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차이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라차이인은 튀르크계 민족으로, 러시아의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며, 쿠미크인과 언어를 공유한다. 카프카스 지역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알라니아 왕국과 연관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세기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고, 20세기에는 강제 이주를 겪었으며, 현재는 터키, 우즈베키스탄 등에도 디아스포라가 존재한다. 카라차이-발카르어를 사용하고, 이슬람교를 믿으며, 가족과 씨족 중심의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 - 카바르다어
카바르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중동의 체르케스인 디아스포라에서 사용되고, 아디게어와 함께 체르케스어파로 분류되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정서법을 사용하고 적은 모음과 많은 자음을 가진다. -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 - 노가이어
노가이어는 킵차크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며 금장 칸국에서 유래했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자를 거쳐 현재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러시아 내 교육 및 언론 활동이 있으나 일부 지역에서 소멸 위기에 있다. - 러시아의 민족 - 이누이트
이누이트는 북극 지역에 거주하며 수렵과 어업을 통해 생활하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지닌 민족으로, 현대 사회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 러시아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카라차이인 | |
---|---|
기본 정보 | |
![]() | |
![]() | |
주요 거주 지역 | 러시아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
총 인구 | 약 250,000명 |
종교 | 수니파 이슬람교 |
관련 민족 | 발카르인 노가이족 쿠미크인 체르케스인 아바자인 북캅카스 민족 |
언어 | 카라차이-발카르어 카바르다어 러시아어 튀르키예어(디아스포라) |
명칭 | |
카라차이어 | Къарачайлыла |
로마자 표기 | Qaraçaylıla |
의미 | 사람들 |
다른 이름 | 알란(Алан) 알란라(Аланла) |
인구 통계 | |
러시아 (2021년) | 205,578명 |
튀르키예 | 20,000명 (추정) |
카자흐스탄 (2009년) | 995명 |
우크라이나 (2001년) | 190명 |
키르기스스탄 | 2,400명 (추정) |
우즈베키스탄 | 500명 |
미국 (2010년) | 약 5,000명 |
2. 역사
카라차이인의 기원은 캅카스 연구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6] 카라차이인은 중앙 캅카스의 높은 산악 지대에 사는 튀르크어 사용 민족으로, 주변은 캅카스어와 이란어(오세티아어) 사용 민족들로 둘러싸여 있다.[6] 이 문제의 복잡성으로 인해 많은 학자와 역사가들이 다양한 가설을 제시했지만, 일치된 결론은 없다.
몽골 침입 이전에 알라니아가 세워졌으며, 수도는 마가스였다. 일부 학자들은 마가스가 현재 카라차이인이 거주하는 아르흐즈 산맥에 있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현재의 인구셰티야 또는 북오세티야에 위치했다고 본다. 14세기 티무르가 알라니아를 멸망시키면서 카라차이인들은 산으로 흩어졌다.
19세기 초, 러시아는 카프카스 정복을 시작했다. 1828년 10월 20일, 하사우카 전투에서 러시아군은 게오르기 에마누엘 장군의 지휘 아래 카라차이군을 격파했다. 전투 다음 날, 러시아군이 카르트주르트(Kart-Dzhurt) 마을에 접근하자, 카라차이 장로들은 러시아 지도자들과 만나 카라차이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는 데 합의했다. 합병 후에도 카라차이의 자치 정부는 관리와 법원을 포함하여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웃 무슬림 민족과의 상호 작용은 민간 관습과 샤리아 법을 기반으로 계속되었다. 카라차이에서는 카라차이 아마나트(Karachai Amanat)에서 병사들이 충성 맹세를 하고 무기를 지급받았다.
1831년부터 1860년까지 많은 카라차이인들이 북카프카스 민족의 반러시아 투쟁에 참여했다. 그러나 상당수의 카라차이인들은 볼가 타타르인과 바시키르인과 같이 러시아에 오랫동안 충성해온 다른 투르크계 무슬림 민족의 격려를 받아 카프카스 전쟁에서 러시아 당국과 자발적으로 협력하기도 했다. 1861년부터 1880년 사이에 러시아군의 보복을 피하기 위해 일부 카라차이인들은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지만, 대부분은 현대 영토에 남아있었다.[9]
1938년 초 모든 카라차이 관리들이 숙청되었고, 카라차이인이 아닌 NKVD 장교들이 민족 전체를 관리했다. 또한 모든 지식인, 모든 농촌 관리, 그리고 최소 8,000명의 일반 농부들이 체포되었는데, 그중에는 여성 875명도 포함되었다. 대부분 처형되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카프카스 전역의 수용소로 보내졌다.[10]
1942년, 나치 독일은 카라차이 거주 지역을 통치하는 카라차이 국가 위원회 조직을 허가했다. 카라차이는 독자적인 경찰대를 조직하고, 독일 국방군(베어마흐트)과 연합하여 군대를 창설했다.[30] 그러나 1943년 소련군이 이 지역을 탈환하면서 카라차이인들은 나치 협력 혐의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으로 강제 이주당했다. 강제 이주 초기 2년 동안 기아와 질병으로 전체 인구의 35%가 사망했고, 특히 어린이들의 피해가 컸다.
1990년 11월 30일, 카라차이-체르케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KChSSR)이 RSFSR의 일부로 승인되었다. 1989년에서 1997년 사이에 카라차이 민족 운동은 카라차이의 별도 자치권을 회복해 달라는 요청을 하기도 했다. 1990년 11월 18일, 카라차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선포되었지만, RSFSR 지도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1992년 3월 28일,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는데, 카라차이-체르케시아 주민 대다수가 분할에 반대하여 단일 카라차이-체르케시아가 유지되었다.
2. 1. 기원과 형성
카라차이인의 기원에 대한 이론은 북캅카스 연구 전문가이자 발카르족의 역사가, 민족학자, 고고학자인 이스마일 미지예프(Исмаил Муссаевич Мизиев)에 따르면 "캅카스 연구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이다.[6] 카라차이인은 중앙 캅카스의 가장 높은 산악 지대에 거주하는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캅카스어와 이란어(오세티아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이다.[6] 많은 학자와 역사가들이 이 문제를 연구했지만, "문제의 복잡성으로 인해 종종 서로 모순되는 수많은 가설이 나왔다." 미지예프는 "발카르인과 카라차이인은 캅카스에서 가장 오래된 민족 중 하나이다. 그들의 역사와 문화의 뿌리는 야쿠티야(사하 공화국)에서 터키까지, 아제르바이잔에서 타타르스탄까지, 쿠믹족과 노가이족에서 알타이족과 하카스족까지 많은 캅카스 민족뿐만 아니라 수많은 튀르크 민족의 역사와 문화와 밀접하게 얽혀 있다"고 결론지었다.[6]앙카라 대학교의 우푹 타브쿨 교수는 카라차이-발카르인과 쿠믹인의 민족 형성을 캅카스 내부에서 찾으며, 캅카스 민족의 민족 형성을 다음과 같이 간결하게 설명한다.
Boulygina 등(2020)의 연구는 카라차이인의 유전적 연관성을 선사 시대 코반 문화와 연결시킨다.[7] 최근 유전자 연구는 "발카르인과 카라차이인은 캅카스 인류학적 유형에 속한다. 두개골학, 체질 인류학, 치아학, 피부 지문 분석 결과에 따르면 발카르인과 카라차이인의 토착(캅카스) 기원과 이웃 민족 대표들과의 친족 관계, 그리고 그들의 민족 형성에서 중앙 아시아 요소의 작은 역할이라는 결론이 내려졌다."라고 밝히고 있다.[8]
알라니아 국가는 몽골 침략 이전에 수립되었으며, 마가스(Maghas)에 수도를 두었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를 현재 카라차이인이 거주하는 아르흐즈(Arkhyz) 산맥에 위치시키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현재 인구셰티야 공화국 또는 북오세티야 공화국에 위치시킨다. 14세기에 티무르 제국이 알라니아를 파괴하고 인구가 산으로 흩어졌다.
카라차이인은 킵차크계 튀르크계 민족으로, 다게스탄 공화국에 거주하는 쿰이크인과 언어를 공유하고 있다.
2. 2. 알라니아와 몽골 침입
알라니아는 몽골의 침입 이전에 세워진 국가로, 수도는 마가스였다. 일부 학자들은 마가스가 현재 카라차이인이 거주하는 아르흐즈 산맥에 있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현재의 인구셰티야 또는 북오세티야에 위치했다고 본다.[6] 14세기 티무르가 알라니아를 멸망시키면서, 카라차이인들은 산으로 흩어졌다.[6]2. 3. 러시아 제국과의 관계
19세기 초, 러시아는 카프카스 정복을 시작했다. 1828년 10월 20일, 하사우카 전투에서 러시아군은 게오르기 에마누엘 장군의 지휘 아래 카라차이군을 격파했다. 전투 다음 날, 러시아군이 카르트주르트(Kart-Dzhurt) 마을에 접근하자, 카라차이 장로들은 러시아 지도자들과 만나 카라차이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는 데 합의했다.[9] 합병 후에도 카라차이의 자치 정부는 관리와 법원을 포함하여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웃 무슬림 민족과의 상호 작용은 민간 관습과 샤리아 법을 기반으로 계속되었다. 카라차이에서는 카라차이 아마나트(Karachai Amanat)에서 병사들이 충성 맹세를 하고 무기를 지급받았다.1831년부터 1860년까지 많은 카라차이인들이 북카프카스 민족의 반러시아 투쟁에 참여했다. 그러나 상당수의 카라차이인들은 볼가 타타르인과 바시키르인과 같이 러시아에 오랫동안 충성해온 다른 투르크계 무슬림 민족의 격려를 받아 카프카스 전쟁에서 러시아 당국과 자발적으로 협력하기도 했다. 1861년부터 1880년 사이에 러시아군의 보복을 피하기 위해 일부 카라차이인들은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지만, 대부분은 현대 영토에 남아있었다.[9]
2. 4. 소련 시대와 강제 이주
1942년 독일은 카라차이인들에게 그들의 "자치 지역"을 관리할 카라차이 민족 위원회 설립을 허용했으며, 카라차이인들은 자체 경찰을 구성하고 나치 독일군(베어마흐트)과 함께 싸울 여단을 설립할 수도 있었다.[14] 나치 독일과의 이러한 관계는 1943년 11월 소련이 이 지역을 탈환했을 때 카라차이인들이 나치 독일과의 협력 혐의로 강제 이주되는 결과를 초래했다.[15]처음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반군 도적들의 가족 구성원들에게만 제한되었던 강제 이주는 나중에 카라차이 전체 민족에게 확대되었다. 소련 정부는 2만 명의 카라차이인들이 적군에서 복무했으며, 독일군과 협력한 것으로 추산되는 3,000명보다 훨씬 많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았다.[10] 카라차이인들은 강제로 중앙아시아, 주로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으로 이주당했다.[16] 강제 이주 초기 2년 동안 질병과 기근으로 인구의 35%가 사망했으며, 2만 8천 명의 어린이 중 78%, 거의 2만 2천 명이 사망했다.[17]
2. 5. 현대
북카프카스 연구 전문가이자 발카르족의 역사가, 민족학자, 고고학자인 이스마일 미지예프(Исмаил Муссаевич Мизиев)는 카라차이인과 이웃 발카르인의 기원에 대한 이론이 "카프카스 연구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라고 말한다.[6] 그는 "발카르인과 카라차이인은 카프카스에서 가장 오래된 민족 중 하나이다. 그들의 역사와 문화의 뿌리는 야쿠티아(사하 공화국)에서 터키까지, 아제르바이잔에서 타타르스탄까지, 쿠믹족과 노가이족에서 알타이족과 하카스족까지 많은 카프카스 민족뿐만 아니라 수많은 투르크 민족의 역사와 문화와 밀접하게 얽혀 있다"고 결론지었다.[6] 많은 과학자와 역사가들이 이 문제를 연구했지만, "문제의 복잡성으로 인해 종종 서로 모순되는 수많은 가설이 나왔다."고 한다.앙카라 대학교의 우푹 타브쿨 교수는 카라차이-발카르인과 쿠믹인의 민족 형성을 카프카스 내부에서 찾는다. 그는 기원전 1천년기에 아브카스/아디게족, 오세티아인, 카라차이-발카르인의 조상들을 대표하는 다양한 집단이 카프카스에 살았으며, 기원전 7세기부터 킴메리아인, 스키타이인, 사르마티아인, 알란인, 훈족, 불가르족, 아바르족, 카자르족, 페체네그족, 킵차크족 등의 집단이 카프카스를 침략하여 정착하면서 중앙 카프카스의 민족 지도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고 설명한다. 이란계 언어를 사용하는 오세티아인과 투르크계 언어를 사용하는 카라차이-발카르인이 중앙 카프카스에 등장했으며, 이들의 민족과 문화는 코반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Boulygina 등(2020)의 연구는 카라차이인의 유전적 연관성을 선사 시대 코반 문화와 연결시킨다.[7] 최근 유전자 연구는 발카르인과 카라차이인이 카프카스 인류학적 유형에 속하며, 이들의 토착(카프카스) 기원과 이웃 민족 대표들과의 친족 관계, 그리고 그들의 민족 형성에서 중앙 아시아 요소의 작은 역할을 보여준다.[8]
알라니아 국가는 몽골 침략 이전에 수립되었으며, 마가스(Maghas)에 수도를 두었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를 현재 카라차이인이 거주하는 아르흐즈 산맥에 위치시키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현재 인구셰티야 또는 북오세티야에 위치시킨다. 14세기에 티무르가 알라니아를 파괴하고 인구가 산으로 흩어졌다.
19세기에 러시아는 카프카스 정복 과정에서 이 지역을 장악했다. 1828년 10월 20일, 하사우카 전투가 벌어졌고, 전투 다음 날 러시아군이 카르트주르트(Kart-Dzhurt) 마을에 접근하자, 카라차이 장로들이 러시아 지도자들과 만나 카라차이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는 데 대한 합의에 도달했다.
합병 후, 카라차이의 자치 정부는 관리와 법원을 포함하여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웃 무슬림 민족과의 상호 작용은 민간 관습과 샤리아 법을 기반으로 계속되었다.
1831년부터 1860년까지 카라차이인들은 분열되었다. 많은 수의 카라차이인들이 북카프카스 민족이 수행한 반러시아 투쟁에 참여했지만, 상당수의 카라차이인들은 러시아 당국과 자발적으로 협력했다. 1861년부터 1880년 사이에 러시아군의 보복을 피하기 위해 일부 카라차이인들은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지만 대부분은 현대 영토에 남아있었다.[9]
1938년 초 모든 카라차이 관리들이 숙청되었고, 전체 민족은 카라차이인이 아닌 NKVD 장교들에 의해 관리되었다. 또한 모든 지식인, 모든 농촌 관리, 그리고 최소 8,000명의 일반 농부들이 체포되었는데, 그중에는 여성 875명도 포함되었다. 대부분 처형되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카프카스 전역의 수용소로 보내졌다.[10]
1990년 11월 30일, 카라차이-체르케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KChSSR)이 RSFSR의 일부로 승인되었다.
1989년에서 1997년 사이에 카라차이 민족 운동은 카라차이의 별도 자치권을 회복해 달라는 요청으로 RSFSR 지도부에 호소했다.[11]
1990년 11월 18일, 카라차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선포되었지만,[12][13] RSFSR 지도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1992년 3월 28일, 국민투표가 실시되었는데, 카라차이-체르케시아 주민 대다수가 분할에 반대했다. 분할은 합법화되지 않았고, 단일 카라차이-체르케시아가 남았다.
3. 지리
카라차이족은 발카르인과 함께 쿠반 강, 큰 젤렌추크 강, 말카 강, 박산 강, 체렉 강 등의 강 유역과 중앙 코카서스의 구릉 지대에 거주한다.
카라차이인들은 유럽에서 가장 높은 산인 엘브루스 산(5642m)을 그들의 민족 상징으로 매우 자랑스럽게 여긴다.[1]
4. 문화
카프카스 산맥의 다른 여러 민족들처럼, 카라차이인들은 상대적인 고립 속에서도 주변 집단과 화합하며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18]
카라차이인은 매우 독립적이며, 전통과 풍습이 강하게 남아 있어 결혼, 장례식, 가족의 정의 등 생활 전반을 규정한다. 이들은 가족과 툭쿰(씨족)에 대한 충성심이 강하며, 손님을 배려하는 성격이다. 겁이 많은 것은 남성에게 가장 수치스러운 일로 여겨진다.
4. 1. 사회 구조
카프카스 산맥의 다른 여러 민족들처럼, 카라차이인들 또한 상대적인 고립 속에서 주변 집단과의 일반적인 화합에도 불구하고 그들만의 특별한 문화적 관습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18]카라차이인들은 가족과 씨족(Tukkhum|툭쿰krc)으로 나뉘어진 공동체에서 산다. 툭쿰은 가계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약 32개의 카라차이 툭쿰이 있다. 대표적인 툭쿰으로는 아바이한(Abayhan), 아치(Aci), 바차(Batcha, Batca), 바이초라(Baychora), 바이리무크(Bayrimuk, Bayramuk), 보스탄(Bostan), 카토(Catto, Jatto), 코사르(Cosar, Çese), 두다(Duda), 후베이(Hubey, Hubi), 카라바시(Karabash), 코치카르(Kochkar), 레이판(Laypan), 렙쇼크(Lepshoq), 오즈덴(Ozden, Uzden), 실파가르(Silpagar), 테부(Tebu), 테케(Teke), 토투르쿨(Toturkul), 우루스(Urus) 등이 있다.
카라차이인의 카프카스 산맥에 의한 고립은 카라차이인의 독특한 특징을 만들어내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카라차이인은 집이나 씨족으로 나뉜 공동체에 살고 있다. 툭쿰이라고 불리는 씨족은 가족의 혈통을 기반으로 하며, 대략 32개의 툭쿰이 존재한다.
카라차이인은 매우 독립적이며, 전통과 풍습이 짙게 남아 있으며, 그것은 그들의 생활을 여러 면에서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결혼이나 장례식, 가족의 정의 등이다. 그들은 가족과 툭쿰에 대해 매우 충실하며, 손님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일은 하지 않는 성격이다. 또한, 겁이 많은 것은 남성에게 있어 가장 부끄러운 일이 되고 있다.
4. 2. 언어
카라차이인들은 튀르크어족의 북서부 계통에 속하는 카라차이-발카르어를 사용한다. 다게스탄 북동부에 거주하는 쿠믹인들은 밀접하게 관련된 언어인 쿠믹어를 사용한다.[1]4. 3. 종교
카라차이인 대다수는 이슬람교를 믿는다.[19] 17세기와 18세기에 노가이인, 크림 타타르인, 체르케스인들과의 접촉을 통해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20][21] 이 지역에는 수피교단인 카디리야가 존재한다.[21] 현재도 카라차이인 대다수는 이슬람교도이다.5. 디아스포라
19세기 말, 약 1만 명에서 1만 5756명의 카라차이인과 발카르인이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는데, 이 이주는 1884년에서 1887년, 1893년, 그리고 1905년에서 1906년에 정점을 찍었다.[1]
1944년 조세프 스탈린의 강제 이주 정책 기간 동안 카라차이인들은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으로 강제 이주당했다. 니키타 흐루쇼프 시대 소비에트 연방 이후, 대다수의 카라차이인들은 중앙아시아에서 고향으로 귀환했다. 오늘날 터키(주로 아피온카라히사르에 집중), 우즈베키스탄, 미국, 독일에 상당한 규모의 카라차이인 공동체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ussian Census of 2021
https://view.officea[...]
[2]
웹아카이브
Malkar Türkleri
http://home.anadolu.[...]
2016-10-03
[3]
서적
Turks and Khazars: Origins, Institutions, and Interactions in Pre-Mongol Eurasia
[4]
학술지
A Brief Index of Indigenous Peoples and Languages of Asiatic Russia
https://www.jstor.or[...]
1963
[5]
웹사이트
КАРАЧАЕВЦЫ •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 электронная версия
https://old.bigenc.r[...]
2023-11-07
[6]
서적
The History of the Karachai-Balkarian People
Mingi-Tau Publishing (Elbrus)
[7]
학술지
Mitochondrial and Y-chromosome diversity of the prehistoric Koban culture of the North Caucasus
https://www.scienced[...]
2020-06-01
[8]
학술지
Genetic Characterization of Balkars and Karachays Using mtDNA Data
http://dx.doi.org/10[...]
2019-01-01
[9]
서적
История Хопёрского полка, Кубанского казачьего войска. 1696—1896. В 2-х частях. Т. 1
[10]
학술지
The deportation of the Karachays
http://www.tandfonli[...]
2002-09-01
[11]
학술지
Национальные движения депортированных народов как один из факторов распада союза ССР
https://cyberleninka[...]
[12]
학술지
Особенности этнополитических процессов на Северном Кавказе в период системной трансформации российского общества (на материалах Кабардино-Балкарии и Карачаево-Черкесии)
https://cyberleninka[...]
[13]
웹사이트
Карачаево-Черкесия: этнополитическая и этнокультурная ситуация
http://static.iea.ra[...]
ИЭА РАН
[14]
서적
Hitler's War Aims.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Order
[15]
서적
Ethnic Cleansing in the USSR, 1937–1949
Greenwood Press
[16]
문서
The Soviet Deported Nationalities: A summary and an updat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Soviet Studies
[17]
학술지
The Soviet deportation in 1943 of the Karachays: a Turkic Muslim people of North Caucasus
[18]
서적
The Northwest Caucasus: Past, Present, Fu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
서적
Ethnic Groups of Europ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5-25
[20]
서적
Islam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1]
서적
Muslims of the Soviet Empire: A Guid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86
[22]
웹사이트
Russian Census 2010: Population by ethnicity
http://www.perepis-2[...]
[23]
웹사이트
Republic of Kazakhstan Agency on Statistics. Census 2009.
http://www.stat.kz/p[...]
[24]
웹사이트
About number and composition population of Ukraine by data All-Ukrainian census of the population 2001
http://2001.ukrcensu[...]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2012-01-17
[25]
서적
Karachay-Balkar diaspora in Turkey
http://www.balkaria.[...]
SSU
[26]
웹사이트
Karachai, Alan
http://www.joshuapro[...]
[27]
서적
Какого мы роду-племени?: народы России, имена и судьбы
Академия
[28]
서적
Reciprocal Constructions, Vol. 3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9]
서적
The Turks: Turkey (2 v.)
https://books.google[...]
Yeni Türkiye
[30]
서적
Hitler's War Aims.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Ord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