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커버댄스 페스티벌 K-POP 로드쇼 40120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커버댄스 페스티벌 K-POP 로드쇼 40120은 2011년 전 세계 K-POP 열풍을 기념하고 커버댄스 실력을 겨루기 위해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전 세계 65개국에서 1700여 팀이 예선에 참가했으며, 커버댄스 실력을 겨루는 대회로 진행되었다. 온라인 지역 예선, 오프라인 지역 예선, 와일드 카드 제도를 통해 본선 진출팀을 선발했고, 본선 대회는 대한민국 아이돌 그룹과 전문가의 심사를 통해 우승팀을 결정했다. 방송은 러시아, 브라질, 일본, 미국, 스페인, 태국 등 각 지역 예선 과정과 본선 무대를 다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무사 백동수
    《무사 백동수》는 조선 최고의 검객 백동수와 숙적 여운이 정치적 음모와 암투 속에서 활약하며 우정, 의리, 충성심 등을 다룬 2011년 SBS 드라마이다.
  • 2011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사랑하길 잘했어
    사랑하길 잘했어는 최태호, 이상구 두 집안과 그 외 인물들을 중심으로 김진태, 박혜숙, 최주봉, 서권순 등의 배우들이 출연하여 극을 이끌어가는 드라마이다.
  • 2011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SNL 코리아
    SNL 코리아는 미국의 심야 코미디 쇼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의 한국판으로, tvN에서 시작해 쿠팡플레이에서 리부트되어 정치, 사회, 문화를 풍자하는 코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크루들의 활약과 정치 풍자로 화제를 모으고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2011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소녀시대와 위험한 소년들
    제공된 정보가 없어 "소녀시대와 위험한 소년들"에 대한 위키백과 개요 섹션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문화방송의 예능 프로그램 - 마이 리틀 텔레비전
    마이 리틀 텔레비전은 실시간 시청률 경쟁 시스템을 도입하여 다양한 출연진이 요리, 마술 등 여러 주제로 방송을 진행했던 대한민국의 예능 프로그램이다.
  • 문화방송의 예능 프로그램 - 김숙
    김숙은 1995년 KBS 희극 배우로 데뷔하여 '따귀 소녀'로 인기를 얻은 후 다양한 예능, 라디오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2020년 KBS 연예대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자 방송인이다.
커버댄스 페스티벌 K-POP 로드쇼 40120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커버댄스 페스티벌 K-POP 로드쇼 40120 포스터
커버댄스 페스티벌 K-POP 로드쇼 40120 포스터
방송명커버댄스 페스티벌 K-POP 로드쇼 40120
원작2011 K-POP 커버댄스 페스티벌
시청 등급12
장르예능
방송 시간목요일 11시 5분 ~ 11시 55분
방송 분량1시간 15분
방송 기간2011년 9월 22일 ~ 2011년 11월 17일
방송 횟수8부작
방송 채널문화방송
기획이흥우
원작 기획문창호
제작MBC
외주 제작델미디어, 쎈미디어
연출이흥우, 이보영, 민운기, 이동희, 김현철
조연출육정용
각본오상희
대본모은설, 권경현, 김화영
출연자소녀시대, 카라, 슈퍼주니어, 2PM, missA, 샤이니, f(x), 티아라, 엠블랙, 비스트 외
음성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고화질 방송 여부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커버댄스 페스티벌 K-POP 로드쇼 40120 홈페이지

2. 기획 의도

2011년, 전 세계적으로 퍼진 K-POP 열풍으로 K-POP의 인기를 표현하는 행위 중 하나인 커버댄스 실력을 겨루는 축제를 열어 전 세계의 K-POP 열풍의 열기를 체험하고 홍보하기 위해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총 65개국 1700여 팀이 예선에 참가했다.

3. 커버댄스의 정의

커버댄스는 팬코스프레의 일종으로, 특정 가수의 댄스를 모방하는 행위이다.

4. 대회 심사 기준

온라인 지역 예선은 동영상 조회수(30%), 추천 투표수(30%)를 합산한 결과에 전문가 심사위원단 평가 점수(40%)를 반영하여 각 지역별 20팀, 총 140팀을 선정한다. 참가 신청 국가 중 참여율이 높은 7개 지역(러시아, 브라질, 일본, 미국, 스페인, 태국, 대한민국)에서 예선이 진행되었다.

이메일로 참가 의사를 확인한 팀에 한해 참가 자격을 부여한다. (참가 비용은 참가자 부담)7개 지역 현지에서 심사위원단 평가를 통해 최종 본선 진출팀을 1~4팀씩, 총 15개 팀을 선정한다.대한민국 심사위원단은 안무가, 음악가, CF 감독 등 전문가로 구성되며, 나머지 6개국은 대한민국 아이돌 그룹이 현지 심사를 진행한다.

일정과 지리 상 오프라인 지역 예선을 진행하지 못하는 지역의 경우를 위해 온라인 지역 예선 결과를 바탕으로 재심사를 거친 후 20개 팀을 선정해 온라인 심사 방식을 통해 마지막 본선 진출 1팀을 선발하는 와일드 카드 제도를 시행한다.

본선 대회의 심사기준은 대한민국 아이돌 그룹 11팀(57명)과 전문가의 점수를 합산하여 상위 3팀을 선정한다. 상위 3팀에게는 상패와 메달이 제공되고, 1등 팀은 한류 드림 콘서트에서 공연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받는다.

4. 1. 온라인 지역 예선

온라인 지역 예선은 동영상 조회수(30%), 추천 투표수(30%)를 합산한 결과에 전문가 심사위원단 평가 점수(40%)를 반영하여 각 지역별 20팀, 총 140팀을 선정한다. 참가 신청 국가 중 참여율이 높은 7개 지역(러시아, 브라질, 일본, 미국, 스페인, 태국, 대한민국)에서 예선이 진행되었다.

4. 2. 오프라인 지역 예선

이메일로 참가 의사를 확인한 팀에 한해 참가 자격을 부여한다. (참가 비용은 참가자 부담)7개 지역 현지에서 심사위원단 평가를 통해 최종 본선 진출팀을 1~4팀씩, 총 15개 팀을 선정한다.대한민국 심사위원단은 안무가, 음악가, CF 감독 등 전문가로 구성되며, 나머지 6개국은 대한민국 아이돌 그룹이 현지 심사를 진행한다.

4. 3. 와일드카드 제도

일정과 지리 상 오프라인 지역 예선을 진행하지 못하는 지역의 경우를 위해 온라인 지역 예선 결과를 바탕으로 재심사를 거친 후 20개 팀을 선정해 온라인 심사 방식을 통해 마지막 본선 진출 1팀을 선발하는 와일드 카드 제도를 시행한다.

4. 4. 본선 대회

본선 대회의 심사기준은 대한민국 아이돌 그룹 11팀(57명)과 전문가의 점수를 합산하여 상위 3팀을 선정한다. 상위 3팀에게는 상패와 메달이 제공되고, 1등 팀은 한류 드림 콘서트에서 공연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받는다.

5. 방송 내용

5. 1. 1화: 러시아 예선

1시간 45분 특집으로 방송되었다. MC는 윤도현이 맡았으며, 일본 도쿄, 미국 LA, 러시아 모스크바, 브라질 상파울루, 태국 방콕, 우크라이나 키예프 등 각국의 K-POP 열풍을 소개했다. 러시아 예선 MC는 정형돈이, 심사위원은 샤이니가 맡았다.

샤이니는 러시아에서 플래시 몹에 도전했는데, 1차로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에서 100명, 2차로 아르바트 거리에서 200명, 3차로 붉은 광장에서 300명과 함께 플래시몹을 성공시켰다.

9월 6일, 모스크바 미르 극장에서 러시아 예선이 개최되었으며, 온라인 심사를 통과한 18개 팀이 참가했다. 만장일치로 통과한 10팀 중 2팀이 파이널 무대에 진출했다.

  • 페브리스 에로티카(Febris Erotica)
  • 레인스 걸스(Rain's girls)


모스크바 세종학당 학생들과 OX 퀴즈를 진행했다.

5. 2. 2화: 브라질 예선 (1)

엠블랙은 브라질 헤지 TV의 음악 방송 <레이뚜라 지나미까>에 출연하여 진행자 헤나따와 만났다. 또한 엠블랙은 K-POP 열혈팬인 미용사 루아나를 만났으며, 이 자리에서 미르네이마르 헤어스타일로 변신했다.

9월 7일, 상파울루 파울리스타 거리의 클럽에서 브라질 예선이 개최되었으며, 온라인 심사를 통과한 20개 팀이 참가했다. 예선 심사위원은 엠블랙이 맡았다.

5. 3. 3화: 일본 예선 (1), 브라질 예선 (2)

일본 예선은 MC 김현기, 조혜련, 티아라가 진행하고, 카라가 심사위원을 맡았다. 티아라는 K-POP 현장을 소개했는데, 3살부터 춤을 추는 K-POP 댄스 전문 학원과 식당 종업원들이 K-POP 댄스를 추는 식당을 방문했다. 또한, 소녀시대에 남자가 있다는 컨셉으로 일본 유명 가수 아무로 나미에의 백댄서이자 엔도 시대의 리더인 엔도 유키를 만났다. 일본 예선은 9월 11일 도쿄에서 개최되었으며, 온라인 심사를 통과한 22개 팀이 참가했다.

브라질 팬들은 엠블랙을 위한 플래시몹을 선보였다. 엠블랙은 상파울루의 루스 공원에서 인디 밴드 시부야 록스타와 만났다. 만장일치로 통과한 5팀 중 브라질의 컬러스(Kolors)가 파이널 무대에 진출했다.

5. 4. 4화: 일본 예선 (2)

만장일치로 통과한 6팀 중 3팀이 파이널 무대에 진출했다. 파이널 무대에 진출한 팀은 브티크(BTICK), 코토립(Kotorip), 우마이보우(UMAIBOW)이다.

5. 5. 5화: 미국 예선

미국 예선은 MC 오상진의 사회와 미쓰에이의 수지, 민, f(x)의 빅토리아, 엠버가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미국의 K-POP 열기와 유명 안무가 제이클 나잇의 K-POP 평가가 있었다. 글로벌 miss A와 f(x) 결성 미션이 주어졌고, 글로벌 miss A와 f(x)의 안무 대결에서 miss A가 승리했다.

9월 11일, 로스앤젤레스 유니버설 스튜디오에서 예선이 개최되었으며, 온라인 심사를 통과한 20개 팀이 참가했다. 만장일치로 통과한 10팀 중 4팀이 파이널 무대에 진출했다. 파이널 무대에 진출한 팀은 크리에이트(Kre8), 할리마 도도(Halima DoDo), 빈센트(Vincent), 에비 펜(Abby Pen)이다.

5. 6. 6화: 스페인(유럽) 예선

비스트가 스페인 유럽 예선 심사위원으로 참여하였다. 예선 참가팀 주노걸스가 소개되었다. 마드리드 공항에 입국하는 예선 참가 팀들의 인터뷰가 있었다. 비스트는 스페인의 싱어송라이터인 러시안 레드/Russian Redes와 만남을 가졌다. 또한 비스트는 스페인의 밀레니엄 합창단과 만났다. 9월 19일, 마드리드 공원 야외 무대에서 온라인 심사를 통과한 17개 팀이 참가하는 예선이 개최되었다. 비스트와 밀레니엄 합창단은 K-POP 로드 콘서트를 열었다. 만장일치로 통과한 7팀 중 3팀이 파이널 무대에 진출했다.

5. 7. 7화: 태국 예선

2PM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태국 예선은 MC 김신영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2PM은 방콕 시청에서 2시간 안에 2000명을 모으는 글로벌 게릴라 콘서트에 도전하여 4271명을 모으는 데 성공했다.

태국 내 K-POP 및 커버댄스 열기는 매우 뜨거웠다. 9월 18일 방콕 시나카린 대학에서 열린 예선에는 온라인 심사를 통과한 20개 팀이 참가했다. 만장일치로 통과한 8팀 중 넥스트 스쿨(Next School)이 파이널 무대에 진출했다.

5. 8. 8화: 경주 파이널 본선 무대

온라인 심사위원 슈퍼주니어가 온라인 1차 심사를 진행하여 20개 팀이 참가했다. 만장일치로 통과한 3팀 중 슈퍼지리아(Supergiria)가 파이널 무대에 진출했다. 10월 3일, 경주 실내 체육관에서 파이널 본선 무대가 개최되었으며, MC는 소녀시대의 유리, 티파니, 윤도현, 정형돈이 맡았다. 심사위원으로는 소녀시대, 비스트, 포미닛, 엠블랙, 티아라, 시크릿, 씨스타, 라니아, 애프터 스쿨, 쇼콜라, B1A4가 참여했다.

유럽 대표 민피(Minfi), 키라라 & 코가(Kirara & Koga), 주노걸스(Junno girls), 페브리스 에로티카(Febris Erotica), 레인스 걸스(Rain's girls), 아프리카 대표 슈퍼지리아(Supergiria), 북미 대표 에비 펜(Abby Pen), 크리에이트(Kre8), 할리마 도도(Halima DoDo), 빈센트(Vincent), 남미 대표 컬러스(Kolors), 아시아 대표 우마이보우(UMAIBOW), 브티크(BTICK), 코토립(Kotorip), 넥스트 스쿨(Next School), ZN주니어(ZN Junior) 등 총 16팀이 참가했다.

소녀시대와 참가팀들은 <All about Korea 30> 퀴즈 대결을 펼쳤다. 파이널 본선 무대 결과, 금상은 페브리스 에로티카(Febris Erotica), 은상은 코토립(Kotorip), 동상은 넥스트 스쿨(Next School)이 수상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