqʰɔɸ|머리 수건leu | laq|올라가다leu |
g | gis|아픈leu | gogon|쓸다leu | 발생하지 않음 |
2. 2. 모음
카라어는 10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IPA 모음 차트에서의 위치와 관련하여 카라어의 모음들은 언어 전체에서 서로 대조되는 경향이 있다. 중설 모음 a와 ə는 열린 음절과 닫힌 음절 모두에서 대조를 이룬다.[2] 예시는 다음과 같다.
- pʰa|동쪽leu, pʰɘ-|악기/동반하다leu
중모음 e와 ɛ, 그리고 o와 ɔ는 각 쌍에서 서로 보완적이다. 각 쌍은 '초성'과 '핵'으로 구성되지만 '코다'가 없는 열린 음절에서 발생한다.[2] 예시는 다음과 같다.
- pʰe|위치leu, pʰɜt|배신하다leu / pʰo|벙어리leu, [ɸɔt] (어떤 종류의 낚시)
고모음 i와 ɪ, 그리고 u와 ʊ는 닫힌 음절에서 대조를 이룬다.[2] 닫힌 음절은 '초성', '핵', '코다'로 구성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pʰit|끊다(밧줄)leu, pʰɪt|치다(무생물)leu
- pʰut|껍질leu, pʰʊt|분출하다/폭발하다leu
2. 3. 강세
카라어는 음절의 상대적 강조인 강세가 특이하게 나타난다. 카라어의 강세는 단어의 모든 음절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2음절 이상을 포함하는 모든 단어에서 강세 위치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결정된다. 하지만 접두사에서 파생된 음절은 규칙에 관계없이 절대 강세를 받지 않는다. 강세는 모음의 질, 음절의 종결, 단어 내 위치의 세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모음의 질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3]핵이 /a/|/a/leu인 음절은 단어 내 위치에 관계없이 제1강세를 받는다.
- ′qʰa.pʰɪs|′qʰa.pʰɪsleu '식물'
- ′qʰaq.sa.,ɤɘ|′qʰaq.sa.,ɤɘleu '외다리'
- nɛ.′tʰa.ɾɘ|nɛ.′tʰa.ɾɘleu '우리'
둘 이상의 음절을 가지고 있으며 핵이 /a/|/a/leu인 단어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온다.
- ,ɾʊɾu.βeəq|,ɾʊɾu.βeəqleu '진흙투성이'
/a/|/a/leu를 핵으로 하는 음절도 없고 폐쇄 음절도 없는 단어는 첫 음절에 강세가 온다.
3. 문법
카라어는 동사-주어-목적어 어순을 따르며, 반복법을 통해 더 복잡한 문장을 만든다. 신체 부위와 친족 용어는 소유 주체를 명시해야 하는데, 이는 불가분 소유를 가능하게 한다.[4]
3. 1. 동사
카라어의 동사는 타동사로 사용되며, 이는 카라어의 동사가 객체와 해당 동사 사이의 언어 사용 방식을 결정하는 스펙트럼을 포괄한다는 의미이다. 동사의 타동성은 또한 구어 사용이 화자와 청취자가 아닌, 적극적인 화자 두 명 사이에서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동사 kuus|말하다leu는 시작자는 있지만 적극적으로 말을 걸 대상은 없다.[5]3. 2. 반복법 (Reduplication)
반복법은 초기 파열 자음이 있는 단어에서 발생한다. 반복된 자음은 단어와 동일한 조음 내에서 마찰음으로 발음된다.[4]- βipʰɪs|비피스leu '확보된/구속된' (pʰɪs|피스leu '묶다' 참고)
- βipʰrt|비프트leu '치는' (pʰrt|프트leu '치다' 참고)
- βibɪt|비비트leu '거짓말하는' (bɪt|비트leu '거짓말하다' 참고)
- ɤuqʰus|으우쿠스leu '말하는' (qʰus|쿠스leu '말하다' 참고)
3. 3. 불가분 소유 (Inalienable possession)
어근 | 1인칭 단수 소유 | 2인칭 단수 소유 | 3인칭 단수 소유 | 의미 |
---|---|---|---|---|
nasə|나서leu | nasaq|나사크leu | nasam|나삼leu | nasənə|나서너leu | '아내' |
mɘtʰɘ|머터leu | mɘtʰaq|머타크leu | mɘtʰam|머탐leu | mətʰɘnɘ|머터너leu | '눈' |
βəsa|버사leu | βɘsaq|버사크leu | βɘsam|버삼leu | βəsanə|버사너leu | '형제자매' |
mi|미leu | mieq|미에크leu | mim|밈leu | minə|미너leu | '등' |
ɤu|어우leu | ɤuəq|어우어크leu | ɤum|어움leu | ɤunɘ|어우너leu | '배' |
2인칭 형태의 대부분은 ə|어leu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는 iɘ, uɘ, oɘ, eə|iɘ, uɘ, oɘ, eəleu와 같은 시퀀스가 ɤ|어leu 또는 q|크leu 앞에서만 발생하기 때문이다. ɘ|어leu가 시퀀스의 두 번째 모음이므로 ə|어leu는 ɤ|어leu와 q|크leu 이외의 자음 앞에서는 병합되거나 삭제된다.
4. 참고 문헌
결과물에서 모든 템플릿 문법과 Navbox 템플릿을 제거해야 합니다. `` 태그는 유지하되, `` 형태는 제거합니다.
```text
참조
[1]
간행물
A Kara Phonology
Summer Inst. of Ling.
n.d.
[2]
간행물
A Kara Phonology
Summer Inst. of Ling.
n.d.
[3]
간행물
A Kara Phonology
Summer Inst. of Ling.
n.d.
[4]
간행물
A Kara Phonology
Summer Inst. of Ling.
n.d.
[5]
서적
Studies in componential analysis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