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루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루로는 머리가 크고 목이 짧으며 몸이 튼튼한 설치류로, 지하 생활에 적응된 특징을 보인다. 털은 짧고 짙은 갈색이며, 튼튼한 앞니와 앞발, 뒷발을 사용하여 땅을 파고 굴을 만든다. 칠레의 해안 지역과 안데스 산맥 고산 지대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무리 생활을 하며 유목 생활을 하는 특징이 있다. 주로 땅속의 식물 뿌리와 구근을 먹으며, 매, 올빼미, 야생 고양이 등이 포식자이다. 코루로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는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구과 - 세이지바위쥐
세이지바위쥐는 위키백과에 아직 등재되지 않은 정보입니다. - 데구과 - 브리지스데구
브리지스데구는 칠레에 서식하는 야행성 설치류의 일종으로, 흔한 데구와 달리 깊은 어금니 홈과 주름을 가지고 있으며, 암석, 숲, 농지에서 서식하지만 산림 벌채로 인해 개체수 감소의 위협을 받고 있다. - 1782년 기재된 포유류 - 바다수달
바다수달은 남아메리카 남서부 연안에 서식하는 가장 작은 해양 포유류 중 하나로,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등을 사냥하며 과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1782년 기재된 포유류 - 비쿠냐
비쿠냐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에 서식하는 라마과의 동물로, 고급 섬유를 얻을 수 있는 털로 보호받으며, 한때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보호 노력으로 개체 수가 증가하고 페루 국장에도 등장하는 문화적으로 중요한 동물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코루로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palacopus cyanus |
명명자 | (Molina, 1782) |
속 | 코루로속 (Spalacopus) |
속 명명자 | Wagler, 1832 |
보전 상태 | 최소 관심 |
분류학적 정보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설치류 (쥐목) |
아목 | 호저아목 |
과 | 데구과 |
기타 | |
IUCN 상태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20427/78323110 |
MSW3 히스트리코그나티 ID | 13400385 |
MSW3 페이지 | 1573 |
2. 특징
코루로는 튼튼한 설치류이며, 땅 속 생활에 매우 잘 적응된 몸 구조를 가지고 있다.[9][3]
2. 1. 신체 구조
코루로는 큰 머리와 짧은 목, 통통한 몸을 가진 튼튼한 설치류이다.[9][3] 털은 짧고 진한 갈색이며, 발은 검은색 또는 거무스레한 색조를 띤다.[9][3] 눈과 귀는 작고,[9][3] 꼬리는 짧고 비늘이 있으며 털이 없다.[3] 꼬리 색깔은 검은색이나 짙은 갈색일 수 있다.[3] 몸무게는 약 82g에서 118g 정도이다.[3] 어금니는 중간에서 만나지 않는 재입구 주름을 가지고 있다.[3]코루로는 땅 속 생활에 매우 잘 적응된 몸 구조를 가지고 있다.[9][3] 앞으로 구부러진 큰 앞니를 사용하여 흙을 헤집거나 느슨하게 하고 뿌리를 갉아 먹는다.[9][3] 튼튼한 앞발로는 땅을 파고, 강한 뒷발로는 파낸 흙을 굴 입구 쪽으로 밀어내 옮긴다.[9][3]
3. 분포 및 서식지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모든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
3. 1. 서식 환경
해안선을 따라 알리카후에(32°19'S)부터 로스 시프레세스(34°01'S)까지, 그리고 안데스산맥의 같은 위도 범위 내 해발 3500m 이하 지역에서 발견된다.[10][4] 서식지로는 산악 지대의 산지 초원, 칠레 중앙 계곡의 아카시아 사바나 지역, 반-안정화된 모래 언덕, 해안가 초원 등 다양한 환경을 포함한다.[7][1]4. 생태
코루로는 무리를 지어 굴 속에서 생활하는 설치류로,[9] 여러 개체가 하나의 굴 시스템을 공유한다. 설치류 중에서는 드물게 유목 생활을 하여 먹이가 부족해지면 집단으로 이동해 새로운 굴을 만든다.[9] 이들은 땅속에서 주로 레오코코리네속(Leucocorynela), 마속(Dioscoreala), 리베르티아속(Libertiala), 등심붓꽃속(Sisyrinchiumla), 알포이아속(Alophiala)과 같은 지중 식물의 풀, 허브, 뿌리, 구근 등을 먹고 살아가며,[11][12][10][4][5][6] 식물의 재생을 위해 구근 일부를 남겨두기도 한다. 독특한 소리를 내어 의사소통하며,[9] 주요 포식자로는 매, 올빼미, 야생 고양이 등이 있다. 번식기는 주로 6월부터 3월까지이며, 임신 기간은 약 77일, 한 번에 최대 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태어난 지 약 4일 후에 눈을 뜬다. 현재 멸종 위기 상태는 아니다.
4. 1. 사회 구조
코루로는 여러 개체가 하나의 굴 시스템을 공유하며 살아가는 군집성 설치류이다.[9] 하나의 굴 속에서 수십 마리가 함께 생활하기도 하며, 대규모 개체군에서 분리된 작은 군집을 이루어 생활한다.설치류 중에서는 특이하게도 유목 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지역에서 먹이가 부족해지면, 무리 전체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굴을 파고 정착한다.[9] 먹이 활동 시, 식물의 재생을 위해 일부 구근을 남겨두기도 한다.
먹이는 전적으로 땅속에서 구하며, 주로 레오코코리네속 식물(Leucocoryne ixioides)[5][11], 마속 식물(Dioscorea longipes)[6][12], 또는 리베르티아속 (Libertia), 등심붓꽃속 (Sisyrinchium), 알포이아속 (Alophia)과 같은 지중 식물의 풀, 허브, 뿌리, 구근 등을 먹는다.[4][10]
독특하고 다양한 소리를 내어 의사소통한다.[9] 주요 포식자로는 매, 올빼미, 야생 고양이 등이 있다.
번식기는 주로 6월부터 3월까지이며, 한 번에 최대 6마리의 새끼를 낳을 수 있다. 임신 기간은 약 77일이고, 새끼는 태어난 지 약 4일 후에 눈을 뜬다.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는 않다.
4. 2. 먹이
코루로는 전적으로 지하에서 먹이를 구하며, 레오코코리네속(Leucocorynela) 식물(특히 Leucocoryne ixioidesla를 주로 먹음[5]),[11] 마속(Dioscoreala) 식물(특히 Dioscorea longipesla[6]),[12] 또는 리베르티아속(Libertiala), 등심붓꽃속(Sisyrinchiumla), 알포이아속(Alophiala) 식물과 같은 지중 식물의 풀과 허브, 뿌리와 구근 등을 먹는다.[10][4]코루로는 설치류 중에서 특이하게 떠돌이 생활을 하는데, 한 지역에서 먹이가 고갈되면 무리가 다른 지역으로 움직여 새로운 굴을 만든다.[9] 또한 식물이 다시 자랄 수 있도록 구근 일부를 남겨두어, 나중에 그 지역으로 돌아와 다시 먹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4. 3. 번식
코루로는 6월부터 3월까지 특정한 번식 기간을 가진다. 임신 기간은 약 77일이며, 한 번에 최대 6마리의 새끼를 낳을 수 있다. 새끼는 태어난 지 약 4일 후에 눈을 뜬다.4. 4. 소리
코루로는 소리를 내는 동물이다. 다양한 종류의 독특한 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4. 5. 포식자
코루로의 주요 포식자로는 매, 올빼미, 야생 고양이 등이 있다.참조
[1]
간행물
"''Spalacopus cyanus''"
2016
[2]
서적
MSW3 Hystricognathi
[3]
서적
Mammalogy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1-04-01
[4]
논문
Spalacopus cyanus
[5]
논문
Ecological notes on the fossorial octodont rodent Spalacopus Cyanus (Molina)
[6]
논문
Spalacopus cyanus (Rodentia:Octodontidae): an extremist in tunnel construction and food storing among subterranean mammals
[7]
간행물
Spalacopus cyanus
[8]
서적
MSW3 Hystricognathi
[9]
서적
Mammalogy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1-04-01
[10]
논문
Spalacopus cyanus
[11]
논문
Ecological notes on the fossorial octodont rodent Spalacopus Cyanus (Molina)
[12]
논문
Spalacopus cyanus (Rodentia:Octodontidae): an extremist in tunnel construction and food storing among subterranean mammal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