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룬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메룬 대통령은 카메룬의 국가 원수이자 행정 수반이다. 초대 대통령은 아마두 아히조이며, 1960년부터 1982년까지 재임했다. 1982년 아히조의 사임 이후 폴 비야가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현재까지 장기 집권하고 있다. 카메룬 대통령은 총리, 각료, 주지사 임면권, 국군 최고 지휘권 등 강력한 권한을 행사한다. 2008년 대통령 임기 제한이 철폐되어 폴 비야의 장기 집권이 가능해졌으며, 이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메룬의 대통령 - 폴 비야
1982년부터 카메룬의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장기 집권 중인 폴 비야는 선거 부정 의혹, 권위주의적 통치, 인권 침해 논란 등으로 비판받고 있지만, 프랑스 및 중국과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 나이지리아와의 영유권 분쟁을 해결하는 등 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카메룬의 대통령 - 아마두 아히조
아마두 아히조는 북부 카메룬 출신으로, 프랑스 위임 통치령 공무원에서 시작하여 카메룬 독립을 이끌고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일당제 국가를 수립했으나, 석유 수입 관리의 불투명성으로 비판받았으며 사임 후 망명하여 사형 선고를 받았다. - 대통령 목록 - 키르기스스탄의 대통령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은 국가 원수로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총리 임명, 대외 정책 결정, 법률 공포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한다. - 대통령 목록 - 이탈리아의 대통령
이탈리아 대통령은 의회 양원 의원과 지역 대표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는 국가원수로서, 7년 임기 동안 국가를 대표하며 외교, 입법, 행정, 사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 및 실질적 권한을 행사하고 국가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메룬의 대통령 | |
---|---|
대통령 개요 | |
![]() | |
직책 명칭 (한국어) | 대통령 |
직책 명칭 (프랑스어) | Présidents de la République du Cameroun |
직책 명칭 (영어) | President of Republic of Cameroon |
관저 | Palais de l'Unité |
직무 관련 정보 | |
임명 방식 | 직접 선거 |
임기 | 7년 (재선 가능) |
첫 대통령 | 아마두 아히조 |
설립일 | 1960년 5월 5일 |
봉급 | 연간 378,813,989 FCFA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현직 대통령 | |
현직 대통령 이름 | 폴 비야 (Paul Biya) |
현직 대통령 취임일 | 1982년 11월 6일 |
승계 | |
승계 순위 | 상원 의장 (Marcel Niat Njifenji) |
2. 카메룬 대통령 목록
대 | 대통령 | 소속 정당 | 임기 | 재임 기간 | 비고 | |
---|---|---|---|---|---|---|
1 | 아마두 아히조 Ahmadou Ahidjo|아마두 아히조프랑스어 | ![]() | 카메룬 연합(UC) | 1 | 1960년 1월 1일 - 1960년 5월 5일 | 임시 대통령 (국가원수) |
(1) | 아마두 아히조 | -- | 카메룬 연합(UC) | 1 | 1960년 5월 5일 - 1961년 10월 1일 | |
(1) | 아마두 아히조 | -- | 카메룬 연합(UC) | 1 | 1961년 10월 1일 - 1965년 | |
2 | 1965년 - 1966년 | |||||
카메룬 국민 연합(UNC) | 2 | 1966년 - 1970년 | ||||
3 | 1970년 - 1972년 6월 2일 | |||||
(1) | 아마두 아히조 | -- | 카메룬 국민 연합(UNC) | 1 | 1972년 6월 2일 - 1975년 | |
2 | 1975년 - 1980년 | |||||
3 | 1980년 - 1982년 11월 6일[6] | |||||
2 | 폴 비야 Paul Biya|폴 비야프랑스어 | -- | 카메룬 국민 연합(UNC) | 4 | 1982년 11월 6일 - 1984년 2월 4일 | |
(2) | 폴 비야 | -- | 카메룬 국민 연합(UNC) | 1 | 1984년 2월 4일 - 1985년 | |
(2) | 카메룬 인민 민주 운동(RDPC) | 1985년 - 1988년 | ||||
2 | 1988년 - 1992년 | |||||
3 | 1992년 - 1997년 | |||||
4 | 1997년 - 2004년 | |||||
5 | 2004년 - 2011년 | |||||
6 | 2011년 - 2018년 | |||||
7 | 2018년 - (현직) | |||||
2. 1. 카메룬 공화국 (1960-1961)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직후, 카메룬은 1961년까지 카메룬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존속했다. 이 시기 초대 대통령은 아마두 아히조였다. 아히조는 1960년 1월 1일 독립과 함께 국가원수 자격으로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하다가, 같은 해 5월 5일 정식으로 대통령에 취임했다.[3] 임기 초기 아히조는 카메룬 연합 소속이었다.2. 1. 1. 아마두 아히조 (1960-1961)
1960년 1월 1일 카메룬이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면서 아마두 아히조는 카메룬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아히조는 1960년 5월 5일까지 국가원수로서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했다.[3] 이후 정식으로 대통령에 취임하여 1961년 10월 1일까지 카메룬 공화국의 대통령직을 맡았다. 아히조는 집권 초기 카메룬 연합 (UC) 소속이었다.2. 2. 카메룬 연방 공화국 (1961-1972)
1961년 영국령 카메룬과의 통합으로 카메룬 연방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초대 대통령으로는 아마두 아히조가 취임하였다. 아히조는 1966년까지 카메룬 연합 소속이었으나, 이후 카메룬 국민 연합을 창당하여 당적을 변경하였다. 그는 1965년과 1970년 대통령 선거에서 각각 100%의 득표율로 재선되었다.[1] 아히조 대통령 시기에는 동카메룬과 서카메룬에 각각 총리가 존재했다.2. 2. 1. 아마두 아히조 (1961-1972)
1961년 10월 1일, 아마두 아히조는 카메룬 연방 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1966년까지 카메룬 연합(UC) 소속이었으며, 이후 카메룬 국민 연합(UNC)을 창당하여 당적을 옮겼다.아히조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동카메룬과 서카메룬에는 각각 총리가 있었다. 동카메룬에서는 샤를 아살레, 뱅상 드 폴 아한다, 시몽 피에르 춍기가 총리직을 역임했고, 서카메룬에서는 존 응구 퐁차, 오귀스틴 응곰 주아, 살로몽 탄뎅 무나가 총리직을 맡았다.
2. 3. 카메룬 연합 공화국 (1972-1984)
1972년 6월 2일, 카메룬은 연방제에서 단일 국가 체제인 카메룬 연합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이 시기 아마두 아히조 대통령은 1975년과 1980년 선거에서 연이어 당선되며 권력을 유지했다.아마두 아히조는 카메룬 국민 연합(UNC) 소속으로, 1982년 11월 6일 사임할 때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했다.[6] 이후 총리였던 폴 비야가 대통령직을 승계받아 1984년 1월 14일 대통령 선거에서 단독 후보로 당선되었다.
2. 3. 1. 아마두 아히조 (1972-1982)
'''아마두 아히조'''(Ahmadou Ahidjo|아마두 아히조프랑스어, 1924년 8월 24일 ~ 1989년 11월 30일)는 1972년 6월 2일부터 1982년 11월 6일까지 카메룬 연합 공화국의 대통령을 지냈다. 그는 1975년, 1980년 대통령 선거에서 연이어 당선되며 재임 기간을 이어갔다. 카메룬 국민 연합(UNC) 소속이었던 아히조는 1982년 11월 6일에 대통령직에서 사임했다.[6] 그의 사임으로 당시 총리였던 폴 비야가 대통령직을 승계받았다.2. 3. 2. 폴 비야 (1982-1984)
1982년 11월 6일, 아마두 아히조 대통령이 사임하면서 당시 총리였던 폴 비야가 대통령직을 승계받았다.[6] 비야는 1983년까지 아히조와 권력 투쟁을 벌였으며, 이 기간 동안 아히조는 카메룬 국민 연합(UNC)의 당수직을 유지하려 했다. 비야는 1984년 대통령 선거에서 단독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비야는 집권 초기에는 아히조의 측근들을 요직에 기용했지만, 이후 자신의 측근들로 교체하며 권력을 강화했다.2. 4. 카메룬 공화국 (1984-현재)
1984년 2월 4일 카메룬 공화국이 수립된 후 폴 비야가 대통령직을 맡고 있다. 비야는 아마두 아히조 대통령의 사임으로 1982년 11월 6일부터 대통령직을 승계받았다. 집권 초기에는 카메룬 국민 연합(UNC) 소속이었으나, 1985년 카메룬 인민 민주 운동(RDPC)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비야 대통령은 1984년, 1988년, 1992년, 1997년, 2004년, 2011년, 2018년 선거에서 연이어 당선되었다. 2008년에는 헌법을 개정하여 대통령 임기 제한을 철폐, 장기 집권의 길을 열었다.[3]
카메룬은 헌법상 삼권 분립을 명시하고 있으나, 현실에서는 사법부와 입법부 모두 대통령의 영향력 아래 있다.[4] 대통령 사망 또는 사임 시에는 상원 의장이 임시로 대통령직을 수행한다.[5]
2. 4. 1. 폴 비야 (1984-현재)
폴 비야는 1982년 11월 6일부터 대통령직을 맡고 있다.[3] 그는 아마두 아히조 대통령의 사임으로 대통령직을 승계받았다. 비야는 집권 초기에는 카메룬 국민 연합(UNC) 소속이었으나, 1985년에 당명을 카메룬 인민 민주 운동(RDPC)으로 변경하였다.[3]비야 대통령의 재임 기간 동안 역대 총리들은 다음과 같다:
총리 이름 | 재임 기간 |
---|---|
마이가리 | 1982년 11월 6일 ~ 1983년 |
아양 | 1983년 ~ 1984년 2월 4일 |
하야투 | 1991년 4월 26일 ~ 1992년 4월 9일 |
아추 | 1992년 4월 9일 ~ 1996년 9월 19일 |
무송게 | 1996년 9월 19일 ~ 2004년 12월 8일 |
이노니 | 2004년 12월 8일 ~ 2009년 6월 30일 |
양 | 2009년 6월 30일 ~ 2019년 1월 4일 |
응게테 | 2019년 1월 4일 ~ 현재 |
2008년, 비야는 헌법 개정을 통해 대통령 임기 제한을 철폐하여 장기 집권의 길을 열었다.[3] 이는 국내외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3]
3. 카메룬 대통령의 권한
4. 카메룬 대통령 승계
5. 역대 대통령 선거
선거 연도 | 후보 | 득표율 | 정당 |
---|---|---|---|
1965년 | 아마두 아히조 | 100% (2,700,697표) | 카메룬인연합 (1966년까지), 카메룬 국민 연합 (1966년 이후) |
1970년 | 아마두 아히조 | 100% (3,478,942표) | 카메룬 국민 연합 |
1975년 | 아마두 아히조 | 100% (3,483,165표) | 카메룬 국민 연합 |
1980년 | 아마두 아히조 | 100% (3,329,145표) | 카메룬 국민 연합 |
1984년 | 폴 비야 | 100% (3,878,138표) | 카메룬 국민 연합 (1985년까지), 카메룬 인민 민주 운동 (1985년 이후) |
1988년 | 폴 비야 | 100% (3,321,872표) | 카메룬 인민 민주 운동 |
1992년 | 폴 비야 | 40% (1,185,466표) | 카메룬 인민 민주 운동 |
1997년 | 폴 비야 | 92.57% (3,167,820표) | 카메룬 인민 민주 운동 |
2004년 | 폴 비야 | 70.92% (2,665,359표) | 카메룬 인민 민주 운동 |
2011년 | 폴 비야 | 77.99% (3,772,527표) | 카메룬 인민 민주 운동 |
2018년 | 폴 비야 | 71.28% (2,521,934표) | 카메룬 인민 민주 운동 |
참조
[1]
뉴스
Cameroonian President Paul Biya Marks 40 Years in Power
https://www.voanews.[...]
VOA News
2022-11-06
[2]
웹사이트
The highest and lowest paid African presidents - Business Daily
https://www.business[...]
2020-12-27
[3]
웹사이트
Circumvention of Term Limits Weakens Governance in Africa
https://africacenter[...]
[4]
웹사이트
Cameroon: Government
https://globaledge.m[...]
Michigan State University: Broad College of Business
2023-09-02
[5]
뉴스
Cameroun: Marcel Niat Njifenji élu président du Sénat
http://www.rfi.fr/af[...]
[6]
문서
任期満了前に辞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