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이토브란쿠스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이토브란쿠스족은 최대 12~24cm까지 자라는 타원형의 납작한 몸체와 뾰족한 머리를 가진 물고기 종이다. 작고 좁은 입과 이빨, 섬모를 이용한 플랑크톤 섭취, 길고 뾰족한 가슴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까지 닿는 측선이 특징이다. 카이토브란콥시스속과 카이토브란쿠스속을 포함하며, 공작농어아과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클라아과 - 디스커스
    디스커스는 아마존 강 유역에 사는 시클리드과 열대어로, 원반 모양의 외형과 화려한 색깔로 관상어로서 인기가 높지만, 수질과 수온에 민감하여 사육이 어렵고, 번식 시 부모가 피부 분비물로 치어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특징이 있다.
  • 키클라아과 - 키클라소마속
    키클라소마속은 키클리드과의 한 속이며, 현재 3종의 어류가 속해 있고, 많은 종들이 다른 속, 예를 들어 헤로스속, 토르키클라스속 등으로 재분류되었다.
카이토브란쿠스족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학술 분류생물 - 진핵생물 - 후생동물 - 척삭동물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키클라목 - 키클리과 - 키클라아과
학명Chaetobranchini
명명자Fernández Yépez, 1951
모식속Chaetobranchus
모식속 명명자Heckel, 1840
하위 분류
Chaetobranchus Heckel, 1840
Mesoheros Říčan & Novák, 2016

2. 특징

카이토브란쿠스족의 종들은 최대 12에서 24cm까지 자라며, 타원형에 측면으로 납작한 몸체와 뾰족한 머리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작고 좁은 입과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아가미궁에 있는 섬모를 필터로 사용하여 플랑크톤을 먹고 산다.[2] 매우 축소된 하인두골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길쭉한 측면 돌기, 용골 및 원추형 이빨을 가지고 있다.[3] 또한 거의 뒷지느러미 기저부 끝까지 뻗어있는 길고 뾰족한 가슴지느러미꼬리지느러미까지 닿는 3~4개의 긴 후방 측선으로 특징지어진다.[4]

3. 하위 속

카이토브란쿠스족에 포함되는 속은 다음과 같다.[1]


  • 카이토브란콥시스 (슈타인데흐너, 1875)
  • 카이토브란쿠스 (헤켈, 1840)

4. 계통 분류

다음은 공작농어아과의 계통 분류이다.[7]

{| class="wikitable"

|-

!  키클라아과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카이토브란쿠스족
게오파구스족



|-

|

{| class="wikitable"

|-

| 아스트로노투스족

|-

|

{| class="wikitable"

|-

|

키클라소마족
 헤로스족



|-

|

{| class="wikitable"

|-

|

Hypselecara
Hoplarchus



|-

|

{| class="wikitable"

|-

| 프테로필룸속

|-

|

{| class="wikitable"

|-

|''Mesonauta'', ''Uaru'', 심피소돈속, 헤로스속

|-

|

중앙아메리카 분류군
북아메리카 분류군



|}

|}

|}

|}

|}

|}

|}

|}

|}

|}

참조

[1] 논문 Phylogeny, taxonomy, and evolution of Neotropical cichlids (Teleostei: Cichlidae: Cichlinae) http://static1.squar[...]
[2] 논문 Diet and ecomorphological relationships of four cichlid species from the Cuiabá River basin http://www.scielo.br[...]
[3] 논문 Cichlid fishes as models of ecological diversification: patterns, mechanisms, and consequences https://www.research[...]
[4] 웹사이트 Part II Review of the South American Cichlidae http://svenkullander[...] svenkullander.se 2018-11-15
[5] 웹인용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Based mostly on Molecular Data — Version 3 http://www.deepfin.o[...] 2015-09-30
[6] 문서 Phylogeny, taxonomy, and evolution of Neotropical cichlids (Teleostei: Cichlidae: Cichlinae)
[7] 문서 Multilocus phylogeny and rapid radiations in Neotropical cichlid fishes (Perciformes: Cichlidae: Cichlin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