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컴피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컴피즈는 3D 데스크톱 환경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로, 2006년 노벨에서 처음 개발되었다. Xgl을 통해 3D 효과를 가속하는 방식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AIGLX를 통해 X.org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해졌다. 컴피즈는 베릴 프로젝트와의 분리 및 재통합, 컴피즈++와 NOMAD 분리 및 재통합 과정을 거쳐, 현재는 컴피즈 코어와 컴피즈 퓨전 형태로 배포된다. 주요 기능으로는 큐브 효과, 창 장식, 플러그인을 통한 다양한 시각 효과 제공 등이 있으며, 우분투 등 여러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었다. 초창기에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웨이랜드 개발로 인해 별도의 창 관리자로서의 입지가 줄어들었으며, 현재는 개발이 정체된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 X 윈도 매니저 - Xfce
    Xfce는 올리비에 푸르당이 1996년에 시작한 GTK+ 기반의 자유 소프트웨어 데스크톱 환경으로, 가벼운 사용감과 모듈화된 구조, 사용자 정의 용이성이 특징이며 낮은 사양의 컴퓨터에서도 원활하게 실행되도록 설계되었다.
  • 자유 X 윈도 매니저 - 플럭스박스
    플럭스박스는 데스크톱 환경을 자유롭게 사용자 정의할 수 있는 창 관리자로, 루트 메뉴, 작업 표시줄, 데스크톱 테마 설정 기능과 사용자 정의 가능한 키보드 단축키, 창 탭, 분할창 기능 등을 제공하며, 설정 파일은 `~/.fluxbox` 디렉터리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직접 구성할 수 있다.
  • X 윈도 시스템 - 데스크톱 환경
    데스크톱 환경은 아이콘, 창, 메뉴 등으로 컴퓨터 화면을 책상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적 인터페이스로, 창 관리자, 파일 관리자 등으로 구성되어 파일 관리 및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 X 윈도 시스템 - 오픈 그룹
    오픈 그룹은 다양한 기술 공급업체, 구매자, 정부 기관을 포함하는 국제 컨소시엄으로, 표준 개발, 인증 프로그램 운영, TOGAF와 같은 IT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제공 및 UNIX 상표 권리 보유를 통해 개방형 IT 표준 개발 및 보급에 기여한다.
  • 2006년 소프트웨어 -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7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7은 리본 인터페이스와 Office Open XML 형식을 도입하고 다양한 기능 향상을 제공한 오피스 제품군으로, 여러 에디션 출시와 함께 비판, 호환성 문제, 특허 논란이 있었으며 2018년 4월에 지원이 종료되었다.
  • 2006년 소프트웨어 - TrueOS
    TrueOS는 2005년 PC-BSD로 시작하여 FreeBSD를 기반으로 사용 편의성을 강조한 운영 체제이며, 2016년 TrueOS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2020년에 개발이 중단되었다.
컴피즈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Compiz 로고
Compiz 로고
Fedora에서 Compiz용 큐브 플러그인을 표시하는 스크린샷
Fedora에서 Compiz용 큐브 플러그인을 표시하는 스크린샷
개발자David Reveman, Sam Spilsbury, Danny Baumann, Dennis Kasprzyk, Daniel van Vugt, Matthias Hopf, Dave Arlie, Adam Jackson, Jon Smirl
최초 릴리스2006년
최신 릴리스 버전0.9.14.1
최신 릴리스 날짜2019년 11월 26일
프로그래밍 언어C, C++, Python, OpenGL
운영 체제유닉스 계열 (X11 사용)
종류X 윈도우 매니저
라이선스GPL, 코어: MIT 라이선스
웹사이트Compiz 웹사이트

2. 역사

컴피즈는 3D 데스크톱 환경을 구현하는 컴포지팅 윈도우 매니저로, 그 역사는 여러 단계의 개발과 커뮤니티 변화를 거쳐왔다. 초기 개발은 2006년 노벨Xgl 환경을 기반으로 시작했으며, 자유 소프트웨어로 공개되었다.[5] 곧이어 레드햇AIGLX 환경으로 컴피즈를 포팅하여[6] 더 넓은 하드웨어에서 사용 가능하게 만들었다.

개발 과정에서 커뮤니티 내 의견 차이로 인해 컴피즈는 2006년 베릴 프로젝트로 분리되었다가[7], 2007년 다시 통합되어 핵심 기능을 담은 '컴피즈 코어'와 다양한 추가 기능을 포함한 '컴피즈 퓨전'으로 나뉘어 배포되었다.[8][9][10][11] 이후에도 '컴피즈++'[12]와 'NOMAD'[13] 등 추가적인 분기가 있었으나, 2009년 다시 '컴피즈'라는 이름 아래 통합되었다.[14][15][16]

2010년에는 C++로 재작성된 0.9 시리즈가 발표되었고,[17] 캐노니컬의 지원을 받으며 우분투의 기본 윈도우 매니저로 채택되기도 했다.[18] 개발은 런치패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19] 0.9.7 버전이 안정 버전으로 출시되었다.[22] 2012년 핵심 개발자가 캐노니컬을 떠난 이후 개발 속도는 다소 느려졌지만,[26] 소규모 팀에 의해 개발이 지속되고 있으며,[27] 별도로 컴피즈 0.8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Compiz Reloaded'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28][29]

2. 1. 초기 개발 (노벨)

2000년대 초반, 리눅스 환경에서 ATI엔비디아 그래픽 드라이버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고급 OpenGL 개발이 더 이상 고가의 UNIX 워크스테이션에만 국한되지 않게 되었다. 이 시기에 Xgl, Xegl, AIGLX 같은 기술들은 Xorg에서 창 표면에 변형과 효과를 주기 위해 OpenGL을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아래 xcompmgr은 컴포지팅 윈도우 매니저의 초기 기능을 선보였다. 이후 몇몇 GNOME 개발자들은 Luminocity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최신 개발 성과를 활용하고자 했다.[3] 2005년 3월, Luminocity 프로젝트는 "흔들리는 창", "창 이동을 위한 물리 모델", "실시간 작업 공간 전환기", "알파 합성" 같은 효과들을 시연했다.[4] Luminocity는 주로 프로토타입 단계에 머물렀고 개발이 중단되었지만, 여기서 선보인 일부 효과와 동작 방식은 나중에 컴피즈에 영향을 주었다.

컴피즈의 첫 번째 버전은 2006년 2월 말, 노벨(SUSE)에 의해 자유 소프트웨어로 공개되었다.[5] 이는 당시 새롭게 등장한 Xgl 위에서 작동하는 초기 컴포지팅 윈도우 매니저 중 하나였다. 컴피즈는 OpenGL의 확장 기능인 GLX_EXT_texture_from_pixmap을 활용하여 데스크톱의 구성 요소들에 실시간으로 3D 효과를 적용할 수 있었다. 초기에는 X 윈도 시스템을 변형하여 만든 Xgl을 통해서만 가속이 가능했다.

이후 2006년 3월, 레드햇은 컴피즈를 AIGLX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포팅했다.[6] 이를 통해 X.org를 직접 수정하지 않고도 컴피즈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2. 2. AIGLX로의 포팅 (레드햇)

컴피즈는 본래 노벨에서 Xgl이라는 새로운 X 윈도 시스템 환경 위에서 작동하도록 개발되었다. 이는 2006년 2월 자유 소프트웨어로 처음 공개되었다.[5] Xgl은 기존 X 윈도 시스템을 변형한 방식이었으나, 곧이어 다른 접근 방식이 등장했다.

2006년 3월, 레드햇은 컴피즈를 AIGLX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포팅하는 데 성공했다.[6] AIGLX는 레드햇이 개발한 기술로, 기존 X.org 서버를 직접 수정하지 않고도 OpenGL을 이용한 3D 그래픽 가속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식이었다. 이 포팅 작업 덕분에 컴피즈는 Xgl뿐만 아니라 AIGLX 환경에서도 구동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인텔 GMA 내장 그래픽 칩셋과 같이 보다 폭넓은 하드웨어에서 컴피즈의 화려한 3D 효과를 경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2. 3. 베릴 프로젝트 분리 및 재통합

2006년 9월 19일, 컴피즈 개발팀의 일부는 자신들이 개발하던 브랜치인 'quinnstorm'가 노벨이 주도하던 기존 컴피즈(compiz-vanilla)와 너무 달라졌다고 판단하여 베릴(Beryl)이라는 이름의 별도 프로젝트로 분리되었다. 이는 노벨의 컴피즈 팀이 quinnstorm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기존 컴피즈와 통합하자는 제안을 거절한 이후에 이루어진 결정이었다.[7]

베릴은 컴피즈와 몇 가지 차이점을 가졌다. 대표적으로 `cgwd`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창 꾸미기 도구인 에메랄드(Emerald)와 테마 관리자인 `emerald-theme-manager`를 도입했다. 또한, 설정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gconf 대신 간단한 텍스트 파일(flat-file backend)을 사용했으며, GNOME 데스크톱 환경에 대한 의존성을 없앴다.

이후 2007년 3월 30일, 베릴과 컴피즈 커뮤니티는 논의 끝에 재통합하기로 결정했다. 이 통합의 결과로 두 개의 새로운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만들어졌다.

  • 컴피즈(Compiz) (또는 컴피즈 코어(Compiz-core)): 컴피즈의 핵심 기능과 기본적인 플러그인만을 포함한다.
  • 컴피즈 퓨전(Compiz Fusion)[8]: 기존 베릴과 컴피즈 커뮤니티에서 개발된 다양한 플러그인, 창 꾸미기 도구, 설정 도구 등을 모아 놓은 패키지이다. 컴피즈 코어의 기능 위에 추가적인 설치, 설정, 플러그인 기능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통합 과정에서는 각 커뮤니티의 최고 개발자들로 구성된 코드 검토 위원회를 운영하여, 배포되는 모든 코드의 품질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공식적으로 지원할 계획을 세웠다.[9][10][11]

2. 4. 컴피즈++, NOMAD 분리 및 재통합

2008년 4분기에 컴피즈는 '컴피즈++'와 'NOMAD'라는 두 개의 별도 분기로 나뉘었다. 컴피즈++는 컴포지팅 기능과 OpenGL 처리 부분을 분리하고, 기존의 C 언어 코드를 C++ 언어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2] NOMAD는 컴피즈가 설치된 환경에서 원격 데스크톱의 성능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13]

2009년 2월 2일, '''컴피즈''', '''컴피즈++''', '''NOMAD''', 그리고 '''컴피즈 퓨전'''의 개발자들이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각 프로젝트를 '컴피즈'라는 단일 프로젝트로 통합하고 통일된 로드맵을 따르기로 결정했다.[14][15][16]

2. 5. Compiz 0.9 시리즈

2010년 7월 4일, 컴피즈의 수석 개발자인 샘 스필스버리(Sam Spilsbury)는 C++로 재작성된 새로운 API를 갖춘 컴피즈 0.9.0 버전을 발표했다.[17]

캐노니컬은 2010년 10월 스필스버리를 고용하여 우분투를 위한 컴피즈 개발을 지원했다.[18] 이후 컴피즈 개발은 주로 우분투 개발과 연계되어 진행되었고, 주요 개발은 캐노니컬의 런치패드로 이전되었다.[19] 0.9.x 버전 중 0.9.5까지는 불안정하거나 베타 소프트웨어로 간주되었다.[20]

0.9.6 버전 개발 과정에서 캐노니컬은 개발자 다니엘 반 부그트(Daniel van Vugt)를 추가로 고용하여 컴피즈 개발에 투입했다. 0.9.6 버전은 공식적으로 출시되지는 않았다.[21] 컴피즈 0.9.7.0 버전은 기업용 우분투 12.04 LTS (''장기 지원'') 출시 한 달 전에 공개되었으며, 안정 버전으로 평가받았다.[22] 우분투 12.04 공식 출시 직전에는 우분투 12.10 준비를 위해 새로운 개발 브랜치인 0.9.8이 생성되었고,[23][24] 해당 버전 개발은 새로운 런치패드 페이지에서 진행되었다.[25]

2012년 11월, 스필스버리는 캐노니컬을 떠났다고 발표했으며,[26] 컴피즈를 웨이랜드로 이식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이후 소규모 개발팀이 컴피즈 개발을 이어가고 있으며, 2016년 7월 기준으로 0.9.13 버전에 개발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27]

2. 6. Compiz Reloaded

2019년 기준으로, 한 그룹[28]은 컴피즈 0.8 시리즈 코드베이스를 포크하여 현대화하고 유지 관리하고 있다.[29]

3. 구현

컴피즈는 `GLX_EXT_texture_from_pixmap` 가속을 통해 구현된다.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는 주로 다음 세 가지 방식으로 구현된다.

리눅스에서의 컴피즈 구현 방식
방식설명주요 사용처
XglX.org 자체를 변형하여 하드웨어 OpenGL 가속을 구현한다.ATI 그래픽 카드 대부분[5]
AIGLXX.org를 변형하지 않고 3D 가속을 구현한다.인텔 GMA 계열 그래픽 카드, 일부 구형 ATI 카드[6]
직접 구현NVIDIA의 바이너리 드라이버가 표준 X.org에서 직접 `GLX_EXT_texture_from_pixmap`을 지원한다. 이 때문에 NVIDIA의 그래픽 가속이 AIGLX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NVIDIA 그래픽 카드



2000년대 초반, ATINVIDIA 드라이버가 리눅스 환경에서 점차 보편화되면서, 고급 OpenGL 개발이 더 이상 값비싼 UNIX 워크스테이션에 국한되지 않게 되었다. 이 시기에 Xgl, Xegl, AIGLX 등이 등장하여 Xorg에서 윈도우 표면에 대한 변환 및 효과에 OpenGL을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위에서 xcompmgr는 컴포지팅 윈도우 매니저의 기능을 개척했다.

컴피즈의 첫 번째 버전은 2006년 2월 노벨(SUSE)에 의해 자유 소프트웨어로 공개되었다[5]. 이는 당시 새롭게 등장한 Xgl 환경을 기반으로 한 초창기 컴포지팅 윈도우 매니저 중 하나였다. 이후 2006년 3월에는 레드햇에 의해 AIGLX 환경으로 포팅되었다[6].

4. 하드웨어 요구사항

컴피즈는 `GLX_EXT_texture_from_pixmap` OpenGL 가속 기능을 통해 구현된다.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는 이 기능을 활용하는 주요 방식이 세 가지 있다.

초기에 컴피즈는 Xgl을 지원하는 3D 하드웨어에서만 작동했다. 당시 대부분의 ATi(현 AMD) 그래픽 카드가 이 방식을 사용했다.

2006년 5월 22일부터 컴피즈는 AIGLX를 사용하여 표준 X.Org Server에서도 작동하기 시작했다. AIGLX는 X.Org Server를 직접 수정하지 않고 3D 가속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주로 인텔의 GMA 시리즈 그래픽 카드에서 사용된다. 또한, 2006년 가을부터 `GLX_EXT_texture_from_pixmap` 확장을 지원하는 오픈 소스 `radeon` 드라이버를 통해 AMD 그래픽 카드(R300 및 이후 모델)에서도 AIGLX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일부 구형 ATi 카드 역시 이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NVIDIA의 경우, AIGLXXgl을 사용하지 않고 독자적인 방식으로 `GLX_EXT_texture_from_pixmap` 확장을 지원한다. NVIDIA의 바이너리 드라이버(버전 1.0-9629 이상[1])는 표준 X.Org Server에서 직접 이 확장을 지원한다.

AMD 역시 AIGLX 외에 바이너리 드라이버(버전 8.42 이상[2])를 통해 표준 X.Org Server에서 해당 확장을 지원한다.

현재 컴피즈를 실행하기 위한 주요 그래픽 카드 제조사별 지원 방식은 다음과 같다.

제조사지원 방식관련 드라이버/기술비고
NVIDIA독자적 직접 구현바이너리 드라이버 (버전 1.0-9629 이상)표준 X.Org Server 사용
AMD/ATiXgl-초기 방식
AMD/ATiAIGLX오픈 소스 `radeon` 드라이버R300 이상 카드, 일부 구형 카드
AMD/ATi독자적 직접 구현바이너리 드라이버 (버전 8.42 이상)표준 X.Org Server 사용
인텔AIGLX-GMA 시리즈 카드


5. 기능

컴피즈의 핵심적인 특징은 플러그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동작한다는 점이다. 투명도, 디밍, 채도 감소와 같은 기본적인 시각 효과를 제외한 거의 모든 기능은 플러그인을 통해 구현된다.[30] 예를 들어, 가상 데스크톱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큐브 효과나 다양한 방식의 Alt-Tab 응용 프로그램 전환 기능, macOS의 Mission Control과 유사한 기능 등이 모두 플러그인 형태로 제공된다. 컴피즈 프로젝트는 이러한 플러그인들을 기능과 안정성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분류하여 관리한다.[31][32][33][34]

또한, 창 테두리와 제목 표시줄, 그리고 최소화, 최대화, 닫기 버튼 등을 관리하는 창 장식자 역시 컴피즈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다른 창 관리자들이 보통 하나의 정해진 창 장식자만 사용하는 것과 달리, 컴피즈는 사용자가 여러 종류의 창 장식자 중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35]

5. 1. 주요 플러그인 (예시)

Shift Switcher 플러그인


컴피즈에서 투명도, 디밍, 채도 감소 효과 등을 제외한 거의 모든 기능은 플러그인을 통해 구현된다. 주요 플러그인으로는 가상 데스크톱을 입방체 표면에 표시하는 큐브 효과, 아이콘이나 라이브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Alt-Tab 응용 프로그램 전환 기능, macOS의 Mission Control과 유사한 기능 등이 있다. X 윈도 시스템의 Composite 확장과 `GLX_EXT_texture_from_pixmap` OpenGL 확장도 사용된다.[30]

컴피즈 프로젝트는 플러그인을 Main,[31] Extra,[32] Unsupported,[33] Experimental[34] 네 그룹으로 분류한다.

창 관리자는 창 테두리에 최소화, 최대화, 닫기 버튼 등을 표시하기 위해 창 장식자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컴피즈는 다른 창 관리자와 달리 사용자가 여러 창 장식자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 '''gtk-window-decorator''': cairo 기반 렌더링 엔진을 사용하거나 Metacity 테마를 이용할 수 있다.[35]
  • '''kde-window-decorator''': KWin의 기본 테마를 사용한다.[35]
  • '''Emerald''':
    에메랄드 테마 관리자 0.9.5
    자체 테마 형식을 사용하는 사용자 지정 장식자로, 컴피즈로 이식되었다.[35] 과거 Beryl의 기본 장식자였다.


다음은 주요 플러그인과 그 기능의 예시이다.

  • 큐브 (cube): 가상 데스크톱을 3차원 입방체의 각 면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 입방체를 회전시켜 데스크톱 간 이동이 가능하다.
  • 창 장식 (decoration): 창 테두리와 제목 표시줄을 그리고, 최소화, 최대화, 닫기 버튼 등을 제공한다. 위에서 설명한 창 장식자 프로그램과 연동된다.
  • 페이드 (fade): 창이 나타나거나 사라질 때, 또는 데스크톱 전환 시 부드럽게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는 효과를 적용한다.
  • gconf: 설정을 gconf 레지스트리에 저장한다.
  • 최소화 효과 (minimize): 창을 최소화하거나 복원할 때 시각적인 애니메이션 효과를 보여준다.
  • 창 이동 (move): 창을 화면 내에서 이동시키거나 입방체의 한 면에서 다른 면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 창 배치 (place): 새로운 창이 나타날 때 화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한다.
  • 크기 조절 (resize): 창 크기를 조절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 회전 (rotate): 큐브 플러그인과 함께 사용되어 입방체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 스케일 (scale): 현재 데스크톱에 열려 있는 모든 창을 축소하여 한 화면에 보여준다. macOS의 Exposé 기능과 유사하다.
  • 응용 프로그램 전환 (switcher): Alt-Tab 단축키를 눌렀을 때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 목록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선택하여 전환할 수 있게 한다. 다양한 시각 효과를 제공하는 전환기가 있다.
  • 물방울 효과 (water): 마우스 커서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에 물방울이 떨어지거나 비가 내리는 듯한 효과를 준다.
  • 흔들림 효과 (wobbly): 창을 드래그하여 이동할 때 창이 젤리처럼 출렁거리며 흔들리는 효과를 보여준다.
  • 줌 (zoom): 화면의 특정 영역을 돋보기처럼 확대하여 볼 수 있다.

5. 2. 창 장식자

창 관리자는 창 테두리에 일반적인 최소화, 최대화, 닫기 버튼을 제공하기 위해 창 장식자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하나의 창 장식자만 사용하는 많은 창 관리자와 달리, 컴피즈 사용자는 다음 세 가지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 ''gtk-window-decorator'': 기본 cairo 기반 렌더링 엔진을 사용하거나 Metacity 테마를 사용할 수 있다.[35]
  • ''kde-window-decorator'': 기본 KWin 테마를 사용한다.[35]
  • ''Emerald'': 자체 테마 형식을 가진 사용자 지정 장식자이며 컴피즈로 이식되었다. 과거 Beryl의 기본 장식자였다.[35]


6. 배포 및 영향

컴피즈는 초기에 X11 기반의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GNOME 2 및 KDE 3 데스크톱 환경과 함께 주로 배포되었다.[36] 그러나 KDE는 버전 4.2부터 자체 컴포지팅 윈도우 매니저인 KWin에 컴피즈와 유사한 기능을 통합하여 제공하기 시작했으며,[36] 이로 인해 최신 플라즈마 워크스페이스 환경에서는 컴피즈가 기본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GNOME 역시 버전 3.0부터 Mutter라는 컴포지팅 윈도우 매니저를 기반으로 하는 GNOME 셸을 도입했다.[37] 따라서 GNOME 셸 환경에서는 컴피즈를 사용할 수 없다.[38]

여러 리눅스 배포판에서 컴피즈의 포함 여부는 변화를 겪었다.


  • 우분투: 우분투 6.06 LTS부터 'universe' 저장소에 포함되었고, 우분투 7.04에서는 '데스크톱 효과'라는 이름으로 제한적인 기능이 기본 포함되었다. 우분투 7.10부터는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었다.[49] 특히 2010년 캐노니컬은 컴피즈 플러그인 기반의 유니티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여 우분투의 기본 데스크톱 환경으로 채택하면서 컴피즈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50][51] 유니티 데스크톱 환경을 위해 컴피즈를 포함한 마지막 우분투 버전은 Ubuntu 16.04였다.
  • 페도라: 개발자 측의 유지보수 부족을 이유로 페도라 17에서 잠시 제거되었으나,[39][40] 페도라 18부터 다시 저장소에 포함되었다.[41] 페도라 19부터는 컴피즈를 사용하는 공식 MATE 환경 버전도 제공되었다.[42][43]
  • 데비안: 패키지 손상 및 개발 부족 문제로 데비안 7(Wheezy) 출시를 앞둔 2013년 8월에 저장소에서 제거되었다.[44][45][46] 이후 2016년 12월 Hypra.fr 팀에 의해 다시 데비안에 포함되었다.[47]
  • 아치 리눅스: 2013년 5월 공식 저장소에서 제거되었으나,[48] 사용자들이 관리하는 AUR를 통해 여전히 설치할 수 있다.


컴피즈는 등장 초기 성능,[52] 시각적 아름다움,[53] 그리고 혁신성[54]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Metisse나 Project Looking Glass 같은 유사 프로젝트도 있었지만, 컴피즈만큼 널리 알려지거나 사용되지는 못했다. 컴피즈의 시각 효과는 다른 운영체제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스타는 출시 당시 컴피즈의 인기 있는 시각 효과 일부를 차용한 모습을 보였다. 이후 GNOME 셸이나 KWin 같은 다른 윈도우 매니저들도 컴포지팅 효과를 구현하게 되었다.

2010년대 들어 Wayland 디스플레이 서버 프로토콜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컴포지터와 그래픽 서버 기능이 통합되는 추세가 나타났다. 이는 별도의 컴포지팅 윈도우 매니저의 필요성을 점차 줄어들게 만들었다. 현재 컴피즈를 기본 포함하는 배포판들도 대부분 일부 유용한 플러그인만 활성화하고 있으며, 개발은 Ubuntu 16.04 이후 크게 정체된 상태이다.

7. 평가

초기 컴피즈는 성능[52], 미려함[53], 그리고 참신함[54]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Ubuntu 6.06 저장소에 포함되어 사용자들이 쉽게 설치하고 접할 수 있게 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이는 2021년 기준으로 우분투 릴리스가 연기된 유일한 사례이기도 하다.

비슷한 시기에 Metisse나 Project Looking Glass와 같은 다른 프로젝트들도 개발되었지만, 컴피즈만큼 널리 알려지거나 배포되지는 못했다. 이후 GNOME Shell이나 KWin 같은 다른 창 관리자들도 컴포지팅 효과를 도입했으며, 윈도우 역시 다음 주요 버전인 비스타에서 컴피즈의 인기 있는 시각 효과 일부를 차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0년경 웨이랜드의 등장은 컴포지터와 그래픽스 서버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갔고, 이는 별도의 창 관리자와 컴포지터의 필요성을 점차 줄어들게 만들었다. 컴피즈를 기본으로 포함하는 배포판들도 점차 유용한 일부 플러그인만 활성화하고 화려한 효과는 기본적으로 비활성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주요 리눅스 배포판들은 KDE나 GNOME 환경과 함께 자체적인 기본 창 관리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유니티 데스크톱 환경을 위해 컴피즈를 포함했던 마지막 우분투 버전은 Ubuntu 16.04였으며, 그 이후 컴피즈의 개발은 대체로 정체된 상태이다.

참조

[1] 웹사이트 Linux Display Driver http://www.nvidia.co[...] Nvidia 2012-05-12
[2] 웹사이트 AMD Proprietary Linux Release Notes http://www2.ati.com/[...] ATI 2010-07-14
[3] 웹사이트 Luminocity on GNOME Live! https://live.gnome.o[...]
[4] 웹사이트 K00l Luminocity OpenGL Videos https://blogs.gnome.[...]
[5] 웹사이트 Compiz From openSUSE https://en.opensuse.[...]
[6] 웹사이트 Compiz on AIGLX http://www.osnews.co[...]
[7] 웹사이트 Compiz Forked: Beryl http://www.osnews.co[...] 2012-01-06
[8] 웹사이트 And the New Name is…… https://smspillaz.wo[...] 2012-03-30
[9] 웹사이트 "[beryl-dev] Merge On (details still to be decided)" https://web.archive.[...] 2007-03-23
[10] 웹사이트 "[beryl-dev] Beryl and Compiz Merge: What's actually going on?" https://web.archive.[...] 2007-03-25
[11] 웹사이트 "[compiz] Compiz and Beryl are Reuniting" http://lists.freedes[...] 2007-04-04
[12] 웹사이트 Compiz feature branch compiz++ http://lists.freedes[...] 2008-12-24
[13] 웹사이트 NOMAD home page https://web.archive.[...] openSUSE.org 2012-03-30
[14] 웹사이트 Compiz Reorganises, Reaches Consensus Within Community http://www.osnews.co[...] 2012-01-06
[15] 웹사이트 The Future of Compiz – Take two http://kly.no/posts/[...] 2010-04-19
[16] 웹사이트 Announcement: Creation of the Compiz Council and the road ahead http://lists.freedes[...] 2009-02-04
[17] 웹사이트 "[compiz] Compiz 0.9.2 is released!" http://lists.freedes[...] lists.freedesktop.org 2010-10-24
[18] 웹사이트 A bright new future for Compiz https://smspillaz.wo[...] 2010-11-25
[19] 웹사이트 Compiz Core in Launchpad https://launchpad.ne[...] Launchpad.net 2012-05-13
[20] 웹사이트 Compiz Home https://web.archive.[...] 2009-07-10
[21] 웹사이트 "0.9.7.0: Compiz Core" https://launchpad.ne[...] Launchpad.net 2012-05-13
[22] 웹사이트 Compiz Core – Series 0.9.7 https://launchpad.ne[...] Launchpad.net 2012-05-12
[23] 웹사이트 Series 0.9.8 : Compiz Core https://launchpad.ne[...] 2014-12-08
[24] 웹사이트 Compiz 0.9.8 series https://launchpad.ne[...] Launchpad.net 2012-08-28
[25] 웹사이트 Compiz in Launchpad https://launchpad.ne[...] Launchpad.net 2012-05-23
[26] 웹사이트 The next chapter https://smspillaz.wo[...] 2012-11-16
[27] 웹사이트 Series 0.9.13 : Compiz https://launchpad.ne[...] Launchpad.net 2017-01-27
[28] 웹사이트 Compiz Release Announcement – 0.8.14 http://blog.northfie[...]
[29] 웹사이트 Compiz Reloaded https://github.com/c[...] GitHub
[30] 웹사이트 OpenGL specification for EXT_texture_from_pixmap https://web.archive.[...] 2008-07-12
[31] 웹사이트 PluginsMain - Compiz Wiki https://web.archive.[...] Wiki.compiz.org 2012-03-30
[32] 웹사이트 PluginsExtra - Compiz Wiki https://web.archive.[...] Wiki.compiz.org 2012-03-30
[33] 웹사이트 PluginsUnsupported - Compiz Wiki https://web.archive.[...] Wiki.compiz.org 2012-03-30
[34] 웹사이트 OtherPlugins - Compiz Wiki https://web.archive.[...] Wiki.compiz.org 2012-03-30
[35] 웹사이트 Decorators/GTKWindowDecorator - Compiz Wiki https://web.archive.[...] Wiki.compiz.org 2012-03-30
[36] 웹사이트 4.2.0 Release Announcement http://www.kde.org/a[...] KDE 2009-01-27
[37] 간행물 Metacity, Mutter, GNOME Shell, GNOME-2.28 http://mail.gnome.or[...] 2009-03-23
[38] 웹사이트 Tech News: Compiz vs Gnome Shell http://martin-white.[...] Martin-white.blogspot.de 2010-08-09
[39] 웹사이트 "[Phoronix] Compiz Is Likely To Get The Boot From Fedora 17" https://www.phoronix[...] Phoronix.com 2012-02-03
[40] 웹사이트 Fedora Package Database - compiz https://admin.fedora[...] Admin.fedoraproject.org
[41] 웹사이트 Bug 851800 – Review Request: compiz - OpenGL window and compositing manager https://bugzilla.red[...]
[42] 웹사이트 Fedora MATE-Compiz Desktop https://spins.fedora[...]
[43] 웹사이트 MATE-Compiz Spin - FedoraProject https://fedoraprojec[...]
[44] 웹사이트 "#677864 - compiz 0.8 should not release with wheezy - Debian Bug report logs" http://bugs.debian.o[...]
[45] 웹사이트 '#719870 - RM: ccsm compiz compiz-fusion-plugins-extra compiz-fusion-plugins-main compiz-fusion-plugins-unsupported compizconfig-backend-gconf compizconfig-backend-kconfig compizconfig-python -- ROM; dead upstream, unmaintained, RC-buggy - Debian Bug report logs' http://bugs.debian.o[...]
[46] 웹사이트 Compiz just removed from the repos this week? http://forums.debian[...]
[47] 웹사이트 Debian Package Tracker https://tracker.debi[...]
[48] 웹사이트 "[arch-dev-public] Dropping compiz?" https://lists.archli[...] 2013-05-20
[49] 웹사이트 Ubuntu Technical Board votes on Compiz for Ubuntu 7.10 https://arstechnica.[...] Ars Technica 2007-09-13
[50] 웹사이트 Is unity just a plugin of compiz http://askubuntu.com[...] 2010-11-13
[51] 웹사이트 Unity To Use Compiz instead of Mutter – Ubuntu 11.04 Natty Narwhal News http://www.webupd8.o[...] Webupd8.org 2010-10-25
[52] 웹사이트 SLED 10 SP1: a great Linux desktop gets better https://www.desktopl[...] 2007-07-02
[53] 웹사이트 Finally, Some Linux Eye Candy https://redmonk.com/[...] 2007-02-10
[54] 웹사이트 Compiz Fusion 0.5.2 - Review https://www.osnews.c[...] 2007-09-11
[55] 웹사이트 Compiz in Launchpad https://launchpad.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