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메룬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메룬산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화산 중 하나로, 카메룬 서해안 북쪽에 위치하며 해발 고도는 4,095m이다. 현무암질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백악기부터 제4기의 퇴적물이 덮인 선캄브리아 시대의 기반암 위에 형성되었다.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빈번하게 분화하는 화산으로, 기원전 5세기에 화산 활동이 기록되었으며, 1922년과 1999년의 분화에서는 용암류가 대서양에 도달하거나 바다 가까이 흘러갔다. 카메룬산의 자연 식생은 고도에 따라 다양하며, 저지대 열대 우림, 저산대 숲, 상산대 숲, 산악 관목, 산악 초원, 아고산 초원 등이 분포한다. 또한 아프리카 숲코끼리를 포함한 다양한 동물 종이 서식하며, 두 종의 조류가 고유종으로 존재한다. 카메룬산은 2009년에 설립된 카메룬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매년 카메룬산 레이스가 개최되어 등반객들이 찾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메룬의 화산 - 니오스호
    니오스호는 카메룬 북서부에 있는 화산호로, 1986년 호수 분화로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방출되어 많은 사상자를 낸 사건으로 유명하며, 현재는 가스 제거 작업과 댐 강화 및 수위 조절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 아프리카의 화산 - 알보란섬
    알보란섬은 지중해에 위치한 스페인령 화산섬으로, 검은머리갈매기 번식지이자 철새의 중간 기착지이며, 알보라나이트가 발견되고 멸종 위기 식물이 서식하며, 알메리아 자치시에 속한다.
  • 아프리카의 화산 - 루웬조리산
    우간다와 콩고 민주 공화국 국경에 위치한 루웬조리산은 결정질 암석 융기로 형성된 비화산성, 비조산성 산맥으로, 다양한 식생대와 고유종이 존재하며, 기후 변화로 빙하가 후퇴하고 있다.
카메룬산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부에아에서 바라본 카메룬 산
부에아에서 바라본 카메룬 산
현지 이름Mongo ma Ndemi (몽고 마 은데미)
위치카메룬 남서부 주
좌표4° 13′ 00″ N, 9° 10′ 21″ E
지리
높이4,040 m
상대 높이3,901 m
순위세계 31위
지질학적 정보
종류성층 화산
마지막 분화2012년 2월
등반 정보
최초 등반조지프 메릭, 1840년대
가장 쉬운 경로스크램블링

2. 지리 및 지질

카메룬산은 서아프리카 카메룬의 서부 해안에 자리한 활화산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큰 화산 중 하나로 꼽힌다.[6] 해발 고도는 약 4040m 이상으로 측정되지만, 지속적인 화산 활동으로 인해 정확한 높이는 유동적이다. 해안에서 불어오는 습하고 강한 바람은 산기슭의 열대 우림을 지나 헐벗은 정상으로 향한다. 국제지질과학연맹(IUGS)은 이곳의 독특한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하여 '제4기 카메룬 화산'을 세계 100대 지질 유산 중 하나로 선정하기도 했다. 카메룬산은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빈번하게 분화하는 화산으로 알려져 있다.

2. 1. 지질학적 특징

카메룬산은 서부 카메룬 해안에서 4040m 높이로 솟아 있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화산 중 하나이다.[6] 국제지질과학연맹(IUGS)은 카메룬산이 '수동적인 지각 경계에서 대륙과 해양 경계에 위치한 세계에서 몇 안 되는 화산 중 하나'라는 점을 중요하게 평가하여, 2022년 10월 발표된 목록에서 '제4기 카메룬 화산'을 전 세계 100개의 '지질 유산지' 중 하나로 선정했다. IUGS는 지질 유산지를 '참고 자료로 사용되고, 역사적으로 지질 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한 국제 과학적 관련성이 있는 지질 요소 및/또는 과정을 가진 주요 장소'로 정의한다.

카메룬산의 해발 고도는 일반적으로 4095m로 알려져 있으며, 카메룬 서해안 북쪽에 위치한다. 해안에서 불어오는 차갑고 강한 바람이 열대 우림을 지나 헐벗은 산 정상으로 불어오며, 때로는 눈을 동반하기도 한다.

카메룬산을 구성하는 주된 암석은 현무암질이다. 지질학적으로는 선캄브리아 시대의 기반암 위에 백악기부터 제4기에 걸쳐 쌓인 퇴적물이 덮여 있는 구조이다. 카메룬산은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빈번하게 분화하는 화산으로 알려져 있다. 기록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화산 활동은 기원전 5세기카르타고의 해양 탐험가 한노가 관측한 것으로 전해지지만, 다른 산이라는 주장도 있다. 역사적으로 완만한 분화와 격렬한 분화가 산 정상과 산 중턱 양쪽에서 모두 발생했다. 1922년에는 남서쪽 사면에서 분화가 일어나 발생한 용암류가 대서양까지 도달했으며, 1999년 남쪽 사면 분화 때도 용암이 바다에서 불과 200m 지점까지 흘러내렸다.

카메룬산의 정확한 높이에 대해서는 여러 측정값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4095m로 알려져 있지만, SRTM 측정에서는 4070m라는 값이 제시되기도 했다. 또한, GPS 측정에서는 약 4040m라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이는 화산 활동으로 인해 고도가 계속 변동하기 때문으로, 정확한 높이를 측정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2. 2. 화산 활동

카메룬산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화산 중 하나이며,[6]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빈번하게 분화하는 화산이기도 하다. 산을 구성하는 주요 암석은 현무암질이며, 지질학적으로 선캄브리아 시대의 기반암 위에 백악기부터 제4기에 걸쳐 쌓인 퇴적물로 덮여 있다.

기록상 가장 오래된 화산 활동은 기원전 5세기카르타고의 해양 탐험가 한노가 관측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것이 카메룬산이 아닌 다른 산이라는 설도 존재한다. 역사적으로 카메룬산은 완만한 분화와 격렬한 분화를 반복했으며, 분화는 산 정상뿐만 아니라 산 중턱(산복)에서도 발생했다.

주요 분화 기록은 다음과 같다.

  • 1922년 분화: 산의 남서쪽 면에서 분화가 일어나 발생한 용암류가 대서양까지 흘러내렸다.
  • 1999년 분화: 산의 남쪽 면에서 분화했으며, 이때 흘러나온 용암은 바다에서 불과 200m 떨어진 지점까지 도달했다.


이러한 지속적인 화산 활동으로 인해 산의 해발 고도 역시 변화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정확한 높이를 측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3. 생태

산의 자연 식생은 고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저지대 열대우림에서 시작하여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저산대 숲, 상산대 숲, 산악 관목 지대, 산악 초원, 아고산 초원 등 다양한 식물 군락이 순차적으로 분포한다.

동물상 또한 풍부하여, 100마리 이상의 아프리카 숲코끼리(Loxodonta cyclotisla)를 포함한 여러 대형 포유류와 침팬지(Pan troglodytesla), 드릴(Mandrillus leucophaeusla) 등 다양한 영장류가 서식한다. 특히 카메룬산 아프리카방울새(Pternistis camerunensisla)와 카메룬산 안경새(Zosterops melanocephalusla)는 이곳에서만 발견되는 고유종 조류이다.[1]

3. 1. 식물상

산의 자연 식생은 고도에 따라 다양하다. 산의 주요 식물 군락은 다음과 같다.

  • '''저지대 열대 우림'''은 해발 800m 고도까지 산기슭 하단부에 주로 분포한다. 이 저지대 숲은 크로스-사나가-비오코 해안림 생태 지역의 일부이다. 높이 25m에서 30m에 달하는 울창한 수관을 가진 상록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관 위로 더 높은 나무들이 솟아 있다. 많은 나무는 뿌리가 판자처럼 넓게 발달한 판근을 가지고 있다. 숲은 매우 다양하고 종이 풍부하며 수많은 덩굴 식물이 자란다. 저지대 숲의 대부분은 야자유 농장을 포함하여 농업 및 혼농임업 지역으로 전환되었다.
  • '''저산대 숲'''은 '''아산대 숲''' 또는 '''운무림'''이라고도 하며, 해발 800m에서 1600m 고도 사이에서 자란다. 저산대 숲은 상록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20m에서 25m 높이의 닫혀 있거나 간헐적으로 끊어진 수관을 형성한다. 풀, 허브, 키 큰 초본 식물(아칸투스과 포함), 나무 고사리, 목본 관목 및 낮은 나무가 있는 초원과 관목지가 흩어져 있다. 잦은 구름과 안개는 이끼, 고사리, 난초를 포함한 풍부한 착생식물을 유지시켜 준다. 저산대 숲은 다양하고 종이 풍부하며, 특징적인 아프리카 산악 지역 식물과 고유종이 있다. ''Impatiens etindensis''[8]와 ''I. grandisepala''[9]는 카메룬 산의 산악 숲에만 서식하는 초본 착생식물이다. 저산대 숲은 더 높은 고도의 숲, 관목지, 초원과 함께 카메룬 산 및 비오코 산악림 생태 지역의 일부이다.
  • '''상산대 숲'''은 해발 1600m에서 1800m 고도에서 자란다. 높이 20m까지 자라는 나무들이 수많은 착생식물과 함께 개방된 수관 형태의 숲을 형성한다. 상산대 숲은 저고도 숲보다 종 다양성이 낮고 화재가 더 자주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 '''산악 관목''' 지대는 해발 1800m에서 2400m 고도 사이에서 자란다. 1m에서 15m 높이의 낮은 나무들이 작은 관목, 허브, 고사리 및 덩굴로 이루어진 하층 식생과 함께 개방된 수관 형태의 숲, 삼림지 및 관목지를 형성한다.
  • '''산악 초원'''은 해발 2000m에서 3000m 고도 사이에 나타난다. 우세한 식생은 사초이며, 불에 잘 견디는 관목과 낮은 나무들이 흩어져 있다.
  • '''아고산 초원'''은 해발 3000m에서 4000m 이상까지 가장 높은 고도에서 발견된다. 추위에 잘 견디는 사초, 키 작은 나무와 관목, 그리고 껍질 이끼, 잎 이끼 및 수지상 이끼 등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3. 2. 동물상

산에는 100마리가 넘는 개체수를 가진 아프리카 숲코끼리(Loxodonta cyclotislat)를 포함한 대형 포유류가 서식한다. 다른 초식동물로는 붉은강멧돼지(Potamochoerus porcuslat), 검은영양(Tragelaphus scriptuslat), 베이듀이커(Cephalophus dorsalislat), 푸른듀이커(Philantomba monticolalat), 노란등듀이커(Cephalophus sylvicultorlat)가 있다. 산에는 침팬지(Pan troglodyteslat), 드릴(Mandrillus leucophaeuslat), 붉은머리망가베이(Cercocebos torquatuslat), 퍼티코 원숭이(Cercopithecus nictitanslat), 모나원숭이(Cercopithecus monalat), 붉은귀원숭이(Cercopithecus erythrotislat), 프루스게논(Cercopithecus preussiilat), 왕관게논(Cercopithecus pogoniaslat)을 포함한 여러 영장류 종이 서식한다.[1]

두 종의 조류가 카메룬산에 고유하며, 카메룬산 아프리카방울새(Pternistis camerunensislat)와 카메룬산 안경새(Zosterops melanocephaluslat)가 있다.[1]

4. 카메룬산 국립공원

부아(Buea)에 위치한 카메룬산 국립공원 입구


카메룬산 국립공원(Mount Cameroon National Park, Parc National du Mont Camerounfra)은 2009년에 설립되었다. 이 공원은 581.23km2 면적을 차지한다.[10] 이 공원에는 이전의 에틴데(Etinde) 산림 보호구역과 봄보코(Bomboko) 산림 보호구역 대부분이 포함된다.[11] 봄보코 산림 보호구역의 일부는 산의 북쪽 낮은 경사면에 위치하며 공원 밖에 남아 있다.[1]

5. 등반

카메룬산 정상에는 종종 등산객들이 오른다. 매년 희망의 카메룬 산 레이스가 열리는데, 참가자들은 약 4시간 30분 만에 정상을 오르내린다. 사라 에통게는 이 레이스에서 7번 우승했으며, 여행사도 운영하고 있다. 영국의 탐험가 메리 킹슬리는 산을 오른 최초의 유럽인 중 한 명으로, 1897년에 출간된 회고록 ''서아프리카 여행기''에서 자신의 등반 경험을 기록했다.

참조

[1] 문서 A higher elevation of {{convert|4095|m|ft|0|abbr=on}} is often given, but this is not compatible with [[SRTM]] data, which shows no 3" cells higher than {{convert|4027|m|ft|0|abbr=on}} or 1" cells higher than {{convert|4029|m|ft|0|abbr=on}}.
[2] 문서 A hand-held GPS reading of {{convert|4045|m|ft|0|abbr=on}} was reported in 2015. http://peakbagger.co[...]
[3] 웹사이트 Mont Cameroun, Cameroon http://www.peakbagge[...] 2012-09-30
[4] 서적 DeLancey and DeLancey 1844-1849
[5] 웹사이트 Mount Cameroon http://www.britannic[...]
[6] 논문 Locating the depth of magma supply for volcanic eruptions, insights from Mt. Cameroon 2016-10-07
[7] 간행물 The Management Plan of the Mount Cameroon National Park and its Peripheral Zone, 2015 - 2019 The Ministry of Forestry and Wildlife, Republic of Cameroon
[8] 논문 Impatiens etindensis 2021-11-18
[9] 논문 Impatiens grandisepala 2021-11-18
[10] 웹사이트 Mont Cameroun https://www.protecte[...] 2020-06-15
[11] 서적 Interactive Forest Atlas of Cameroon, Version 3.0 http://pdf.wri.org/i[...] World Resources Institute 2012
[12] 웹사이트 The First 100 IUGS Geological Heritage Sites https://iugs-geoheri[...] IUGS 2022-11-13
[13] 웹사이트 2012-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