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리나 칼리트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테리나 칼리트코는 우크라이나의 시인, 작가, 번역가이다. 1982년 빈니차에서 태어나 키이우 국립 모힐라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했다. 2007년 단편 산문집 《M.iстерия》를 공동 집필했으며, 시집 《잃어버린 땅, 혹은 작은 무서운 이야기》로 BBC 올해의 책 상을 수상했다. 또한, 시집 《침묵하는 자들의 훈장》으로 타라스 셰우첸코 국가상을 수상했으며, 작품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그녀는 세르보크로아트어 작품을 우크라이나어로 번역하는 활동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어 도착어 번역가 - 세르히 자단
우크라이나 작가이자 시인, 에세이스트, 번역가, 사회 운동가인 세르히 자단은 현대 우크라이나 문학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명으로,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통해 우크라이나 사회의 현실과 개인의 경험을 독특하게 담아내며, 문화 활동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현재는 우크라이나 국가 근위대에 입대하여 조국을 수호하고 있다. - 우크라이나어 도착어 번역가 - 레샤 우크라인카
레샤 우크라인카는 1871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난 작가이자 시인으로, 결핵으로 인해 가정 교육을 받고 여러 언어에 능통했으며, 시인의 외로움과 우크라이나 민족의 자유를 노래하며 희곡 《숲의 노래》를 남겼고, 러시아 제국에 반대하며 활동하다 1913년 사망했다. - 빈니차 출신 - 볼로디미르 흐로이스만
볼로디미르 흐로이스만은 우크라이나의 정치인으로 빈니차 시장, 우크라이나 부총리 겸 지역 개발부 장관, 최고 라다 의장, 그리고 총리를 역임했으며, 총리 재임 기간 동안 분권화 및 의료 개혁 등을 추진했다. - 빈니차 출신 - 빅토리아 코블렌코
빅토리아 코블렌코는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네덜란드에서 정치학을 전공하고, 다양한 언어에 능통하며, TV 해설가, 배우, 자선 활동가로 활동한다. - 우크라이나의 번역가 - 세르히 자단
우크라이나 작가이자 시인, 에세이스트, 번역가, 사회 운동가인 세르히 자단은 현대 우크라이나 문학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명으로,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통해 우크라이나 사회의 현실과 개인의 경험을 독특하게 담아내며, 문화 활동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현재는 우크라이나 국가 근위대에 입대하여 조국을 수호하고 있다. - 우크라이나의 번역가 - 올렉시 로흐비넨코
올렉시 로흐비넨코는 다양한 영미권 및 독일어 작품을 우크라이나어로 번역한 번역가이며, 미콜라 루카시 도서상 등을 수상했다.
카테리나 칼리트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카테리나 올렉산드리우나 칼리트코 |
출생일 | 1982년 3월 8일 |
출생지 | 소비에트 연방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빈니차 (현재 우크라이나) |
직업 | 시인 작가 번역가 |
모국어 | 우크라이나어 |
소속 | 우크라이나 전국 작가 동맹 우크라이나 펜클럽 |
학력 | 키예프 모힐라 아카데미 국립 대학교 |
수상 | |
주요 수상 | 타라스 셰우첸코 국가상 |
2. 생애
1982년 3월 8일[4][6][26][28][47] 우크라이나 빈니차에서 태어났다. 그는 이 지역의 러시아어 대안 학교를 다녔다.[48] 13살에서 14살 사이 학기 방학 동안 러시아어로 시를 쓰라는 교사의 지시를 거부한 것을 계기로, 자신이 우크라이나어와 이를 통한 글쓰기에 대해 단순한 취미 이상의 의미를 두고 있음을 깨달았다고 인터뷰했다.[49][50]
2023년에는 국민 연합 라디오 방송을 위한 구술 작품 집필을 위촉받았다.[11][33]
1999년부터 2005년까지 키이우 국립 모힐라 대학교에서 정치학과 미디어를 공부했다.[6][26] 다른 자료에서는 같은 대학에서 생명 화학을 전공했으며,[51] 문과적 성향으로 인해 학업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52] 수석으로 졸업했다고 한다.[53]
빈니차 외에도 사라예보에 거주하며[7][29], 그곳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현대 문학 작품들을 연구하고 세르보크로아트어 작품을 우크라이나어로 번역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2][5][24][27][46] 번역한 작가로는 에미르 쿠스투리차, 밀렌코 프로다노비치, 미하일로 판티치, 우그레샤 샤이티나츠 등이 있다.[2][5][24][27] 그는 한 권의 소설과 여섯 권의 시집을 출판했다.[46]
3. 경력
3. 1. 작품 활동
칼리트코는 다수의 시집과 산문집을 출간했다.[1][2] 주요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2007년에는 키이우의 출판사 팩트에서 출간된 단편 산문집 『M.істерія』의 공동 저자로 참여했다. 그녀의 저서 『잃어버린 땅, 혹은 작은 무서운 이야기들』은 올드 라이온 출판사에서 출판되었으며, 2017년 BBC 올해의 도서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30][31] 또한, 2019년에는 문학 포털 사이트 릿악센트(LitAccent)가 주관하는 릿악센트 문학상 시 부문을 수상했다.[32] 2023년에는 국민 연합 라디오로부터 구술 작품 위촉을 받았으며,[33] 같은 해 시집 『''Орден мовчальниць'' 』으로 타라스 셰우첸코 국가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34]
칼리트코의 작품은 영어, 독일어, 폴란드어, 아르메니아어, 리투아니아어, 슬로베니아어, 세르비아어, 불가리아어, 이탈리아어, 히브리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소개되었다.[35] 이러한 번역 활동을 통해 우크라이나의 메타포라 번역상과 잡지 『쿠리에 클리프바스』에서 수여하는 쿠리에 클리프바스 번역상을 받았다.[36]
3. 2. 번역 활동
카테리나 칼리트코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현대 문학 작품을 우크라이나어로 번역하는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2] 주요 번역 작품은 다음과 같다.
번역 연도 | 작품명 | 원저자 |
---|---|---|
2013 | 오스카 시상식용 신발 | 멜리나 카메리치 |
2013 | 사람들과 동물의 이야기 | 밀젠코 예르고비치 |
2014 | 스르다가 삼위일체 날 저녁에 노래한다 | 밀젠코 예르고비치 |
2014 | 죽음은 확인되지 않은 소문 | 에미르 쿠스투리차 |
2014 | 사히브 | 네나드 벨리치코비치 |
2015 | 아르카디아 | 밀레타 프로다노비치 |
2015 | 구름 속 산책 | 미하일로 판티치 |
2016 | 매우 소박한 선물 | 우글예샤 샤이티나츠 |
2017 | 초심자를 위한 사라예보 | 오즈렌 케보 |
2017 | 데르비쉬와 죽음 | 메샤 셀리모비치 |
2018 | 인샬라, 마돈나, 인샬라 | 밀젠코 예르고비치 |
또한 칼리트코 자신의 작품들도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번역된 언어로는 영어, 독일어, 폴란드어, 아르메니아어, 리투아니아어, 슬로베니아어, 세르비아어, 불가리아어, 이탈리아어, 히브리어 등이 있다.[35]
그녀는 번역 활동의 공로를 인정받아 우크라이나의 메타포라 번역상과 잡지 『쿠리에 클리프바스』에서 수여하는 번역상을 수상했다.[36]
4. 정치적 입장
칼리트코는 한 인터뷰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불가피했으며 단지 지연되었을 뿐이라고 항상 생각해왔다고 밝혔다. 그녀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영향력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않는 한 진정한 독립은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그 이전까지의 독립은 실질적인 의미를 갖기 어렵다고 보았다. 또한, 유로마이단 혁명 이전의 우크라이나 사회에 대해 "여기 있는 모든 사람이 유아적이고, 이상이 없으며, 전쟁이 시작되면 모두 어딘가로 도망갈 것이다"라고 비판적으로 언급하며, 이러한 자신의 생각에 대해 죄책감을 느꼈다고 말했다.[15][38]
5. 개인사
1982년 3월 8일, 우크라이나 빈니차에서 태어났다.[6][4][28][26] 1999년부터 2005년까지 키예프-모힐라 아카데미 국립대학교에서 정치학과 미디어를 공부했다. 빈니차 외에도 사라예보에 거주하며[7][29], 그곳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현대 문학 작품들을 연구하고 번역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번역 작가로는 에미르 쿠스투리차, Miljenko Prodanović|밀렌코 프로다노비치bos, Mihajlo Pantić|미하일로 판티치srp, Uglješa Šajtinac|우그레샤 샤이티나츠srp 등이 있다.[5][2][27][24]
칼리트코의 어머니는 그녀를 낳던 1982년 3월 8일, 의료진의 무관심과 무시 속에서 매우 고통스러운 출산을 경험했다고 한다. 당시 의사와 조산사들은 산모의 요구를 듣지 않고 국제 여성의 날을 축하하기 위해 서둘렀다고 전해진다.[6][28] 이러한 경험 때문에 칼리트코는 자신의 생일인 3월 8일을 좋아하지 않으며, 특히 나이 든 여성들이 젊은 여성들에게 보이는 존중과 연대의 부족에 대해 비판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6][28] 또한, 그녀는 다섯 살 때 할머니에게 결혼할 생각이 없으며 남자들은 자신에게 문제를 일으킬 뿐이라고 말하기도 했다.[6][28]
6. 수상 내역
칼리트코는 다음과 같은 상과 인정을 받았다:[4][14][26][36]
- 타라스 셰우첸코 국가상 (2023년): 시집 Орден мовчальниць|오르덴 모우찰니츠ukr로 수상.[16][17][34][39][40]
- 릿악센트 문학상 (LitAccent of the Year) (2019년): 작품집으로 시 부문 수상.[32]
- 예술 분야 여성상 문학 부문 수상 (2019년)[13][35]
- 유네스코 문학 도시 르비우 상 (2019년)[18][41]
- 요제프 콘라트 코제니우스키 문학상 (Joseph Conrad-Korzeniowski Literary Award) (2017년)[19][42]
- BBC 올해의 책 상 (BBC Book of the Year) (2017년): 저서 『잃어버린 땅, 혹은 작은 무서운 이야기들』로 수상.[30][31]
- 빌레니차 크리스탈 (Vilenica Crystal) (2016년)[20][43]
- 중앙 유럽 이니셔티브 작가 프로그램 펠로우십 (2015년)[21][44]
- 메타포라 번역상 (Metaphora Award) (2014년)[22][45] 및 쿠리에 클리프바스 번역상[36]
- 블라고베스트 상 (2001년)
7. 작품 목록
칼리트코는 2007년 키이우의 출판사 팩트에서 출간된 단편 산문집 『M.істерія』의 공동 저자였다. 그녀의 저서 『잃어버린 땅, 혹은 작은 무서운 이야기들』은 올드 라이온사에서 출판되었으며, 2017년 BBC 올해의 도서상에 선정되었다[30][31]。 2023년에는 국민 연합 라디오를 위해 구술 작품 위촉을 받았다[33]。
7. 1. 시집
- ''세상 창조 안내서'' (1999)[1][2]
- ''오늘의 내일'' (2001)[1][2]
- ''아스팔트 초상화'' (2004)[1][2]
- ''오디세이와의 대화'' (2005)[1][2]
- ''폭풍의 계절'' (2013)[1][2]
- ''처형장. 포도밭. 집'' (2014)[1][2]
- ''부나르'' (2018)[1][2]
- ''아무도 우리를 여기 모른다, 우리도 아무도'' (2019)[1][2]
- ''침묵의 기사단'' (Орден мовчальницьukr, 2021)[3]
칼리트코의 시는 2019년 문학 포털 사이트 릿악센트(LitAccent)의 릿악센트 문학상 시 부문에서 수상했다[32]。 2023년에는 시집 ''침묵의 기사단''(Орден мовчальницьukr)으로 타라스 셰우첸코 국가상을 수상했다[34]。
그녀의 작품은 영어, 독일어, 폴란드어, 아르메니아어, 리투아니아어, 슬로베니아어, 세르비아어, 불가리아어, 이탈리아어, 그리고 히브리어로 번역되었다[35]。 칼리트코는 이러한 번역 활동으로 우크라이나의 메타포라 번역상과 잡지 『쿠리에 클리프바스』로 알려진 쿠리에 클리프바스 번역상을 수상했다[36]。
7. 2. 번역
- ''오스카 시상식용 신발'' (멜리나 카메리치, 2013)
- ''사람들과 동물의 이야기'' (밀젠코 예르고비치, 2013)
- ''스르다가 삼위일체 날 저녁에 노래한다'' (밀젠코 예르고비치, 2014)
- ''죽음은 확인되지 않은 소문'' (에미르 쿠스투리차, 2014)
- ''사히브'' (네나드 벨리치코비치, 2014)
- ''아르카디아'' (밀레타 프로다노비치, 2015)
- ''구름 속 산책'' (미하일로 판티치, 2015)
- ''매우 소박한 선물'' (우글예샤 샤이티나츠, 2016)
- ''초심자를 위한 사라예보'' (오즈렌 케보, 2017)
- ''데르비쉬와 죽음'' (메샤 셀리모비치, 2017)
- ''인샬라, 마돈나, 인샬라'' (밀젠코 예르고비치, 2018)[2]
참조
[1]
웹사이트
Катерина Калитко : Критика, біографія, книжки, твори, фото : проза, поезія, переклади
http://avtura.com.ua[...]
2024-03-15
[2]
웹사이트
Калитко Катерина
https://pen.org.ua/m[...]
2021-08-16
[3]
웹사이트
Поетесі Катерині Калитко з Вінниці присудили Національну премію імені Тараса Шевченка - 20 хвилин
https://vn.20minut.u[...]
2024-03-15
[4]
서적
Калитко Катерина Олександрівна
https://esu.com.ua/a[...]
Інститут енциклопедичних досліджень НАН України
[5]
웹사이트
Калитко Катерина Олександрівна {{!}} Комітет з Національної премії України імені Тараса Шевченка
http://knpu.gov.ua/c[...]
2024-03-15
[6]
웹사이트
Не подарунок, або Про брак жіночої солідарності
https://life.pravda.[...]
2024-03-15
[7]
웹사이트
Катерина Калитко - Поезії - Захід-Схід. Літературно-мистецький портал
https://web.archive.[...]
2014-04-07
[8]
웹사이트
«Земля загублених» Катерини Калитко – переможець премії «Книга року ВВС-2017»
https://web.archive.[...]
2017-12-30
[9]
웹사이트
Земля Загублених, або Маленькі страшні казки {{!}} Видавництво Старого Лева
https://web.archive.[...]
2017-04-19
[10]
웹사이트
«ЛітАкцент року» оголосив переможців
https://web.archive.[...]
2021-01-16
[11]
웹사이트
"Ми в такий спосіб намагаємося триматися разом": Катерина Калитко розповіла про те, як писала радіодиктант
https://suspilne.med[...]
2023-10-26
[12]
웹사이트
Вінничанка здобула найвищу літературну нагороду України
https://vinnitsa.inf[...]
2023-01-01
[13]
웹사이트
Kateryna Kalytko / Ukraine {{!}} Internationale Literarische Korporation MERIDIAN CZERNOWITZ
https://www.meridian[...]
2024-03-15
[14]
웹사이트
Калитко Катерина Олександрівна: Біографія на УкрЛібі
https://www.ukrlib.c[...]
2024-03-15
[15]
웹사이트
Катерина Калитко: "Я саме після подій Революції гідності зрозуміла, що ніколи не зможу поїхати з України" - портал новин LB.ua
https://lb.ua/cultur[...]
2021-03-08
[16]
웹사이트
Оголошено лауреатів Шевченківської премії
https://www.pravda.c[...]
2024-03-15
[17]
웹사이트
Калитко, Катерина Олександрівна
http://vue.gov.ua/%D[...]
2024-03-15
[18]
웹사이트
У Львові вдруге вручили премію Міста літератури ЮНЕСКО
https://city-adm.lvi[...]
2019-11-04
[19]
웹사이트
Катерина Калитко — лауреатка премії Конрада 2017 – ЛітАкцент – світ сучасної літератури
http://litakcent.com[...]
2022-02-21
[20]
웹사이트
The 2016 Crystal Vilenica Award Winner is Kateryna Kalytko – Vilenica
https://vilenica.si/[...]
2018-01-08
[21]
웹사이트
The CEI Fellowship Winner for 2015 – Vilenica
https://vilenica.si/[...]
2018-01-08
[22]
웹사이트
Вересень {{!}} 2014 {{!}} Metaphora
http://www.metaphora[...]
2018-01-08
[23]
웹사이트
Катерина Калитко : Критика, біографія, книжки, твори, фото : проза, поезія, переклади
http://avtura.com.ua[...]
2024-03-15
[24]
웹사이트
Калитко Катерина
https://pen.org.ua/m[...]
2021-08-16
[25]
웹사이트
Поетесі Катерині Калитко з Вінниці присудили Національну премію імені Тараса Шевченка - 20 хвилин
https://vn.20minut.u[...]
2024-03-15
[26]
서적
Калитко Катерина Олександрівна
https://esu.com.ua/a[...]
Інститут енциклопедичних досліджень НАН України
[27]
웹사이트
Калитко Катерина Олександрівна {{!}} Комітет з Національної премії України імені Тараса Шевченка
http://knpu.gov.ua/c[...]
2024-03-15
[28]
웹사이트
Не подарунок, або Про брак жіночої солідарності
https://life.pravda.[...]
2024-03-15
[29]
웹사이트
Катерина Калитко - Поезії - Захід-Схід. Літературно-мистецький портал
https://web.archive.[...]
2014-04-07
[30]
웹사이트
«Земля загублених» Катерини Калитко – переможець премії «Книга року ВВС-2017»
https://web.archive.[...]
2017-12-30
[31]
웹사이트
Земля Загублених, або Маленькі страшні казки {{!}} Видавництво Старого Лева
https://web.archive.[...]
2017-04-19
[32]
웹사이트
«ЛітАкцент року» оголосив переможців
https://web.archive.[...]
2021-01-16
[33]
웹사이트
"Ми в такий спосіб намагаємося триматися разом": Катерина Калитко розповіла про те, як писала радіодиктант
https://suspilne.med[...]
2023-10-26
[34]
웹사이트
Вінничанка здобула найвищу літературну нагороду України
https://vinnitsa.inf[...]
2023-01-01
[35]
웹사이트
Kateryna Kalytko / Ukraine {{!}} Internationale Literarische Korporation MERIDIAN CZERNOWITZ
https://www.meridian[...]
2024-03-15
[36]
웹사이트
Калитко Катерина Олександрівна: Біографія на УкрЛібі
https://www.ukrlib.c[...]
2024-03-15
[37]
웹사이트
Катерина Калитко : Критика, біографія, книжки, твори, фото : проза, поезія, переклади
http://avtura.com.ua[...]
2024-03-15
[38]
웹사이트
Катерина Калитко: «Я саме після подій Революції гідності зрозуміла, що ніколи не зможу поїхати з України» - портал новин LB.ua
https://web.archive.[...]
2024-03-15
[39]
웹사이트
Оголошено лауреатів Шевченківської премії
https://www.pravda.c[...]
2024-03-15
[40]
웹사이트
Калитко, Катерина Олександрівна
http://vue.gov.ua/%D[...]
2024-03-15
[41]
웹사이트
У Львові вдруге вручили премію Міста літератури ЮНЕСКО
https://web.archive.[...]
2024-03-15
[42]
웹사이트
Катерина Калитко — лауреатка премії Конрада 2017 – ЛітАкцент – світ сучасної літератури
https://web.archive.[...]
2024-03-15
[43]
웹사이트
The 2016 Crystal Vilenica Award Winner is Kateryna Kalytko – Vilenica
https://web.archive.[...]
2024-03-15
[44]
웹사이트
The CEI Fellowship Winner for 2015 – Vilenica
https://web.archive.[...]
2024-03-15
[45]
웹사이트
Вересень {{!}} 2014 {{!}} Metaphora
https://web.archive.[...]
2024-03-15
[46]
웹인용
KATERYNA KALYTKO
https://modernpoetry[...]
2024-03-28
[47]
간행물
"У Вінниці часто говорять подільским суржиком, місто справді білінгвальне"
[48]
간행물
"Вже в той час я дуже хотіла вступити до Могилянки. У мене почало виникати власне україномовне і україноцентричне середовище, і я розуміла, що обираю цей контекст, а не те, що може запропонувати мені російська альтернатива"
[49]
간행물
"Вона стоїть і цідить крізь зуби, що «наполегливо радить мені це зробити», а я сиджу і, опустивши голову у зошит, повторюю, що не писатиму. Я завжди була така – мені не важило влаштувати сцену, важило обстояти свою позицію"
[50]
간행물
"Ця історія відбулася, коли мені було 13-14 років. Вже тоді я розуміла, що хочу писати, що це для мене більше, аніж просто юнацьке захоплення"
[51]
문서
"Закінчила Києво-Могилянську академію"
https://web.archive.[...]
[52]
간행물
"Я вчилася в хіміко-біологічній школі, і, оскільки мій профіль гуманітарний, в певний момент стало важко"
[53]
간행물
"Школу я все одно закінчила із золотою медаллю, попри все, чого мені це коштувало. Деякі шкільні вчителі пробували мене зламати, але я розуміла, що мушу вистоят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