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프 레드 클라우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캠프 레드 클라우드는 대한민국 의정부시 북서쪽에 위치했던 미군 기지로, 1950년대부터 2018년까지 주둔했다. 1998년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2002년에는 미군 관련 사건으로 반미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2018년 해체되어 대한민국 육군에 반환되었으며, 부지 일부는 관광 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정부시의 건축물 - 도봉차량사업소
도봉차량사업소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기지로, 일부 6000호대, 7000호대 전동차와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의 중정비 및 입출고 검수를 담당하며, 폐차된 6, 7호선 전동차 관리, 복잡한 배선 시스템 운영, 그리고 경기도 의정부시의 이전 요청과 관련되어 있다. - 의정부시의 건축물 - 의정부교도소
일제강점기 말 경성형무소 의정부농장으로 설립된 의정부교도소는 서울교도소 의정부지소를 거쳐 1966년 교도소로 승격되었고, 외국어 특별반 운영 및 수용자 대상 인문학 강좌 개최 등 다양한 교정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정시설이다. - 주한 미국 육군의 기지 - 용산기지
용산기지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사령부였으며, 기지 부지는 서울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며 공원 조성 계획이 추진 중이다. - 주한 미국 육군의 기지 - 캠프 킴
캠프 킴은 서울 용산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로, 서울시가 부지 매입 후 행정타운 조성을 계획했으나, 현재는 다양한 주한미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캠프 레드 클라우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캠프 정보 | |
명칭 | 캠프 레드 클라우드 |
원래 명칭 | Camp Red Cloud |
위치 |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 녹양동 |
종류 | 군영 |
건설 | 미국 육군 공병대, 극동 지구대, 대한민국 지부 |
재질 | 콘크리트 |
규모 | 약 20만 평 (약 836,000 km²) |
사용 | 195? ~ 2019년 폐쇄 |
상태 | 전 병력 함프리와 스텐리로 전출되었고 현재 폐쇄 상태임. 시설은 DPW 최소 인원의 관리하고 있음. |
공공 개방 | 아니요 |
통제 | 미국 육군 시설관리사령부, 태평양 지역대 |
주둔 | 제2보병사단 본부 |
현재 지휘관 | 알 수 없음 |
지휘관 | 알 수 없음 |
점유 | 알 수 없음 |
전투 | 알 수 없음 |
사건 | 알 수 없음 |
2. 역사
1998년 여름, 캠프 레드 클라우드는 심한 폭우로 큰 홍수 피해를 입었다. 이 홍수로 미군 장병 3명이 사망하고 많은 한국인과 가축이 목숨을 잃었으며,[4] 캠프 뒤편 언덕의 상당 부분이 유실되고 남쪽 절반이 파괴되는 등 시설 피해도 컸다. 주요 매점과 헬기 착륙장 옆 골프 프로샵, 여러 병영, 제2보병사단 박물관 등이 파괴되거나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2002년에는 미군 차량에 의해 여중생 2명이 사망한 양주 고속도로 사건에 대한 반발로 대규모 반미 시위가 발생했다.[5] 시위대가 화염병을 던지고 부대 주변 울타리에 구멍을 내는 등 격렬한 시위가 벌어졌고, 이후 부대 주변 울타리는 콘크리트 벽으로 교체되었다.
2005년, D-중대, HQ-중대, 제122통신대대가 해체되었고, 남은 병력은 A 중대, B 중대(통신 중대), HHSC(사단 본부 중대), 2X(사단 행정 중대)로 구성된 새로운 사단 특별 지원 대대(STB)를 구성했다. 제2보병사단 군악대는 2015년 8월에 해체되었다.
2016년 12월, 모든 주한 미군이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하면서, 캠프 레드 클라우드를 포함한 경기도와 서울특별시의 미군 시설은 각 시청에 반환될 예정이었다.[10] 캠프 레드 클라우드 부지에는 일부 군사 시설을 남기고 민간 관광단지를 조성할 계획이 세워졌다.
2018년 6월 21일, USAG 레드 클라우드(USAG-RC) 사령부가 해산되었고,[11] 캠프 케이시를 제외한 경기도 내 미군 부지 반환 작업이 본격화되었다. 마지막 사령관은 브랜든 D. 뉴턴(Brandon D. Newton) 대령이었다. 10월 18일에는 본부 건물인 프리맨 홀(Freeman Hall) 앞에서 폐쇄식을 갖고 제2보병사단 본부가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했다.[12][13] 시설 정리를 위해 일부 병력이 남았고, 12월 15일부터 골프장, 식당, 헬스장, 공동활동센터가 폐쇄되었다.[14] 최종 이관은 2019년에 이루어졌다.
2. 1. 초기 역사 및 명칭 변경
본디 캠프 잭슨으로 불렸던 이 군영은 평안북도 창성군 근처에서 전사한 명예 훈장 수여자인 미첼 레드 클라우드 Jr. 상병의 이름을 따 1957년 5월 18일에 캠프 레드 클라우드로 개명되었다.[9]이 군영의 정문은 가능동에, 후문은 녹양동에 있으며, 부대는 두 군데로 나뉘어 있다. 법원 앞쪽 진영은 창고 및 폐기물 처리장으로 사용하다가 현재는 폐쇄되었다. 1970년대 초까지 미국 제1군단이 주둔하여 당시 동네 주민이나 택시 운전사들은 "군단"이라고 하면 모두 캠프 레드 클라우드를 지칭하는 것으로 알아들었으나, 지금은 그냥 가능동 미군 부대라고 한다.
2. 2. 주둔 부대 변천사
2. 3. 1998년 홍수 피해
1998년 여름, 캠프 레드 클라우드가 위치한 대한민국 지역은 심한 폭우로 치명적인 홍수가 발생하여 캠프 레드 클라우드에 피해를 입혔다. 홍수 동안 3명의 미군 장병이 사망했으며, 많은 한국인과 가축도 홍수로 인해 목숨을 잃었다.[4] 캠프 레드 클라우드 뒤편 언덕의 상당 부분이 유실되었다. 대규모 산사태로 캠프 레드 클라우드의 남쪽 절반이 파괴되었다. 캠프 레드 클라우드는 홍수로 파괴된 주요 매점 없이 몇 주 동안 운영되었다. 헬기 착륙장 옆에 위치한 골프 프로샵과 함께 여러 개의 병영(장교 숙소)이 파괴되었다. 제2보병사단 박물관 또한 쏟아지는 진흙과 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보았다.2. 4. 2002년 반미 시위
2002년, 캠프 레드 클라우드는 한국 주둔 미군에 반대하는 시위의 장이었다. 2002년에 한국 시위대가 화염병을 던지고 부대 주변의 울타리에 구멍을 낸 사건은 가장 큰 시위였다. 이 시위는 미군 차량이 여중생 2명을 치어 숨지게 한 양주 고속도로 사건에 대한 반발로 일어났다.[5] 그 이후 부대 주변의 울타리는 콘크리트 벽으로 교체되었다.2. 5. 폐쇄 및 부지 반환
이 군영은 1957년 5월 18일에 명예 훈장 수여자인 미첼 레드 클라우드 Jr. 상병의 이름을 따서 캠프 레드 클라우드로 개명되었다.[9]2016년 12월, 모든 주한 미군이 캠프 험프리스로 옮겨간 후 경기도와 서울특별시의 군영은 각 시청에 반환될 예정이었다. 캠프 레드 클라우드의 20만 평(약 836000m2) 부지에 일부 군사 시설을 남겨두고 민간의 관광 숙박 및 편의시설을 지어 관광단지로 조성할 계획이 세워졌다.[10]
2018년 6월 21일, USAG 레드 클라우드(USAG-RC) 사령부가 해산되었다. 경기도 안에서 USAG 케이지 사령부가 있는 캠프 케이시를 제외한 남은 주한 미군의 부지를 반환하는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11] 마지막 사령관은 브랜든 D. 뉴턴(Brandon D. Newton영어) 대령이었다.
2018년 10월 18일, 본부 건물인 프리맨(Freeman Hall영어) 앞에서 예포를 쏘아 폐쇄식을 마무리하고 제2보병사단 본부는 캠프 험프리스를 향하여 캠프 레드 클라우드를 떠났다.[12][13] 남은 시설의 정리를 위해 일부 병력이 남았으며, 2018년 12월 15일부터 골프장, 식당, 헬스장, 공동활동센터를 폐쇄하였다.[14]
캠프 레드 클라우드는 2018년 6월에 해체식을 거행했으며, 제2보병사단 본부 건물인 프리맨 홀은 그해 10월에 공식적으로 폐쇄되었다.[6] 최종 이관은 2019년 중에 이루어질 예정이었다.
3. 지리
캠프 레드 클라우드는 의정부시 북서쪽 가장자리에 164acre 부지에 걸쳐 있었으며, 미국 제2보병사단 사령부로 사용되었다.
캠프 레드 클라우드는 다음과 같은 여러 군 부대의 주둔지였다.
4. 향후 활용 계획
대한민국 도예가이자 캠프 레드 클라우드 디자인 클러스터 창작 실무 그룹 회장인 신상호는 정부 관계자들과 협력하여 해당 지역을 갤러리, 예술가 레지던스, 디자인 및 예술 연구 학교, 아트 페어를 개최할 수 있는 다목적 문화 공간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다.[7][8]
참조
[1]
웹사이트
의정부갑, GTX-C 조기 착공·SRT 연장 '표심공략' [격전지를 가다]
https://www.kyeonggi[...]
2024-05-01
[2]
간행물
Warrior Chapel decommissioned during solemn ceremony
https://www.army.mil[...]
Sgt. Raquel Villalona, 2ID/RUCD Public Affairs
2018-10-22
[3]
뉴스
Duty, Honor, Country: Red Cloud set the standard for combat heroism in Korea
http://www.armytimes[...]
Army Times
2010-08-16
[4]
문서
2ID Museum
2024-04-24
[5]
뉴스
South Korean activists break into military base
http://www.armytimes[...]
Army Times
2010-08-16
[6]
뉴스
End of an era: Camp Red Cloud is finally closing — for real this time
https://www.stripes.[...]
2019-07-26
[7]
웹사이트
'[ZOOM KOREA] Shin Sang-ho continues to mold a new path for Korean ceramics'
https://koreajoongan[...]
2024-04-30
[8]
웹사이트
"[경기 의정부소식] 의정부시, 미래전략포럼 개최…문화정책 비전을 설계하다"
https://www.ajunews.[...]
2024-05-01
[9]
웹인용
Cpl. Mitchell Red Cloud Jr.
http://www.army.mil/[...]
미국 육군 공보부
2015-12-06
[10]
뉴스
의정부 캠프클라우드 대규모 관광단지로 만든다
http://www.kgnews.co[...]
경기신문
2012-09-22
[11]
뉴스
미군 1지역 시설사령부 해단식…경기북부 미군기지 이전 가속화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6-28
[12]
웹인용
Freeman Hall closure ceremony marks final 2ID milestone at CRC
https://www.2id.kore[...]
2nd Infantry Division Public Affair Office
2019-05-10
[13]
뉴스
(현장사진) 16일 의정부 미군 2사단 캠프 레드클라우드 프리맨 홀 폐쇄식
https://news.imaeil.[...]
매일신문
2019-05-10
[14]
뉴스
의정부 ‘캠프 레드클라우드’ 내 미군 골프장 등 복지시설 영구폐쇄... 기지반환 동력얻나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9-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