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레 빌로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레 빌로크는 1928년 오슬로에서 태어나 경제학을 전공한 노르웨이 정치인이다. 1952년부터 오슬로 시의회 의원을 시작으로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통상부 장관과 보수당 당 의장을 지냈다. 1981년부터 1986년까지 총리직을 수행하며 경제 자유화 정책을 추진했다. 퇴임 후에는 아케르스후스 및 오슬로 주지사, NRK 회장을 역임했으며, 말년에는 인권과 환경 문제, 특히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빌로크는 2021년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파당 (노르웨이)의 정치인 - 에르나 솔베르그
    에르나 솔베르그는 2013년부터 2021년까지 노르웨이 총리를 역임했으며, 보수당 대표를 지내면서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국제 관계,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추진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 우파당 (노르웨이)의 정치인 - 얀 P. 쉬세
    노르웨이의 정치인 얀 P. 쉬세는 우파당 대표, 총상에너지부 장관, 북유럽 이사회 의장을 역임했으며, 1989년부터 1990년까지 노르웨이의 총리를 지냈다.
  • 노르웨이의 자서전 작가 - 리브 울만
    노르웨이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인 리브 울만은 잉마르 베르히만 감독과의 협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다수의 영화와 연극, 감독 활동 외에 유니세프 친선대사로도 활동했다.
  • 노르웨이의 자서전 작가 - 레이다르 크바멘
    레이다르 크바멘은 노르웨이 경찰관이자 작가로, 독일 점령기 폴란드 강제 수용소와 노르웨이 감옥, 슈투토프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으며, 자서전 ''50 ganger på Norges landslag''을 1949년에 출판했다.
  • 노르웨이의 총리 - 오드바르 노를리
    오드바르 노를리는 노르웨이의 정치인으로, 1976년부터 1981년까지 노르웨이 총리를 지냈으며, 질병 보험 급여 개선, 낙태법 자유화 등을 추진하고 2018년 사망했다.
  • 노르웨이의 총리 - 에르나 솔베르그
    에르나 솔베르그는 2013년부터 2021년까지 노르웨이 총리를 역임했으며, 보수당 대표를 지내면서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국제 관계,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추진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코레 빌로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83년의 코레 빌로크
1983년의 빌로크
직책노르웨이의 총리
임기 시작1981년 10월 14일
임기 종료1986년 5월 9일
이전그로 할렘 브룬틀란
다음그로 할렘 브룬틀란
군주올라프 5세
부총리셸 마그네 본데비크
직책 2보수당 대표
임기 시작 21970년 4월 26일
임기 종료 21974년 5월 12일
제1 부대표얼링 노르비크
라스 T. 플라토우
제2 부대표라스 T. 플라토우
페르 휘싱달
이전 2시우르 린데브라케
다음 2얼링 노르비크
직책 3무역해운부 장관
총리 3페르 보르텐
임기 시작 31965년 10월 12일
임기 종료 31970년 6월 5일
이전 3트뤼그베 리
다음 3오토 G. 티데만
임기 시작 41963년 8월 28일
임기 종료 41963년 9월 25일
총리 4욘 륑
이전 4O. C. 군데르센
다음 4에리크 힘레
직책 5북유럽 이사회 의장
임기 시작 51973년 1월 1일
임기 종료 51973년 12월 31일
이전 5V. J. 숙셀라이넨
다음 5요하네스 안톤손
직책 6스토르팅 의원
임기 시작 61958년 1월 1일
임기 종료 61989년 9월 30일
대리 의원 6이바르 모에
아스트리 뤼닝
얀 P. 쉬세
아넬리세 회에
카리 가르만
선거구 6오슬로
직책 7스토르팅 예비 의원
임기 시작 71954년 1월 1일
임기 종료 71957년 12월 31일
선거구 7오슬로
출생명코레 이사크센 빌로크
출생일1928년 10월 3일
출생지오슬로, 노르웨이
사망일2021년 12월 6일
사망지오슬로, 노르웨이
매장일2021년 12월 21일
매장지오슬로, 노르웨이
국적노르웨이
정당보수당
배우자안네 마리 예르겐센(1954년 4월 30일 결혼)
자녀3명
부모하콘 이사크센 빌로크
아그네스 크리스티네 사우레
모교오슬로 대학교
서명
노르웨이
노르웨이
군사 복무노르웨이 육군

2. 초기 생애 및 교육

코레 빌로크는 1928년 10월 3일 오슬로에서 하콘 이사크센 빌로크(1898~1956)와 아그네스 크리스틴 사우레(1896~1994)의 아들로 태어났다.[3] 오슬로 서쪽에서 자랐으며, 1948년에 교양 시험을 통과했다.[2] 오슬로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했으며,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트리그베 하벨모와 라그나르 프리쉬에게 배웠다.[4] 1953년에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2]

1954년 5월 1일, 안네 마리 요르겐센(1930년 3월 9일 출생[5])과 결혼했다.[2][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에서 독립 노르웨이 여단 소속 연합군 점령군으로 복무했으며, 그 당시 독일의 친구가 되었다.

2. 1. 언어 능력

빌로크는 노르웨이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했다.

3. 정치 경력

빌로크는 1952년부터 1959년까지 오슬로 시의회 의원을 역임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1957년 29세의 나이로 노르웨이 의회에 처음 선출되어 오슬로를 대표했으며, 이후 1989년까지 모든 의회 선거에서 당선되었다.[6]

1963년 8월부터 9월까지 욘 링 내각에서 통상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며, 1965년부터 1970년까지 페르 보르텐 정부에서도 같은 장관직을 맡았다. 1970년부터 1974년까지 보수당의 의회 지도자와 당 의장을 역임했다. 보르텐 정부 시절 하랄 왕세자와 평민인 소냐 하랄센의 결혼에 대한 헌법적 질문에 직면했으나, 이 결혼에 반대하는 것을 결코 고려하지 않았다고 한다.

빌로크는 연립 정부에서 외교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1989년 의회에서 은퇴할 때까지 그 역할을 수행했다. 그의 수사 스타일은 많은 사람들이 냉정하거나 심지어 비꼬는 것으로 여겼던 노르웨이어 사용과 신중하게 조율된 관점을 특징으로 했다. 오랜 경쟁자 그로 할렘 브룬틀란과의 논쟁은 노르웨이에서 전설이 되었으며, 여러 평가에 따르면 개인적 차이뿐만 아니라 정치적 차이에 기반을 두었다. 브룬틀란은 회고록에서 빌로크로부터 "사람이나 정당을 어떻게 대하지 말아야 하는지" 배웠다고 썼다.

3. 1. 사회 민주주의 비판과 이념적 전환

경제학자 빌로크는 교육과 직업을 통해 경제 개발 관련 문제로 노르웨이 정치에서 일찍부터 두각을 나타냈다.[6]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부분의 기간 동안 사회 민주주의 개혁에 대해 깊은 회의감을 표명했으며, 경제 문제 해결을 위해 시장 메커니즘의 더 큰 역할을 옹호했다.

보수당 내에서 빌로크는 문제에 대한 통찰력과 일관된 이념적 기반으로 존경받았다. 에를링 노르비크, 롤프 프레스투스, 얀 P. 시세와의 우호적인 경쟁에도 불구하고, 이들과 다른 당원들은 노르웨이의 사회 민주주의 유산에서 벗어나는 정치적 변화를 이끌었다.

4. 총리 재임 (1981-1986)

1981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비사회주의 연합이 과반수를 차지하자 빌로크는 보수당 정부를 구성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같은 해 기독교민주당중앙당의 지지를 받았으며, 1983년 이들은 내각에 합류하여 연립 정부가 되었다.

빌로크는 날카로운 재치와 때로는 신랄한 표현으로 정치적 동맹과 반대자 모두에게 존경을 받았지만, 재임 기간 동안 다른 총리만큼 큰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

4. 1. 경제 정책

빌로크 내각은 경제 자유화를 추진했다.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다.

분야내용
방송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에 대한 정부 독점 해체, 상업적 자금 지원 콘텐츠 도입 허용.
금융신용 시장에 대한 정부 개입 종료, 소비자 및 기업의 신용 접근성 확대.
부동산부동산 소유 및 판매 제한 완화.
소매업영업 시간 등 소매 무역 제한 완화.
경제 전반비석유 관련 노르웨이 경제 강화를 위한 노력.



이러한 변화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오랜 사회 민주주의 개혁의 역전으로 보였고, 다른 사람들에게는 새롭고 부상하는 경제적 현실을 반영하는 일련의 개혁으로 평가되었다.[7]

4. 2. 외교 정책

빌로크 내각은 NATO 조약에 따른 노르웨이의 약속이라는 측면에서 이전 노동당 내각과 대체로 일치하는 친서방 외교 정책을 펼쳤다. 하지만, 비확산 문제에 대해서는 크게 다른 입장을 보였다. 노동당이 북유럽 지역에서 "긴장 완화" 정책을 추진하여 노르웨이를 NATO에서 소외시킨 반면, 빌로크 내각은 미국 신속 배치 부대를 위한 전진 물류 기지 설치를 승인[8]하고 1979년 NATO 이중 트랙 결정을 전적으로 지지했다.[9]

4. 3. 브라텐스 SAFE 139편 항공기 납치 사건

브라텐스 SAFE 139편 항공기 납치 사건 당시, 납치범은 코레 빌로크와의 면담을 요구했다.[7]

4. 4. 불신임과 퇴진

1985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빌로크 내각은 의회 기반의 상당 부분을 잃었고 진보당의 지원에 의존하게 되었다. 빌로크가 휘발유세 인상을 제안했지만, 사회주의 좌파당, 노동당, 진보당이 연합하여 내각은 불신임 투표에서 패배했다. 이후 그로 할렘 브룬틀란이 이끄는 노동당 소수 정부가 출범하였다.[7]

5. 퇴임 이후

빌로크는 1990년부터 1998년까지 오슬로아케르스후스주 주지사를, 1998년부터 2000년까지는 노르웨이 방송 협회(NRK) 회장을 역임했다.[2] 1996년에는 성 올라프 훈장 기사 훈장을 받았다.[2]

카레 빌로크는 2021년 12월 6일 오슬로 자택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7]

5. 1. 국제 민주 연합 활동

빌로크는 1986년부터 국제 민주 연합(IDU) 부의장을 역임했다.[2]

5. 2. 독일-노르웨이 협회 회장

그는 1987년부터 1991년까지 독일-노르웨이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0]

5. 3. 난센 연구소

빌로크는 난센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2]

5. 4. 말년의 입장 변화

퇴임 후, 빌로크는 인권과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지며 이전과는 다른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그는 "탐욕 문화"[11]와 조세 피난처[12]를 비판하고, 환경 문제[13]를 제기했다. 특히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정책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며, 팔레스타인 영토 점령과 정착(1967년 국경 밖)을 불법이라고 주장했다.[14]

빌로크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극단주의를 조장하여 "테러를 일으키고 있다"[17]고 비난하며, 이스라엘을 "인종 청소"[16] 혐의로 고발하기도 했다. 요 벤코와 같은 이스라엘 지지자들은 빌로크의 견해가 편파적이라고 비판했지만,[18] 빌로크는 이스라엘 정치에 대한 비판을 반유대주의라고 비난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반박했다.[19] 그는 이스라엘이 간접적으로 반유대주의에 기여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정책이 부정적인 태도의 새로운 원천이 되었다고 지적했다.[19] 2006년 5월에는 하마스 관리인 아테프 아드완을 비공개 오찬에 초대하여 "하마스와의 대화는 매우 유용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20][21]

빌로크는 ''아프텐포스텐'' 기고문에서 팔레스타인에 대한 이스라엘 정책을 옹호하는 것은 이스라엘에 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증오를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스라엘이 아랍 평화 제안을 받아들여야 하며, 이는 1967년 전쟁 이전 국경을 기준으로 당사자 간 합의와 이스라엘 안보 보장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22]

케이블게이트와 관련하여 그는 "문제는 누군가가 그러한 위반을 밝혀내는 것이 아니라 서방 세계가 인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26]

5. 5. 케이블게이트 관련 발언

빌로크는 케이블게이트 폭로 사건과 관련하여, "문제는 누군가가 그러한 위반을 밝혀내는 것이 아니라 서방 세계가 인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26]

6. 저서

Kåre Willoch|코레 빌로크no는 회고록, 정치 평론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다. 다음은 그의 주요 저서 목록이다.

출판 연도제목출판사
1988Minner og meninger|추억과 견해noChr. Schibsteds Forlag
1990Statsminister|국무총리noChr. Schibsteds Forlag
1999Tanker i tiden|시대의 생각noCappelen
2002Myter og virkelighet|신화와 현실noCappelen
2004Utfordringer|도전noCappelen
2016Strid og samarbeid|갈등과 협력noCappelen Damm


참조

[1] encyclopedia Kåre Willoch http://www.snl.no/K%[...] Kunnskapsforlaget 2009-05-28
[2] encyclopedia Kåre Willoch http://snl.no/.nbl_b[...] Kunnskapsforlaget 2009-05-28
[3] 서적 The A to Z of Norway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5-11
[4] 서적 Political leaders of contemporary Western Europe: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5] 간행물 Kåre Willoch http://nbl.snl.no/K%[...] 2020-06-05
[6] 뉴스 Voters shift to right, bolstering NATO's northern outpost https://select.nytim[...] New York Times
[7] 뉴스 Den 24 år gamle mannen fra Karmøy som fredag kapret et fly 1985-06-23
[8] 웹사이트 Norge og NATO under den kalde krigen http://www.atlanterh[...] Atlanterhavskomiteen 2009-05-28
[9] 웹사이트 http://www.hoyre.no/[...]
[10] 웹사이트 Willoch, Kåre ( 1928–) http://www.stortinge[...] 2013-04-08
[11] 웹사이트 http://nhh.spekter.n[...]
[12] 뉴스 USA skader globaliseringen http://www.dagbladet[...] 2009-05-28
[13] 웹사이트 Miljøet opp og ned http://www.dagbladet[...] 2011-03-22
[14] 뉴스 Willoch på villstrå https://urn.nb.no/UR[...] 2010-11-19
[15] 문서 http://www.aftenpost[...]
[16] 웹사이트 Willoch og etnisk rensing http://www.miff.no/n[...] Med Israel For Fred 2009-05-28
[17] 뉴스 Willoch: Israel skaper terror http://www.aftenpost[...] 2004-05-24
[18] 뉴스 Willoch på studietur til Arafat http://www.aftenpost[...] 2009-05-28
[19] 뉴스 Israels politikk skader jødenes sikkerhet på lengre sikt http://www.aftenpost[...] 2009-05-28
[20] 뉴스 Jeg taler med hvem jeg vil http://www.aftenpost[...] 2009-05-28
[21] 뉴스 Petersen hardt ut mot SV og Willoch http://www.aftenpost[...] 2009-05-28
[22] 뉴스 Veien til katastrofen http://www.aftenpost[...] 2009-05-28
[23] 웹사이트 Rahm Emanuel’s Father Problem https://swampland.ti[...]
[24] 웹사이트 Emanuel apologizes for father's racist remarks https://www.ynetnews[...]
[25] 웹사이트 Urimelig beskyldning mot Kåre Willoch https://www.dagblade[...]
[26] 뉴스 Men problemet, som Kåre Willoch tørt konstaterte i et intervju med NRK, er ikke at noen avdekker brudd på menneskerettigheter, men at vesten begår dem. 2010-12-11
[27] 웹사이트 Kåre Willoch er død https://www.nrk.no/n[...] 2021-12-06
[28] 웹인용 https://www.nrk.no/n[...] 2021-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