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로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로보는 불가리아 플로브디프주에 위치한 도시로, 중세 요새 콥시스의 후신으로 추정된다. 14세기 말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며, 1483년 술탄 바예지드 2세 통치 기간에 수시차 마을에 도시가 형성되어 칼르오바(칼르의 평원)로 불리다가 1878년 카를로보로 개명되었다. 19세기에 불가리아 문화와 혁명 활동의 중심지였으며, 1869년 치탈리슈테 개관, 1876년 4월 봉기 이후의 학살로 불가리아 국민을 돕기 위한 레이디 스트랭포드의 활동이 있었다. 1877년 오스만 당국과 체르케스계 준군사조직의 테러 통치로 많은 시민들이 희생되었으며, 동 루멜리아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센트럴 발칸 국립 공원, 바실 레프스키 국립 박물관 등 다양한 명소와 매년 장미의 날, 바실 레프스키 탄생 기념일 등 주요 행사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로브디프주 - 아세노브그라드
불가리아 플로브디프 주에 있는 아세노브그라드는 트라키아인들이 건설한 스테니마코스에서 시작하여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이반 아센 2세 황제와 관련이 깊으며, "리틀 예루살렘"이라는 별칭처럼 종교 시설과 문화 유적이 많은 관광 도시이다. - 플로브디프주 - 소포트 (플로브디프주)
소포트는 불가리아 플로브디프주에 위치한 도시로, 슬라브어에서 유래된 지명을 가지며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불가리아 공국에 편입되었고, 현재는 다양한 문화 시설과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불가리아의 도시 - 소피아
소피아는 불가리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발칸 반도 중심부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 유적을 보유한 불가리아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이다. - 불가리아의 도시 - 도브리치
도브리치는 불가리아 북동부 도브루자 지역의 중심 도시로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풍부한 문화 유적과 공원을 자랑하는 매력적인 관광지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카를로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Карлово (카를로보) |
![]() | |
![]() | |
위치 | 불가리아 |
광역 자치체 | 플로브디프 주 |
일반 정보 | |
면적 | 102.173 km² |
해발 고도 | 452 m |
시간대 | EET (+2) |
여름 시간대 | EEST (+3) |
우편 번호 | 4300 |
지역 번호 | 335 |
좌표 | 42°38′37″N 24°48′26″E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22년) | 19373 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정치 및 행정 | |
시장 | 시장 정보 없음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카를로보는 중세 요새 '''콥시스'''(불가리아어: Копсис, 비잔틴 그리스어: Kωψίς 또는 Κόψη)를 기원으로 하며, 13~14세기 불가리아의 스밀레츠의 봉건 영지이자 그의 형제인 전제공 보실의 단명한 왕국의 수도였을 가능성이 있다.
19세기에 카를로보는 불가리아 문화와 혁명 활동의 중심지로 중요성이 커졌다. 1869년에는 첫 번째 치탈리슈테가 개관했고, 1876년에는 레이디 스트랭포드가 4월 봉기 이후 불가리아 국민을 돕기 위해 영국에서 도착하여 바타크를 시작으로 라딜로보, 파나기우리스테, 페루슈티차, 페트리치, 카를로보 등지에 병원을 세웠다.[3]
1877년 여름과 가을, 카를로보는 오스만 당국과 체르케스계 준군사조직의 5개월간의 공포 통치로 인해 시민 288명이 사망하고 500명 이상의 도시 명사들이 체포 및 투옥되었으며, 이들 중 다수는 교수형에 처해졌다.[4][5] 이듬해 베를린 조약 (1878년)에 의해 카를로보는 동 루멜리아에 편입되었고, 5세기 동안의 오스만 통치 이후 카를로보로 개명되었다.
1953년부터 1962년까지는 ''레프스키그라드''라고 불렸다. 2000년대에는 불가리아 고고학자들에 의해 "트라키아인 왕들의 계곡"으로 불리는 일련의 발견이 있었고, 2005년 8월 19일에는 카를로보 근처에서 트라키아인의 가장 오래된 수도가 발견되었다고 발표되었다.
2. 1. 중세 시대
카를로보는 13~14세기 불가리아의 스밀레츠의 봉건 영지이자, 그의 형제인 ''데스포테스'' 보실의 단명한 왕국의 수도였을 가능성이 있는 중세 요새 '''콥시스''' (불가리아어: Копсис, 비잔틴 그리스어: Kωψίς 또는 Κόψη)의 후신이다.이 지역은 14세기 말에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현대적인 도시는 1483년 술탄 바예지드 2세의 통치 기간에 수시차 마을(오늘날에도 수시차는 카를로보의 구역 중 하나이다)의 위치에서 기원했으며, 원래 창시자인 칼르자데 랄라 알리 베이의 이름을 따서 칼르오바(칼르의 평원)라고 명명되었다. 1485년에 건설된 쿠르슘 모스크 (납 모스크)는 이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건물이며, 오늘날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한때 칼르오바와 인근의 소포트 사이에는 도시 경계를 두고 오랜 분쟁이 있었다. 1633년에 무라드 4세가 직접 ''칙령''(황실 칙령)을 발부하고, 에스키 자으라(스타라 자고라)와 이스탄불에서 관리들을 파견하여 두 도시 사이의 경계를 결정해야 할 정도로 문제가 심각해졌다. 영토 분쟁은 칼르오바의 편을 들어 결정되었다.
2. 2. 오스만 제국 시대
카를로보는 13~14세기 불가리아의 스밀레츠의 봉건 영지이자, 그의 형제인 ''데스포테스'' 보실의 단명한 왕국의 수도였을 가능성이 있는 중세 요새 '''콥시스''' (Копсисbg, Kωψίς 또는 Κόψηgrc)의 후신이다.이 지역은 14세기 말에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현대적인 도시는 1483년 술탄 바예지드 2세의 통치 기간에 수시차 마을(Сушицаbg, 오늘날에도 수시차는 카를로보의 구역 중 하나이다)의 위치에서 기원했으며, 원래 창시자인 칼르자데 랄라 알리 베이의 이름을 따서 칼르오바(칼르의 평원)라고 명명되었다. 1485년에 건설된 쿠르슘 모스크 (납 모스크)는 이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건물이며, 오늘날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한때 칼르오바와 인근의 소포트 사이에는 도시 경계를 두고 오랜 분쟁이 있었다. 1633년에 무라드 4세가 직접 ''칙령''(황실 칙령)을 발부하고, 에스키 자으라(스타라 자고라)와 이스탄불에서 관리들을 파견하여 두 도시 사이의 경계를 결정해야 할 정도로 문제가 심각해졌다. 영토 분쟁은 칼르오바의 편을 들어 결정되었다.
이 도시는 19세기에 불가리아 문화와 혁명 활동의 중심지로 중요성이 커졌다. 1869년에는 첫 번째 치탈리슈테가 개관했다. 1876년에는 레이디 스트랭포드가 4월 봉기 이후의 학살로 인해 불가리아 국민을 돕기 위해 영국에서 도착했다. 그녀는 바타크에 병원을 세웠고, 결국 라딜로보, 파나기우리스테, 페루슈티차, 페트리치와 이곳 카를로보에 다른 병원들이 세워졌다.[3]
1877년 여름과 가을, 이 도시는 오스만 당국과 체르케스계 준군사조직의 5개월간의 공포 통치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로 인해 시민 288명이 사망하고 500명 이상의 도시 명사들이 체포되어 투옥되었으며, 그들 중 다수가 결국 교수형에 처해졌다.[4][5] 이듬해 베를린 조약 (1878년)에 의해 칼르오바는 새로 설립된 자치주 동 루멜리아에 편입되었고, 5세기 동안의 오스만 통치 이후 카를로보로 개명되었다.
1953년부터 1962년까지 이 도시는 ''레프스키그라드''(Левскиградbg)라고 불렸다.
2. 3. 불가리아 민족 부흥기
카를로보는 13~14세기 불가리아의 스밀레츠의 봉건 영지이자, 그의 형제인 ''데스포테스'' 보실의 단명한 왕국의 수도였을 가능성이 있는 중세 요새 '''콥시스''' (Копсисbg, Kωψίς 또는 Κόψηgrc)의 후신이다.이 지역은 14세기 말에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현대적인 도시는 1483년 술탄 바예지드 2세의 통치 기간에 수시차 마을(오늘날에도 수시차는 카를로보의 구역 중 하나이다)의 위치에서 기원했으며, 원래 창시자인 칼르자데 랄라 알리 베이의 이름을 따서 칼르오바(칼르의 평원)라고 명명되었다. 1485년에 건설된 쿠르슘 모스크 (납 모스크)는 이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건물이며, 오늘날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한때 칼르오바와 인근의 소포트 사이에는 도시 경계를 두고 오랜 분쟁이 있었다. 1633년에 무라드 4세가 직접 ''칙령''(황실 칙령)을 발부하고, 에스키 자으라(스타라 자고라)와 이스탄불에서 관리들을 파견하여 두 도시 사이의 경계를 결정해야 할 정도로 문제가 심각해졌다. 영토 분쟁은 칼르오바의 편을 들어 결정되었다.
이 도시는 19세기에 불가리아 문화와 혁명 활동의 중심지로 중요성이 커졌다. 1869년에는 첫 번째 치탈리슈테가 개관했다. 1876년에는 레이디 스트랭포드가 4월 봉기 이후의 학살로 인해 불가리아 국민을 돕기 위해 영국에서 도착했다. 그녀는 바타크에 병원을 세웠고, 결국 라딜로보, 파나기우리스테, 페루슈티차, 페트리치와 이곳 카를로보에 다른 병원들이 세워졌다.[3]
1877년 여름과 가을, 이 도시는 오스만 당국과 체르케스계 준군사조직의 5개월간의 공포 통치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로 인해 시민 288명이 사망하고 500명 이상의 도시 명사들이 체포되어 투옥되었으며, 그들 중 다수가 결국 교수형에 처해졌다.[4][5] 이듬해 베를린 조약 (1878년)에 의해 칼르오바는 새로 설립된 자치주 동 루멜리아에 편입되었고, 5세기 동안의 오스만 통치 이후 카를로보로 개명되었다.
1953년부터 1962년까지 이 도시는 ''레프스키그라드''라고 불렸다.
2. 4. 현대
카를로보는 13~14세기 불가리아의 스밀레츠의 봉건 영지이자, 그의 형제인 ''데스포테스'' 보실의 단명한 왕국의 수도였을 가능성이 있는 중세 요새 '''콥시스''' (불가리아어: Копсис, 비잔틴 그리스어: Kωψίς 또는 Κόψη)의 후신이다.이 지역은 14세기 말에 오스만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현대적인 도시는 1483년 술탄 바예지드 2세의 통치 기간에 수시차 마을(오늘날에도 수시차는 카를로보의 구역 중 하나이다)의 위치에서 기원했으며, 원래 창시자인 칼르자데 랄라 알리 베이의 이름을 따서 칼르오바(칼르의 평원)라고 명명되었다. 1485년에 건설된 쿠르슘 모스크 (납 모스크)는 이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건물이며, 오늘날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한때 칼르오바와 인근의 소포트 사이에는 도시 경계를 두고 오랜 분쟁이 있었다. 1633년에 무라드 4세가 직접 ''칙령''(황실 칙령)을 발부하고, 에스키 자으라(스타라 자고라)와 이스탄불에서 관리들을 파견하여 두 도시 사이의 경계를 결정해야 할 정도로 문제가 심각해졌다. 영토 분쟁은 칼르오바의 편을 들어 결정되었다.
이 도시는 19세기에 불가리아 문화와 혁명 활동의 중심지로 중요성이 커졌다. 1869년에는 첫 번째 치탈리슈테가 개관했다. 1876년에는 레이디 스트랭포드가 4월 봉기 이후의 학살로 인해 불가리아 국민을 돕기 위해 영국에서 도착했다. 그녀는 바타크에 병원을 세웠고, 결국 라딜로보, 파나기우리스테, 페루슈티차, 페트리치와 이곳 카를로보에 다른 병원들이 세워졌다.[3]
1877년 여름과 가을, 이 도시는 오스만 당국과 체르케스계 준군사조직의 5개월간의 공포 통치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로 인해 시민 288명이 사망하고 500명 이상의 도시 명사들이 체포되어 투옥되었으며, 그들 중 다수가 결국 교수형에 처해졌다.[4][5] 이듬해 베를린 조약 (1878년)에 의해 칼르오바는 새로 설립된 자치주 동 루멜리아에 편입되었고, 5세기 동안의 오스만 통치 이후 카를로보로 개명되었다.
1953년부터 1962년까지 이 도시는 ''레프스키그라드''라고 불렸다.
3. 지리
카를로보는 고도 386m 지점에 위치하며, 대규모 장미 생산으로 유명한 장미 계곡에 자리 잡고 있다. 스타라 플라니나 산맥이 도시 위에 펼쳐져 있으며, 이 산맥의 최고봉인 보테프 봉 (2376m)은 카를로보에서 가깝다.
도시는 불가리아 수도 소피아에서 동쪽으로 140km 떨어져 있으며, 불가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플로브디프 주의 주도인 플로브디프에서 북쪽으로 60km 떨어져 있다.
3. 1. 기후
발칸산맥에서 부는 바람 때문에 여름은 온화하고 시원한 편이며 겨울은 눈이 많이 내린다. 1월 평균 기온은 0.1°C(기록상 최저 기온은 -25.8°C), 7월 평균 기온은 22.9°C(기록상 최고 기온은 39.6°C)이다. 연간 평균 강수량은 694mm이며 여름은 강수량이 221mm에 달할 정도로 많은 편이지만 겨울은 강수량이 169mm에 달할 정도로 적은 편이다.4. 교통 및 기반 시설
카를로보는 소피아와 흑해 남부를 연결하는 간선 도로 E78에 위치해 있다. 소피아와 상업적으로 중요한 흑해 항구 부르가스를 잇는 철도의 중요한 지점이기도 하다. 불가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기차역인 플로브디프행 기차가 자주 운행된다.
카를로보 시의 총 도로 길이는 301.4km이다. 트라키야 고속도로에서 50km 떨어져 있는데, 이 도로는 소피아와 이스탄불을 잇는 주요 도로이다. 부쿠레슈티로 가는 국제 도로 또한 50km 떨어져 있다.
5. 행정 구역
카를로보는 플로브디프주에 속한 카를로보 시의 행정 중심지이다. 카를로보 시의 인구는 약 73,000명이다. 카를로보 시는 다음 27개의 읍, 면,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읍은 굵게 표시).
읍, 면, 마을 |
---|
6. 문화
카를로보의 문화와 관련된 주요 시설 및 장소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6. 1. 명소
- '''수추룸 폭포'''
스트르야마 강의 지류인 스타라 레카 강에 있는 15m 높이의 폭포이다. '나는 물'이라는 뜻의 수추룸 폭포는 카를로보 폭포라고도 불린다.
- '''센트럴 발칸 국립공원'''
불가리아 중부 발칸산맥에 있는 국립공원이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보테프 봉(2,376m)이며, 가장 낮은 지점은 카를로보 근처( 500m)이다.
- '''바실 레프스키 국립 박물관'''
바실 레프스키를 기념하는 박물관으로, 생가, 전시관, 기념 예배당, 차르다클리에바타 하우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프스키의 머리카락 일부를 보관하고 있으며, 불가리아 100대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 '''카를로보 시립 역사 박물관'''
1871년에 지어진 불가리아 학교 건물에 있는 박물관이다. 민족지학 및 불가리아 민족 부흥 관련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 '''건축 및 역사 보호 구역 '구시가지''''
불가리아 민족 부흥 시기 건축 양식을 보존하고 있는 지역이다. 약 115채의 주택과 문화 기념물이 남아있다.
- '''부할로프 한(여관)'''
바실 레프스키가 설립한 불가리아 혁명 중앙 위원회 회의 장소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현재는 수공예 센터로 활용되고 있다.
- '''바실 레프스키 기념비'''
마린 바실레프가 1903년부터 1907년까지 제작한 기념비로, 카를로보 구시가지 중심부, 성 니콜라 교회 근처에 있다.
6. 2. 종교

성 니콜라스 정교회는 1847년 니콜라 트로야노프에 의해 건축되었다.
6. 3. 교육
카를로보 도서관에는 약 68,000권의 도서와 문서가 소장되어 있다.6. 4. 주요 행사
7. 저명한 출신 인물
- Аврам Димитриевичbg (17세기), 사제, 최초의 교사이자 뛰어난 작가 겸 서예가였다.
- 안카 람브레바 (1895년 - 1976년), 여행가였다.
- 안나 라레바 자이모바(아타나소바) (1894년 - 1983년), 블라디미르 자이모프 장군의 부인이었다.
- 보토 페트코프 (1815년 - 1869년), 부흥기 교사이자 흐리스토 보테프의 아버지였다.
- 브라이코 H. 게노프 (1814년 - 1865년), 교사, 사제, 민속 어휘 수집가(수수께끼, 속담)였다.
- 바실 카라이바노프 (1847년 - 1933년), 바실 레프스키의 사촌이자 지지자였다.
- 바실 키르코프 (1870년 - 1931년), 극작가, 불가리아 국립 극장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
- 바실 레프스키 (1837년 - 1873년), 혁명가이자 민족 영웅이었다.
- 이반 노체프 (1916년 - 1991년), 달 모듈(달에 도달) "아폴로 11호"의 엔진 발명에 참여했다.
- 에블로기 게르기예프 (1819년 - 1897년), 기업가, 실업가, 박애주의자였다.
- 엘레나 스네지나 (1882년 - 1944년), 최초의 불가리아 극작가였다.
- 이반 보고로프 (1818년 - 1892년), 불가리아 교육자, 공론가, 저널리스트 겸 백과사전 편집자, 불가리아어 순수성의 수호자였다.
- 이반 라자로프 (1890년 - 1952년), 조각가였다.
- Иван Поповbg (1865년 - 1966년), 불가리아 극장의 창시자이자 역사가였다.
- 코스타딘 게르기예프, IMRO 출신 혁명가, 스테판 디미트로프의 체트니크였다.
- 스토이초 케레프 (1965년), 저널리스트, 프로듀서 및 미디어 전문가, "관점의 문제" 및 "새로운 지식", 행동 및 분석 방법의 저자, 강사 및 커뮤니케이터이다.
- 라이나 카사보바 (1897년 - 1969년), 세계 최초의 전투 비행에 참여하여 에디르네에 소환장을 투하했다.
- 라자르 라자로프 (1864년 -1948년), 불가리아 장교, 중장이었다.
- 라자르 넨코프 라자로프 (1941년 - 2006년), 예술가였다.
- 마리아 시모바 (1920년 - 1977년), 극작가였다.
- 미하일 간체프 (1872년 - 1931년), 불가리아 군인 및 혁명가였다.
- 니콜라이 스토야노프 (1948년), 불가리아 작가이자 번역가이다.
- 파이시 카라벨로프 (1891년 - 1944년), 불가리아 성직자이자 공인이었다.
- 펜초 라도프, 불가리아 부흥기 서적 출판자 및 서적상이었다.
- 페트코 아바지예프 (1913년 출생), 예술가였다.
- 페타르 알렉산드로프 (1962년 출생), 축구 선수, 국가대표, 1994년 미국 월드컵 동메달리스트였다.
- 페타르 탄틸로프 (1861년 - 1937년), 군인, 중장이었다.
- 페타르 유루코프 (1882년 - 1905년), 혁명가였다.
- 하지 토도르 사하치예프 (미상 - 1877년), 부흥기 교육자, 상인이었다.
- 라이노 포포비치 (1773년 - 1858년), "교사의 교사"라고 불리는 코텔 출신의 교사이자 작가였다.
- 랑겔 게로브스키 (1959년 - 2004년), 불가리아 레슬러, 올림픽 메달리스트였다.
- 스테판 니콜로프, VMORO 출신 혁명가, 스테판 디미트로프의 체트니크였다.
- 스테판 x. 이바노프, VMORO 출신 불가리아 혁명가, 코초 촌코프의 체트니크였다.
- 흐리스토 게르기예프 (1824년 - 1872년), 기업가였다.
- 흐리스토 무타프치예프 (1969년 출생), 배우였다.
- 흐리스토 프로다노프 (1943년 - 1984년), 등반가, 에베레스트산 등반가였다.
- 흐리스토 스토야노프, VMORO 출신 불가리아 혁명가, 타네 니콜로프의 체트니크였다.
- 흐리스토 자푸노프 (1850년 - 1908년), 신발 스틱 기계를 제작하여 1892년 플로브디프에서 열린 제1회 불가리아 전시회에서 명물이었다.
- 바실 바노프 (1946년 7월 26일 출생), 배우였다.
- 넬리 페트코바 (1983년 출생), 팝 및 민속 가수이다.
8. 자매 도시
카를로보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국가 | 도시 |
---|---|
러시아 | 브랸스크 (러시아 브랸스크주) |
그리스 | 카테리니 (그리스) |
이탈리아 | 오시오 소토 (이탈리아) |
폴란드 | 코닌 (폴란드) |
벨라루스 | 바라노비치 (벨라루스) |
독일 | 제하임-유겐하임 (독일) (2018년~) |
참조
[1]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по градове и пол | Национален статистически институт
https://nsi.bg/bg/co[...]
2023-04-06
[2]
웹사이트
Cities of Bulgaria
http://pop-stat.mash[...]
Czech Statistical Office
2024-04-03
[3]
서적
Victorian England ~ Literary Perspective in Bulgaria
https://archive.org/[...]
1996
[4]
웹사이트
Страшното в Карлово
http://www.vasil-lev[...]
2015-01-06
[5]
서적
Княжество България в историческо, географическо и етнографическо отношение. Продължение от част ІІ. По руско-турската война през 1877-78 г.
http://sever.library[...]
[6]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по градове и пол | Национален статистически институт
https://nsi.bg/bg/co[...]
2023-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